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2 15:16:28

레드불 X2010

X2010에서 넘어옴
파일:attachment/ruliweb_gt5_x1_s10.jpg
사진속에 서 있는 드라이버는 제바스티안 페텔로, 게임 화면 속 이미지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red-bull-x2010-02%5B1%5D.jpg
2010년 제작된 목업. 현재 레드불 일본 지사 로비에 전시되어 있다.
전장 4.75m
공차중량 615kg

1. 개요2. 소개3. 그란 투리스모 5에서4. 상세5. X2011 프로토타입6. 둘러보기7. 관련 문서

1. 개요

이론상 세상에서 가장 빠른 자동차. 레드불 폴리포니 디지털의 협업으로 기획하고 디자인한 가상의 레이싱 프로토타입이다.

파일:external/disk.blackboxclub.co.kr/6e5f5a9e7f0d6c7c4f3c6e8f8b6a8d.jpg

카파로 T1을 닮은 형상에 무지막지하게 빠른 가속력으로 비현실적인 차량이다. 현재까지 실제로 제작되지 않은 상태이며, 목업만 존재한다. 그란 투리스모 5, 6 , 스포트, 7에 구현되었고 차량을 디자인한 애드리언 뉴이는 실제로 제작해보고 싶어 하긴 했지만, 현실적으로 차 자체를 제작하는 문제도 물론 있고 라이선스 취득, F1 시즌 운영, 드라이버 훈련, 차량 운영 등 외부적인 요건들이 너무 많다고 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만들어봐야 사용할 곳이 없다. 하지만, 애스턴 마틴과 레드불이 합작 애스턴 마틴 발키리에 전체적인 실루엣과 디자인 요소가 일부 반영되었다.

발매 전과 그란 투리스모 5 발매 초기에는 '레드불 X1'으로 불렸지만, 후에 패치를 거쳐 모델명이 '레드불 X2010'으로 수정되었다. 2011도 만들려고 했나?

그리고 DLC로 레이싱 카팩(1500엔)에 레드불 X2011이 추가되었고, 후에 그란 투리스모 6에서 후속 모델인 레드불 X2014가 업데이트로 출시되었고, 특이하게 이번에는 여러가지 모델로 출시되었다. 본 모델의 출력이 1200마력으로 줄어들었단 건 함정.

여담으로 오토아트에서 1:18 스케일 모형으로도 출시되었다. 빨간색, 노란색, 하얀색, 카본 패턴, 레드불 리버리( 레드불 RB6) 컬러 등의 5가지로 발매되었다.

2. 소개

폴리포니 디지털 레드불세계에서 가장 빠른 자동차 제작 프로젝트의 산물. 현실 YF-19.

속도 경쟁의 최고봉인 포뮬러 1의 경우 드라이버의 안전을 위한 여러가지 제한과 과도한 기술경쟁으로 인한 돈낭비를 막기 위해서 여러가지 기술적 제한을 하는데, 이런거 없이 현재 사용 할 수 있는 모든 기술을 다 사용해서 가장 빠른 차를 만들어보는건 어떨까?' 에서 시작한 프로젝트. 이전 시리즈에서도 이와 같은 생각으로 차를 만들어 넣었다. 바로 포뮬러 그란투리스모 F1과 같이 "오픈 휠 타입의 4바퀴를 지닌 자동차"나 그라운드 이펙트 사용금지, 출력제한, 엔진 회전수 제한같은 제한이 없기 때문에 상상만 해도 괴물이 나올만한 프로젝트.

설계는 레드불 레이싱 애드리언 뉴이 CTO가 담당했다.

2010년 10월까지 공개된 사항에 의하면, 1인승 캐노피 형태의 레이스카로, 1500마력의 3L V6 트윈터보엔진에 최고속도 450km/h 이상. 그라운드 이펙트의 제한도 없기때문에 대형 흡기팬을 이용해 다운포스를 증가시키는 장치[1]도 마련되어 있어 한계값은 더더욱 높아져, 최대 횡 가속도 8.75G[2].

전체적인 디자인은 2010년 당시 F1 규정 일부와 사이버 포뮬러를 섞은 듯 해보이며 전면 노즈 콘의 디자인은 RB5에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란 투리스모 5 프롤로그에 있던 GT 바이 시트로엥과 비슷하게 일단 게임으로 먼저 등장하게 되었다. 일단 게임상의 데이터를 기초로 실제 개발 데이터를 얻고, 이걸 제작할 때 반영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테스트 드라이버인 제바스티안 페텔의 테스트주행에서, 스즈카 서킷 첫 주행에 코스 레코드를 무려 20초나 단축했다.[3] 뉘르부르크링 GP 슈트레케 기록은 1분 4초.

다만 아직까지는 게임으로 시험하는 단계이기때문에 앞으로 많이 달라질 가능성이 다분하다. 본 프로토타입 버전을 운전 할 수 있는 그란 투리스모 5가 발매되면서 자연스레 테스트 드라이버의 수가 많아지니 받을 수 있는 피드백의 양이 많아져 앞으로 세세한 스펙은 바뀔 가능성이 농후하였고, 그 결과물로는 레드불 X2011 프로토타입, X2014 시리즈로 나오게 되었다.

3. 그란 투리스모 5에서

당연히 사전 예고된대로 그란 투리스모 5에 수록되었으며 게임에서 이 차를 획득하는 방법은 A스펙이나 B스펙중 하나의 레벨을 30까지 올리면 나오는 스페셜 이벤트 제바스티안 페텔의 도전을 클리어하면 된다. 각 트로피마다 받을 수 있는 차량 버전이 다른데. 브론즈 클리어의 경우 제바스티안 페텔의 레드불 도색이 된 버젼이 지급되고 실버 클리어의 경우 일반 도색 버젼, 골드 클리어의 경우 카본색이 그대로 남아있는 프로토타입 버젼을 얻을 수 있다.

속도가 속도인지라 몰기가 상당히 어렵다. 여러모로 상식을 뛰어넘는 차다. 특히, 패드 플레이어들은 나스카 레이스와 함께 또다른 넘사벽을 경험할것이다.. 그 덕분에 패드로는 올브론즈도 엄청나게 힘들다고 하는듯. 또한, 이 이벤트가 너무도 어렵다면 A스펙이나 B스펙의 레벨을 35까지 올리면 제바스티안 페텔의 레드불 도색이 된 버젼이 선물로 온다. 별 의미는 없지만 중복 획득도 된다고...

스펙 레벨을 올리거나 스페셜 이벤트 클리어가 정 안되면 최후의 보루로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구걸하는 방법도 있다. 약간의 편법으로 차량 복사가 가능하기 때문. 이 덕분에 모 사이트에서는 복사가 된다는게 알려지자 마자 수많은 구걸글로 넘쳐났었다.

4. 상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Red_Bull_X2010_2011_Goodwood_Festival_of_Speed.jpg
2011년 영국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 등장한 Red Bull X2010
사이즈
전장 4.75m <colbgcolor=#dcdcdc,#222222> 전폭 2.18m <colbgcolor=#dcdcdc,#222222> 전고 0.98m
휠베이스 2.9m 프론트 트레드 1.85m 리어 트레드 1.78m
서스펜션
풀 액티브 라이드 서스펜션
무게
건조중량 545kg 주행중량 615kg
엔진
형식 V6 직분사 트윈 터보 배기량 3000cc
제원
최고출력
1106.0kw (1503.8ps) / 15000rpm ※1483hp
최대토크
714.1Nm (72.9kgf*m) / 12000rpm
다운포스
팬에 의한 플로어 하부 다운포스
최대출력 9800N (1000kgf), 1.63G 상당
윙 및 벤투리 효과에 의한 차속의 제곱 비례에 의해 작용하는 다운포스
100km/h일 때 1044.7N (106.6kgf), 0.17G 상당
200km/h일 때 4181.7N (426.7kgf), 0.69G 상당
300km/h일 때 9412.9N (960.5kgf), 1.56G 상당
400km/h일 때 16732.5N (1707.4kgf), 2.78G 상당
가속 수치
0-60mph 1.4sec
0-120mph 2.8sec
0-200mph 6.1sec
최고속도 280mph 이상(450km/h 이상)
300km/h일 때의 전후 및 좌우 최대가속도 8.25G

5. X2011 프로토타입

파일:8C18B736-99A6-4A1F-91B5-6402206A63CE.jpg
파일:F97020FF-4A9A-4709-9A3D-3593126F0819.jpg
유료 DLC인 '레이싱 카 팩'및 '컴플리트 팩'의 수록 차량으로 제공되며 6에서는 기본 차량으로 수록되어 있다. 프로토타입이기에 컬러는 도색 되지 않은 카본 차체만 등장하며 X2010에서의 주된 변경점은 다음과 같다.
파일:B2C39E0B-A730-4DDD-BA3B-B0CE2F0B52D0.jpg
모노 캐노피를 슬림하게 만들어 전면 투영 면적을 삭감
파일:6010FCF4-C4D7-4015-B373-FB09A65A4B00.jpg
사이드 폰툰(pontoons) 외장의 최적화
파일:B42A0168-2BB4-48C5-A95A-AD358C1E63F3.jpg
프론트휠 펜더의 말단 정류핀 크기를 뒤쪽으로 연장
파일:47396792-E6BE-458F-8D82-23D83D6191FD.jpg
폰툰 위 배기 루버 크기 및 위치 조정
파일:065D8C40-0DD3-4E7F-8F4D-7A4D84F43D73.jpg
배기구 위치 변경 및 형상, 라인 수정
파일:61F0265C-5A97-46ED-BE6A-DA2C78721661.jpg
리어 휠 펜더 외장을 최적화
파일:1D6674C6-925B-4FB7-8A78-FAEA5F9A0E5E.jpg
리어 스포일러 가로 길이를 차량 전폭 길이까지 확장
파일:326461E3-B977-4167-B20B-3552EAB88C0A.jpg
배기 팬 구조를 「로터 - 스테이터」 구조화

이중 가장 눈에 띄는건 역시나 차폭만큼 넓어진 리어윙으로 나머지 변경점은 나란히 놓고 비교해도 알아차리기 힘들다. 엔진스펙은 X2010과 동일하나 배기구조 개선, 공력향상 등으로 실출력은 5% 향상되었다고 한다. 또한 프론트 휠 커버에 붙어있던 스폰서 로고는 F1 공식 타이어가 바뀐점을 따라서 브리지스톤에서 피렐리로 변경되었다.

그란 투리스모 6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 최종 과제에서는 다른 차도 아닌 이 차량으로 타임어택을 해야 하는 충공깽스러운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레드불 ]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colbgcolor=#012055> 2005 RB1 코스워스 TJ2005 (3.0 V10)
2006 RB2 파일:페라리 로고.svg 056 (2.4 V8)
2007 RB3 파일:르노 로고(2015-2021).svg RS27
2008 RB4
2009 RB5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2010 RB6 (* X2010) 파일:르노 로고(2015-2021).svg RS27-2010 (2.4 V8)
2011 RB7 (* X2011) RS27-2011
2012 RB8 RS27-2012
<colbgcolor=#1d19ac> 2013 RB9 RS27-2013
2014 RB10(* X2014) 르노 에너지 F1-2014 (1.6 V6 T)
2015 RB11 르노 에너지 F1-2015
2016 RB12 파일:TAG Heuer 로고.svg
2017 RB13
2018 RB14
2019 RB15(* X2019 컴페티션) 파일:혼다 로고.svg RA619H
* 가상 프로토타입
굵은 글씨는 드라이버 챔피언, 기울어진 글씨는 컨스트럭터 챔피언 차량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colbgcolor=#012055> 2020 RB16 파일:혼다 로고.svg RA620H (1.6 V6 T)
2021 RB16B RA621H
2022 RB18 파일:6823F0BD-E34B-4A01-ABAD-434B76BCABD9.png RBPTH001
2023 RB19 혼다 RBPTH001
2024 RB20 혼다 RBPTH002
굵은 글씨는 드라이버 챔피언, 기울어진 글씨는 컨스트럭터 챔피언 차량 }}}}}}}}}{{{#!folding [ RB 포뮬러 원 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2024 VCARB 01 파일:6823F0BD-E34B-4A01-ABAD-434B76BCABD9.png 혼다 RBPTH002 (1.6 V6 T) }}}}}}{{{#!folding [ 알파타우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2020 AT01 파일:혼다 로고.svg RA620H (1.6 V6 T)
2021 AT02 RA621H
2022 AT03 파일:6823F0BD-E34B-4A01-ABAD-434B76BCABD9.png RBPTH001
2023 AT04 혼다 RBPTH001 }}}}}}{{{#!folding [ 토로 로쏘 ]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colbgcolor=#012055> 2006 STR1 코스워스 TJ2005 (3.0 V10)
2007 STR2 파일:페라리 로고.svg 056 2006 (2.4 V8)
2008 STR3 056 2007
2009 STR4 056 2008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colbgcolor=#012055> 2010 STR5 파일:페라리 로고.svg 056 2009 (2.4 V8)
2011 STR6 056 2010
2012 STR7 056 2011
2013 STR8 056 2012
2014 STR9 파일:르노 로고(2015-2021).svg 르노 에너지 F1-2014 (1.6 V6 T)
2015 STR10 르노 에너지 F1-2015
2016 STR11 파일:페라리 로고.svg 060
2017 STR12 파일:르노 로고(2015-2021).svg 파일:tororosso2018.jpg
2018 STR13 파일:혼다 로고.svg RA618H
2019 STR14 RA619H }}}}}}
}}}}}}}}}


7. 관련 문서


[1] 1970년에 북미 Can-Am에 출전한 채퍼럴 2J과 같은 원리로, 2J의 경우엔 그 해 Can-Am 그룹 7에 출전하였으나, 곧 규정 변경으로 무대에서 사라졌다. 그때까진 거의 한 시즌을 찜쪄먹긴 했지만. 이 컨셉트는 콜린 채프먼에게 영감을 주어, 브라밤 BT46, 소위 "팬 카"로 이어지게 된다. 문제는 이걸로 이득을 보려고 하기 직전 브라밤 팀의 수장인 버니 에클레스톤이 FOCA 연맹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팀 간 의 불화와 밸런스를 조정해야 했고, 에클레스톤은 F1 전체를 위해 브라밤 팀 자체적으로 차량을 포기하게 되고, 이듬해 규정이 신설되어 동적 다운포스에 대한 금지 조항이 생기게 된다. [2] 일반 여객기의 이륙때의 가속도가 3G가량이며, 전투기가 급기동을 할때의 최대 횡가속이 9G. 현재 F1 레이스 카들의 최대 횡 가속도는 5~6G 정도 된다. [3] 코스 레코드는 키미 라이코넨이 2005년에 세운 1:31.540. 예선 기록을 포함한다면 페텔이 1분 30.2초대의 기록을 내기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