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3:56:15

마르틴 에를리치

1 리바코비치 · 2 스타니시치 · 3 폰그리치치 · 4 그바르디올 · 5 에를리치 · 6 슈탈로 · 7 마예르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 10 모드리치
11 브로조비치 · 12 라브로비치 · 13 블라시치 · 14 페리시치 · 15 파샬리치 · 16 부디미르 · 17 페트코비치 · 18 이바누셰츠
19 소사 · 20 피아차 · 21 비다 · 22 유라노비치 · 23 이부시치 · 24 M. 파샬리치 · 25 수치치 · 26 바투리나
파일:UEFA EURO CRO.png 즐라트코 달리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CRO.png 이바차 올리치 · 파일:UEFA EURO CRO.png 베드란 촐루카 · 파일:UEFA EURO CRO.png 마리오 만주키치

파일:Martin Erlić EURO 2024.png
UEFA 유로 2024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No. 5
<colbgcolor=#006839> US 사수올로 칼초 No. 5
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1]
출생 1998년 1월 24일 ([age(1998-01-24)]세)
자다르주 자다르
국적
[[크로아티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92cm / 체중 88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유스 클럽 NK 라스타네 (2008~2010)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10~2012)
HNK 리예카 (2012~2014)
파르마 칼초 1913 (2014~2015)
US 사수올로 칼초 (2015~2017)
소속 클럽 US 사수올로 칼초 (2017~2019)
FC 쥐트티롤 (2017~2018 / 임대)
스페치아 칼초 (2018~2019 / 임대)
스페치아 칼초 (2019~2021)
US 사수올로 칼초 (2021~ )
스페치아 칼초 (2021~2022 / 임대)
국가대표 9경기[2] ( 크로아티아 / 2022~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여담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크로아티아 국적의 US 사수올로 칼초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크로아티아 자다르에서 태어났으며, 인근 지역을 연고로 하는 NK 라스타네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이후 12살에 자국의 명문팀인 GNK 디나모 자그레브로부터 스카웃되어 유소년 팀에 입단한 뒤 2년간 지내다가 HNK 리예카 유소년 팀을 거쳐 2014년에 이탈리아로 건너가 파르마 칼초 1913 유소년 팀에 입단했다.

2.2. US 사수올로 칼초

2015년, 파르마가 재정난에 시달리면서 1년만에 사수올로 칼초 유소년 팀으로 이적했다.

2017년 8월 30일, 세리에 C FC 쥐트티롤로 임대되면서 본격적으로 프로 무대에 경험을 쌓기 시작했다. 그리고 30경기를 출전하며 만족스러운 임대 생활을 보낸 뒤 원소속팀인 사수올로로 복귀했다.

2.3. 스페치아 칼초

2018년 7월 10일, 이번에는 세리에 B에 위치한 스페치아 칼초로 임대되었다.

그는 부상으로 2018-19 시즌 절반을 날렸음에도 나올 때 마다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구단의 세리에 A 승격을 이끌었고, 이에 구단은 그와 완전 이적 계약을 체결했다.

세리에 A 올라와서도 좋은 수비력을 선보이며 여러 구단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2.4. US 사수올로 칼초 2기

2021년 8월 21일, 친정팀 사수올로와 계약했으며, 일단 2021-22 시즌은 스페치아에서 뛴 뒤 다음 시즌부터 사수올로에 합류하는 계약이었다.

2022-23 시즌을 앞두고 예정대로 사수올로에 합류했다. 그리고 두 시즌간 주전 센터백으로 뛰었으나 팀이 2023-24 시즌을 끝으로 2부리그로 강등되자 핵심 선수 중 한 명으로서 다가오는 여름 이적시장 때 이적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3. 국가대표 경력

크로아티아 연령대 대표 출신으로, 2022년 6월 6일 프랑스와의 UEFA 네이션스 리그 경기를 통해 성인 대표팀에 데뷔했다. 그리고 그 해 11월에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최종 명단에 발탁되면서 생애 첫 월드컵에 참가했다. 비록 경기를 나서지 못했지만 대표팀이 3위라는 호성적을 기록하면서 영광의 자리를 함께 할 수 있었다.

4. 여담

  • 성인 대표팀 데뷔날에 그의 형 결혼식이 있었으나 대표팀에 소집되면서 참석하지 못했다. 형 결혼식 거르고 대표팀 데뷔전 출전

5. 같이 보기

2 미소리 · 3 페데르센 · 5 에를리치 · 6 라치치 · 7 엔히키 · 8 물라티에리 · 9 피나몬티 · 10 베라르디 (3C)
11 바이라미 · 13 페라리 (C) · 14 오비앙 · 15 케이데 · 16 미란다 · 18 앙티스트
19 쿰불라 · 21 비티 · 22 톨랸 · 23 볼파토 · 24 볼로카 · 25 페골로 · 28 크라뇨 · 29 파스 · 34 도이그 · 35 리파니
42 토르스트베트 · 44 후앙 · 45 로리엔테 · 47 콘실리 (VC) · 92 데프렐
파일:UEFA EURO ITA.png 파비오 그로소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3-24 시즌 US 사수올로 칼초 스쿼드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3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DF 마르쿠스 홀름그렌 페데르센 Marcus Holmgren Pedersen [1]
5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DF 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MF 우로스 라치치 Uroš Račić
7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마테우스 엔히키 Matheus Henrique
8 파일:모로코 국기.svg MF 압두 하루이 Abdou Harroui
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안드레아 피나몬티 Andrea Pinamonti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도메니코 베라르디 Domenico Berardi 부주장
1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잔 마르코 페라리 Gian Marco Ferrari 주장
14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MF 페드로 오비앙 Pedro Obiang
1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FW 에밀 케이데 Emil Ceïde
1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필리포 로마냐 Filippo Romagna
20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MF 네딤 바이라미 Nedim Bajrami
22 파일:독일 국기.svg DF 제레미 톨리안 Jeremy Toljan
2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잔루카 페골로 Gianluca Pegolo
27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막심 로페스 Maxime Lopez
2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알레시오 크라뇨 Alessio Cragno [2]
34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DF 조시 도이그 Josh Doig
3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루카 리파니 Luca Lipani
4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MF 크리스티안 토르스트베트 Kristian Thorstvedt
44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후안 트레솔디 Ruan Tressoldi
45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아르망 로리엔테 Armand Lauriente
4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안드레아 콘실리 Andrea Consigli
6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알레산드로 루소 Alessandro Russo
92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그레고리 데프렐 Grégoire Defrel
<colbgcolor=#006839> 구단 정보
회장: 카를로 로시 / 감독: 파비오 그로소 / 구장: 마페이 스타디움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6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에서 임대 [2] AC 몬차에서 임대

}}}}}}}}} ||

{{{#!wiki style="color:#1A2842;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rowcolor=#ffffff>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k Livaković)
1995년 1월 9일 ([age(1995-01-09)]세) 54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12 네딜리코 라브로비치
(Nediljko Labrović)
1999년 10월 10일 ([age(1999-10-10)]세) 1 0 파일:독일 국기.svg FC 아우크스부르크
23 이비차 이부시치
(Ivica Ivušić)
1995년 2월 1일 ([age(1995-02-01)]세) 6 0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포스 FC
DF 2 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šić)
2000년 4월 2일 ([age(2000-04-02)]세) 18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3 마린 폰그라치치
(Marin Pongračić)
1997년 9월 11일 ([age(1997-9-11)]세) || 8 || 0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레체 ||
4 요슈코 그바르디올
(Joško Gvardiol)
2002년 1월 23일 ([age(2002-01-23)]세) 30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5 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1998년 1월 24일 ([age(1998-01-24)]세) 9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6 요시프 슈탈로
(Josip Šutalo)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1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19 보르나 소사
(Borna Sosa)
1998년 1월 21일 ([age(1998-01-21)]세) 20 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21 도마고이 비다
(Domagoj Vida)
1989년 4월 29일 ([age(1989-04-29)]세) 105 4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22 요시프 유라노비치
(Josip Juranović)
1995년 8월 16일 ([age(1995-08-16)]세) 37 0 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MF 7 로브로 마예르
(Lovro Majer)
1998년 1월 17일 ([age(1998-01-17)]세) 31 8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8 마테오 코바치치
(Mateo Kovačić)
1994년 5월 6일 ([age(1994-05-06)]세) 101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0 루카 모드리치 파일:주장 아이콘.svg
(Luka Modrić)
1985년 9월 9일 ([age(1985-09-09)]세) 175 25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1 마르첼로 브로조비치
(Marcelo Brozović)
1992년 11월 16일 ([age(1992-11-16)]세) 96 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13 니콜라 블라시치
(Nikola Vlašić)
1997년 10월 4일 ([age(1997-10-04)]세) 56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15 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63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8 루카 이바누셰츠
(Luka Ivanušec)
1998년 11월 26일 ([age(1998-11-26)]세) || 21 || 2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25 루카 수치치
(Luka Sučić)
2002년 9월 8일 ([age(2002-09-08)]세) 7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26 마르틴 바투리나
(Martin Baturina)
2003년 2월 16일 ([age(2003-02-16)]세) 3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FW 9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1991년 6월 19일 ([age(1991-06-19)]세) 93 28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4 이반 페리시치
(Ivan Perišić)
1989년 2월 2일 ([age(1989-02-02)]세) 131 33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16 안테 부디미르
(Ante Budimir)
1991년 7월 22일 ([age(1991-07-22)]세) 21 3 파일:스페인 국기.svg CA 오사수나
17 브루노 페트코비치
(Bruno Petković)
1994년 9월 16일 ([age(1994-09-16)]세) 38 1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 마르코 피아차
(Marko Pjaca)
1995년 5월 6일 ([age(1995-05-06)]세) 26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리예카
24 마르코 파샬리치
(Marco Pašalić)
2000년 9월 14일 ([age(2000-09-14)]세) 5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리예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8일
}}}}}}}}}||

1 리바코비치 · 2 스타니시치 · 3 바리시치 · 4 페리시치 · 5 에를리치 · 6 로브렌 · 7 마예르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10 모드리치 · 11 브로조비치 · 12 그르비치 · 13 블라시치 · 14 리바야 · 15 파샬리치 · 16 페트코비치 · 17 부디미르 · 18 오르시치
19 소사 · 20 그바르디올 · 21 비다 · 22 유라노비치 · 23 이부시치 · 24 슈탈로 · 25 수치치 · 26 야키치
파일:2022 FIFA 월드컵 크로아티아 아이콘.svg 즐라트코 달리치


[1] 크로아티아어 발음은 /mǎrtin êːrlitɕ/. [2] 2024년 6월 4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