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2:24

라일락맛 쿠키/디자인 변경 논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라일락맛 쿠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시즌6 업데이트 논란
,
,
,
,
,

파일:CookieRun_OvenBreak Logo 2019 Korean.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 calc(4em / 3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222><colbgcolor=#ed9,#540><colcolor=#000000,#fff> 게임 요소 보너스타임 · 쿠키( 목록 · 미출시 쿠키 전망 · 이달 조건 · 떼탈출 막변 조건) · 마법사탕 · 호감도
스킨 · · 보물 · 퀘스트 · 마법공방
젤리 스킨 · 길드 · 칭호 · 배틀 패스 · 태그 · 수호카드
콘텐츠 스토리모드 · 쿠키의 도전( 도전 목록) · 트로피 경기 · 마스터 랜드( 마스터랜드 역대 맵)
챔피언스 리그( 그랜드 챔피언스 리그 · 그랑프리 파이널)
떼탈출( 랜덤 챌린지) · 길드전 · 레이드런 · 기억의 섬 · 테크닉 라이센스
종료 / 한정 쿠키 퀘스트 · 1:1 대전 · 쿠키응원단 · 보물의 도전 · 기간한정 콘텐츠
사건사고 버그 및 오류 · 무한런 · 논란 · 커뮤니티 관련
시즌6 업데이트 논란( 전개 · 라일락맛 쿠키 디자인 변경 논란) · UI 개편의 불편성 · 6주년 업데이트 논란 · 시즌9 업데이트 논란
조합추천 콤비펫이 아닌 쿠키의 조합방법 · 떼탈출 무뇌런 조합방법 · 떼탈출 랭커런 조합방법
기타 평가 · 공략 · 역사 · 기록
단편 애니메이션 · 공식 카페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올해의 쿠키 ( 2019년 · 2020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도서
}}}}}}}}} ||

파일:킹덤 라일락맛 쿠키 얼굴.png 라일락맛 쿠키 관련 문서
파일:팔랑일락.png 팔랑일락
등장 게임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쿠키런: 킹덤 쿠키런: 브레이버스
비판
디자인 변경 논란

1. 개요2. 컨셉 변경 관련 논란3. 선정성 관련 논란4. 오리엔탈리즘 및 인종차별 논란
4.1. 이견
5. 에픽 스킨 출시 이후

1. 개요

파일:라일락맛 쿠키(2019).png 파일:라일락맛 쿠키(2019) 공격.png 파일:라일락맛 쿠키2.png
<rowcolor=white> 2019년 디자인 2021년 디자인
쿠키런 시리즈의 등장 캐릭터 라일락맛 쿠키의 디자인 관련 비판 및 논란을 서술한 문서.

시즌6 업데이트 논란과 함께 라일락맛 쿠키가 현재의 디자인으로 변경되면서 논란의 불씨가 커지기 시작했다. 그나마 1년 넘게 지나서 센티피드맛 쿠키의 출시와 함께 스킨을 얻으면서 논란은 수그러들었다.

2. 컨셉 변경 관련 논란

바뀐 디자인에 대해서 말이 많은 편이다. 구버전은 말 그대로 과묵하고 암살자 느낌이 풍기는 멋있는 호위무사라는 평이 많았지만, 바뀐 디자인에선 얼굴과 몸을 가려주던 망토가 사라지고 그 대신 입가리개와 라일락 꽃을 단 무희 이미지로 완전히 변경되어 많은 유저들의 아쉬움과 불평이 이어졌다.[1] 사실 바뀐 디자인은 외전작인 쿠키런: 킹덤의 디자인을 본가에서 역수입한 것이다.
이미지상 라일락을 연상시키는 부분이 허리춤의 꽃 장식이랑 어깨의 문신인데 전부 망토에 가려져 복장 디자인을 변경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라일락맛 쿠키는 분명 호위무사임에도 불구하고 저런 복장을 입혔다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다. 분명 은밀한 컨셉의 무사임에도 기존의 비교적 무사스러운 복장에서 몸을 다 드러낸 무희 디자인으로 변경되어 컨셉과 디자인이 크게 달라졌고[2], 이 때문에 구 디자인이 마음에 들어 까까일보 투표에 라일락맛 쿠키를 뽑은 유저들의 실망이 이어졌다.
이후 공개된 스토리에서 컨셉과 디자인의 변화의 이유에 개연성을 집어넣어 이 모습 자체가 복선으로 추정된다.[3] 하지만 굳이 저렇게 바꿨어야 했냐는 의견과 호위무사인데 무희 이미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견이 더 우세하다. 나중에 스킨으로라도 출시해줬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4]
이후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쿠키런: 킹덤에서도 해당사항이며, 스킬 역시 “가벼운 몸놀림을 보고 감탄한 아군 전체의 평타가 각자의 공속에 비례하며 증가한다”는 지원형으로 나온지라 공속덱을 억지로 밀어주는 것 아니냐면서 까였다.

3. 선정성 관련 논란

파일:한여름낮의 신비로운 꿈 라일락맛 쿠키 일러스트.png
라일락맛의 슈퍼에픽 스킨 '한여름낮의 신비로운 꿈 라일락맛 쿠키'는 기존 디자인에서 색만 금색으로 바꿨지 바지가 비치는 등 노출도가 매우 심해져 아예 벗겨놓은 것 같으며 전연령 게임에 맞지 않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5] 이에 쿠키런 갤러리와 트위터 모두 의상의 노출도가 높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결정적으로 라일락맛 쿠키 출시와 함께 시즌 6 업데이트에 대한 논란이 함께 터져 트위터에서는 디자인을 포함한 운영 전반에 대해 #데브침묵그만해 라는 해시태그를 올려 항의하고 있고 쿠키런 갤러리에서는 시즌 6 업데이트 소개 유튜브 영상에 구독취소, 비추 누르기 운동을 하기까지 했다.
파일:한여름낮의 신비로운 꿈 라일락맛 쿠키.png
다만 정식 출시 때 제대로 바지를 입고 나온 것으로 보아[6] 일러스트만 그러하게 그려진 것이거나, 아니면 여론을 반영해 급하게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7]
이 논란에 대해선 노출을 지적할 거면 용감한 쿠키를 먼저 지적하고 와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누가 봐도 진저브레드를 모티브로 만들었음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캐릭터인 용감한 쿠키와 달리, 이쪽은 이름만 쿠키지 사람에 가까운 캐릭터라서 보는 이로 하여금 주는 느낌이 분명히 다르므로 동일선상에 놓고 보기 힘든 면이 있다.

4. 오리엔탈리즘 및 인종차별 논란

라일락맛 쿠키의 재디자인된 복장은 동양에 대한 판타지가 결합된 전형적인 아랍권 오리엔탈리즘 스테레오타입 복장이다. # 라일락맛 쿠키가 입고 있는 복장은 실제로는 지구상 그 어느 곳에서도 입지 않는 복장이며,[8] 오히려 할리우드나 서브컬쳐 쪽에서 아랍권과 인도권을 구분짓지 않고 뭉뚱그려 표현하다 보니 어쩌다 아랍권의 스테레오타입으로 정착되어 버린 혼종 옷이다. 우리가 흔히 아랍권 의상 하면 떠오르는 알라딘의 자스민 공주 옷이나 대부분의 게임에서 무희 의상이라며 출시하는 배꼽이 드러나는 노출도가 높은 옷을 떠올리면 쉽다. 그러나 실제로 아랍권은 몸을 가리는 베일을 입으며, 흔히 떠오르는 배꼽티와 파자마 바지아랍이 아니라 튀르키예의 벨리댄스 무희 복장 혹은 인도의 복장이다.
이를 한국으로 비유하자면, 미국에서 개발된 게임이 한국인 캐릭터를 내놓았고, 그 캐릭터가 한국의 전통 상투를 틀기는 틀었는데 눈이 쫙 찢어졌으며[9] 판다를 펫으로 데리고 있는 데다 도무지 어느 나라의 것인지 알 수 없는 비단옷을 입고[10] 일본의 전통 신발인 게다를 신고 있는 꼴이다. 이러니 아랍권에 대한 인종차별이라며 말이 나온 것이다. 가뜩이나 데브시스터즈는 그동안 다른 문화권을 베이스로 삼은 쿠키들은[11] 퓨전을 가미하되 최소 그 문화권에 맞게 디자인했기 때문에 더욱. 심지어 같이 엮이는 전갈맛 쿠키가 같은 아랍풍 디자인임에도 아랍풍 의상을 훨씬 더 잘 반영해 호평을 받고 있어 비판이 더 가중되고 있다.
무희복 자체도 논란거리이긴 하나, 특히 '섹시 중동 무희복 차림을 한 남성'이 중동에선 드물지 않은 일이라고 알려져 있는 판타지는 오래 전부터 서남아시아 국가에 대한 이상한 편견을 강화하는 행위로써 민감하게 받아들여지던 일이기에 이 논란은 터질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알로에맛 쿠키의 성별 논란을 비롯하여 운영진의 PC적 행보에도 압도적으로 호감을 표하던 외국 유저들 사이에서마저 이번 라일락맛 쿠키의 복장에 대해서는 의견이 많이 갈리고 있으며, 아랍권 유저들의 경우 특히 더 실망감을 표하고 있다.

서양 측 팬덤에서는 라일락맛의 피부색도 문제 삼고 있는데, 아랍인의 피부는 라일락맛의 피부처럼 새까맣지 않다는 것이 주요 논쟁거리다. 당장 아랍인이 백인으로 분류되는 데다, 유명한 아랍인들의 사진만 봐도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흑인의 피부색과는 거리가 멀다. 만수르(아랍인)와 마이클 조던(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피부색을 비교해보자. 심지어 요구르카는 인도 쪽 이미지도 포함하고 있는데, 인도인들은 피부가 하얀 사람이 더 많다. 쿠키런 세계관 안에는 박하사탕맛 쿠키처럼 새하얀 피부를 가진 쿠키는 물론이고 석류맛 쿠키처럼 새까만 피부를 가진 쿠키도 있고, 망고맛 쿠키처럼 적당히 어두운 피부를 가진 쿠키도 있어서 '쿠키런 세계관에는 아랍인의 피부색을 가진 쿠키가 없었다'고 해도 뭔가 어불성설인 것.[12]

4.1. 이견

한편으론 인종차별 논란 자체가 가혹한 처사라고 보는 시선도 있다. 요구르카부터가 서양 쪽 괴물 예티, 인도 신화의 나가, 그리스 신화의 메두사, 아랍풍의 중국 이야기인 알라딘을 전부 섞은 판타지이며, 알라딘, 투란도트 등 중국~중동을 망라하는 뒤섞인 문화 정체성으로 익히 알려진 작품이 현재까지도 논란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버젓이 공연되고 있으며,[13] 요구르카라는 배경 자체가 중동을 은연중에 연상시킨다 쳐도 현실 세계의 중동과 동일시키는 언급이 없고[14] 논란의 라일락맛 쿠키도 베일에 싸여있단 컨셉으로 출신을 명확히 하지도 않았다. 결과적으로 타 서브컬쳐 게임에서도 비슷한 속성의 캐릭터가 수도 없이 등장했는데, 유독 쿠키런에만 박하다는 의견이다.[15]

피부색 관련 논란도 인정하기 어려울 수 있는게, 애초에 쿠키는 식품을 컨셉으로 둔 것이고, 라일락 관련 식품 중 가장 잘 알려진 라일락차가 진한 갈색을 띤지라 # 색을 거기서 따왔다 보는 게 더욱 합당하다는 의견이다. 쿠키의 색을 인종과 결부시키기도 어려운 것이, 예를 들어 다크초코 쿠키는 검은 빛의 초콜릿을 모티브로 한 악역인데 이것이 흑인을 악역으로 묘사해 비하했다는 논란이 된 적이 없다.[16][17] 또한 열대 지역을 연상시키는 망고맛 쿠키가 수다쟁이라 남을 귀찮게 할 때가 있다 하는 이야기로, 모든 열대 지역 사람을 이상하게 묘사해 비하했다는 지적으로 결부된 바가 없다. 스테레오타입의 적용으로 인한 비하라 보는 것도 일반화의 오류가 될 가능성이 있다. 쿠키 자체의 특성은 각자 쿠키의 개성적 속성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동양권 국가에서 직접 동양을 모티브로 한 판타지를 그리는 것과, 서양에서 동양에 대한 판타지를 그리는 것은 그 차이가 크다.[18] 한국에서 동아시아 편견 짬뽕 오리엔탈리즘이 조롱받는 것과 같은 논리로, 서남아시아 국가 사람들의 입장에선 서남아시아의 문화가 다른 지역의 사람들에 의해 편견과 함께 재창작되었다는 것은 불쾌할 수도 있다.

5. 에픽 스킨 출시 이후

파일:초대받지 않은 손님 라일락맛 쿠키.png
2023년 4월 〈수상한 요거트 사막 마을〉 업데이트에서 에픽 스킨을 받았는데, 기존 스킨과 달리 노출이 사라진 데다 스토리에서도 망토를 입고 나오는 모습도 보임에 따라 해당 논란은 사그라들었다.


[1] 초창기 디자인 특유의 비밀스럽고 멋있는 분위기, 늠름한 호위기사 이미지로 인기가 높았기 때문. [2] 다만 구 디자인 역시 망토에 가려졌지 몸이 다 드러났었다. [3] 자세한 내용은 라일락맛 쿠키 문서의 스토리 문단을 참조. [4] 이후 킹덤에서 쿠키 스킨 업데이트 때 '호위무사 라일락맛 쿠키'라는 이름의 스킨으로 구 모습이 등장하긴 했다. 당연히 평가는 좋은 편. [5] 기존에 가장 노출이 많았던 라임맛 쿠키보다 노출도가 심하다. 근육맛 쿠키는 애초에 개그성에 가까우므로 제외. [6] 정확히는 투명했던 하의에 컬러를 입힘으로써 노출을 없앴다. [7] 시즌 6 업데이트로부터 불과 한 달도 전에 최초공개 이후 아몬드맛 쿠키의 능력 이펙트가 너무 심심하다는 여론이 형성되자 최초공개~정식 출시 기간 사이에 급하게 이펙트를 추가한 전적이 있다. [8] 당장 히잡, 아바야 등 실제 아랍권에서 입는 의상들의 공통점이 피부를 가린다는 것임을 생각할 때 애초에 라일락맛 쿠키의 옷이 저렇게 노출도가 심하다는 것이 NG다. [9] chinky eyes라고 불리는 인종차별적 묘사이다. [10] 서구권에는 대충 무늬 들어간 비단옷이면 죄다 아시아권(특히 중국 혹은 일본)의 전통 옷이겠거니 하는 고정관념이 심한 편이다. [11] 가령 중국풍 쿠키인 복숭아맛 쿠키, 자두맛 쿠키, 대추맛 쿠키라던지. [12] 여담으로 데브는 사실 쿠키런 시리즈 모든 세계관 쿠키들에게는 특정 인종은 없다며 공식적으로 밝혔다. [13] 물론 투란도트를 소재로 한 공주는 잠 못 이루고의 경우 청나라 시대로 배경을 바꾸고 복장 재현 또한 제대로 했으며, 실사영화 알라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중동의 복장을 잘 재현해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4] 요거트크림맛 쿠키조차도 뒤섞인 문화 정체성의 알라딘이 모티브. [15]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여장한 링크의 복장도 국제적 인기게임으로서 이용자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논란으로 비화된 일을 찾기 어려우며, 페그오 미드라시의 캐스터, 불야성의 캐스터도 비슷한 속성을 가지고 있고, 샨테 시리즈 또한 아라비아풍임에도 주인공부터가 무희스러운 복장을 하고 있다. [16] 게다가 다크초코 쿠키의 옷차림은 백인이 주가 되는 중세~근대 유럽풍의 디자인이며, 다크초코 쿠키의 출신지인 다크카카오 킹덤은 건물 양식 등이 한국풍이다. 이것만 봐도 단순히 캐릭터의 피부색을 가지고 특정 인종이나 문화와 엮는 것은 억지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17] 이 외에도 앞서 언급한 어두운 피부색의 석류맛 쿠키와 하얀 피부색의 스네이크후르츠맛 쿠키가 동일하게 일본풍을 하고 있는 등, 본 시리즈에서는 피부색 자체와는 무관하게 쿠키의 문화적 배경을 설정하는 사례가 많다. [18] 동양에서 묘사하는 동양 판타지(무협물, 황궁물 등)는 동양 국가에 대한 이해도를 전제로 깔고 퓨전한 것에 가깝지만 서양에서 그리는 동양 판타지는 그 국가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고착화된 편견을 전제로 창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찢어진 눈이나 보라색 브릿지 등이 그 예.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