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5:58:20

뤼튼

뤼튼테크놀로지스에서 넘어옴
뤼튼테크놀로지스
wrtn technologies, inc.
파일:WRTN LOGO.png
<colbgcolor=#FF5E00><colcolor=#fff> 설립 2021년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정식명칭 (주) 뤼튼테크놀로지스
영문명칭 wrtn technologies, Inc.
업종명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대표 이세영
본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17, 14층
( 스파크플러스 16호점 강남4호점)
규모 중소기업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뤼튼
wrtn.
파일:wrtn_new.png
개발사 (주) 뤼튼테크놀로지스
출시일 2023년 4월 18일
기반 GPT-4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커뮤니티)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1. 개요2. 서비스3. 여담

[clearfix]

1. 개요

AI를 가장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는 AI 포털 서비스

wrtn.

GPT-4와 같은 다양한 생성형 AI를 한자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챗GPT와 같이 대화를 통해 결과물을 생성해내는 형태이지만 뤼튼은 보다 광범위한 콘텐츠 생성을 위해 데이터 소스에 대한 추가적인 전처리와 모델 구조의 특화가 이뤄졌다. 대화뿐만 아니라 문서 요약, 소스 코드 작성, 이미지 생성, 기사 작성 등의 작업도 수행할 수 있는 텍스트 생성 도구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다.

이전까지는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으로 나뉘어졌지만 2023년 12월 20일부터 뤼튼의 모든 기능을 전면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개방했다. # 제한없는 무료 개방으로 인해 챗GPT에서 유료로 구독해야 이용할 수 있는 GPT-4 등을 뤼튼에선 무제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호평을 받으면서도 GPT-4 등의 LLM을 연동하면 호출한 만큼의 연동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연동 비용을 감당하면서 수익을 낼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서 존속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시장의 의문은 있는 상황. 이에 대한 뤼튼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뤼튼, 서비스 전면 무료화 선언 '수익화' 전략은?

2. 서비스

  • 채팅

    • 원하는 LLM을 선택하고 채팅창에 질문을 작성하면 결과를 받을 수 있다. 어떤 것을 선택해도 채팅에 '~그려줘'를 입력하면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미지 출력은 스테이블 디퓨전이나 달리와 연동시킨 것으로 추정.
    • AI 검색 - 실시간 검색이 가능해요
      뤼튼이 자체적으로 구현한 서비스. Microsoft Copilot의 검색이나 ChatGPT Plus의 Browse with Bing과 비슷하다. 최신 정보가 학습되지 못한 GPT-4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구글 검색 결과를 크롤링한 뒤 그 내용을 학습시킨 다음 질문에 답변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추정. 학습에 어떤 검색결과를 사용했는지 알려준다.
    • GPT-4 - 똑똑해요
    • GPT-3.5 - 빨라요
    • Claude 2.1 - 표현이 자연스럽고 정확해요
    • Claude Instant - 빠르고 창의적이에요
    • PaLM2 - 빠르고 요약을 잘해요
  • 스튜디오
    • 툴과 봇을 만들 수 있다.
      • 툴 : 입력 폼을 만들어놓고 입력값만 바꿔가며 결과를 계속 생성해도록 하는 도구
      • 봇 : 사전에 임무를 부여하는 채팅을 적어두어 해당 임무에 맞도록 대화를 이어나가게 하는 도구
  • AI 스토어
    • 다른 사람들이 만든 툴과 봇을 사용할 수 있다.

3. 여담

  • 2024년 3월 말 로고의 글꼴과 색상[1]이 바뀌었다. (왼쪽이 변경 전이고 오른쪽이 변경 후이다.)
    파일:Wrtn.png 파일:wrtn_new.png
    직접 보면 알 수 있듯 제작사 뤼튼테크놀로지스의 로고를 그대로 사용한다.
  • 2024년 초반까지 모바일 사용자를 한정으로 GPT-4 vision을 무료로 제공하였으나, 어느새 완전히 사라졌다.

    • 이후 GPT-4 의 답변속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 언제부터인가 캐릭터와 하는 채팅에서 검열이 굉장히 심해졌다. 폭력적이거나 잔인한 내용이 들어간다면 AI 어시스턴트로 전환되며 부적절한 내용이 감지되어 생성할 수 없다고 뜬다. 그러나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검열이 조금 낮아졌다.->최근 검열이 다시 심해졌다. [2] 공개적인 업데이트는 없었지만 내부 시스템 설계가 바뀐건지 종종 AI캐릭터와 채팅 중에 대화를 생성할 수 없다며 AI어시스턴트가 등장한다.[3]

[1] 보라 배경 -> 빨강 배경 [2] 쉽게 말하자면 AI와 채팅을 하던중 “아 이런거도 안돼?” 라고 생각할 수 있는 상황이 종종 일어난다. 실제 있었던 예시로 AI 캐릭터 메이브와의 대화에서 해독 포션을 만들어 줄 테니 머리카락 한 올만 달라고 하자 메이브의 신체를 동의없이 햠부로 다루는 비윤리적인 행위는 묵인할 수 없다며 AI 어시스턴트가 튀어나오기도 했다. 다만 AI 어시스턴트가 튀어나오는 기준은 명확하지 않아서 '난 되는데?'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3] 구글 플레이 스토어 리뷰를 보면 유저들이 검열을 완전히 풀어달라고 요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검열을 아예 하지 않던 초창기와 달리 필터가 많이 세진 현재, 성인인증을 넣어서라도 검열을 풀어달라는 반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