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0:22:03

도쿄도청

도쿄 도청에서 넘어옴

파일:일본 국기.svg
역대 일본 최고층 마천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0000> 1936년~1964년 <colbgcolor=#e6e6e6,#2d2f34> 일본 국회의사당 65 m / 9층
1936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64년~1968년 호텔 뉴 오타니 도쿄 72 m / 17층
1964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68년~1970년 가스미가세키 빌딩 156 m / 36층
1968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70년~1971년 도쿄 세계무역센터 163 m / 40층
1970년 완공
도쿄도 미나토구
1971년~1974년 게이오 플라자 호텔 180 m / 47층
1971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4년 신주쿠 스미토모 빌딩 210 m / 52층
1974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4년~1978년 신주쿠 미쓰이 빌딩 225 m / 55층
1974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8년~1991년 선샤인 60 240 m / 60층
1978년 완공
도쿄도 도시마구
1991년~1993년 도쿄도청 243 m / 48층
1991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93년~2014년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 296 m / 70층
1993년 완공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2014년~2023년 아베노하루카스 300 m / 60층
2014년 완공
오사카부 아베노구
2023년~ 아자부다이 힐스 325 m / 64층
2023년 완공
도쿄도 미나토구
2027년~(예정) 토치타워 390 m / 63층
2027년 예정
도쿄도 치요다구
}}}}}}}}}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1f2023>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홋카이도 문장_White.svg
홋카이도/北海道
파일:아오모리 문장_white.png
아오모리현/青森県
파일:이와테 문장_white.png
이와테현/岩手県
파일:미야기 문장_white.png
미야기현/宮城県
파일:아키타 문장_white.png
아키타현/秋田県
홋카이도청 아오모리현청 이와테현청 미야기현청 아키타현청
파일:야마가타 문장_white.png
야마가타현/山形県
파일:후쿠시마 문장_white.png
후쿠시마현/福島県
파일:이바라키 문장_white.png
이바라키현/茨城県
파일:도치기 문장_white.png
도치기현/栃木県
파일:군마 문장_white.png
군마현/群馬県
야마가타현청 후쿠시마현청 이바라키현청 도치기현청 군마현청
파일:사이타마 문장_white.png
사이타마현/埼玉県
파일:치바 문장_white.png
치바현/千葉県
파일:도쿄 문장_white.png
도쿄도/東京都
파일:카나가와 문장_white.png
가나가와현/神奈川県
파일:니가타 문장_white.png
니가타현/新潟県
사이타마현청 치바현청 도쿄도청 가나가와현청 니가타현청
파일:도야마 문장_white.png
도야마현/富山県
파일:이시카와 문장_white.png
이시카와현/石川県
파일:후쿠이 문장_white.png
후쿠이현/福井県
파일:야마나시 문장_white.png
야마나시현/山梨県
파일:나가노 문장_white.png
나가노현/長野県
도야마현청 이시카와현청 후쿠이현청 야마나시현청 나가노현청
파일:기후 문장_white.png
기후현/岐阜県
파일:시즈오카 문장_white.png
시즈오카현/静岡県
파일:아이치 문장_white.png
아이치현/愛知県
파일:미에 문장_white.gif
미에현/三重県
파일:시가 문장_white.png
시가현/滋賀県
기후현청 시즈오카현청 아이치현청 미에현청 시가현청
파일:교토 문장_white.png
교토부/京都府
파일:오사카 문장_white.png
오사카부/大阪府
파일:효고 문장_white.png
효고현/兵庫県
파일:나라 문장_white.png
나라현/奈良県
파일:와카야마 문장_white.png
와카야마현/和歌山県
교토부청 오사카부청 효고현청 나라현청 와카야마현청
파일:돗토리 문장_white.png
돗토리현/鳥取県
파일:시마네 문장_white.png
시마네현/島根県
파일:오카야마 문장_white.png
오카야마현/岡山県
파일:히로시마 문장_white.png
히로시마현/広島県
파일:야마구치 문장_white.png
야마구치현/山口県
돗토리현청 시마네현청 오카야마현청 히로시마현청 야마구치현청
파일:도쿠시마 문장_white.png
도쿠시마현/徳島県
파일:카가와 문장_white.png
카가와현/香川県
파일:에히메현 문장.svg
에히메현/愛媛県
파일:고치 문장_white.png
고치현/高知県
파일:후쿠오카 문장_white.png
후쿠오카현/福岡県
도쿠시마현청 카가와현청 에히메현청 고치현청 후쿠오카현청
파일:사가 문장_white.png
사가현/佐賀県
파일:나가사키 문장_white.png
나가사키현/長崎県
파일:구마모토 문장_white.png
구마모토현/熊本県
파일:오이타 문장_white.png
오이타현/大分県
파일:미야자키 문장_white.png
미야자키현/宮崎県
사가현청 나가사키현청 구마모토현청 오이타현청 미야자키현청
파일:가고시마 문장_white.png
가고시마현/鹿児島県
파일:오키나와 문장_white.png
오키나와현/沖縄県
가고시마현청 오키나와현청 }}}}}}}}}
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도청
東京都庁舎 /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파일:도쿄도청 제1청사.png
<colbgcolor=#4b0082> 도청 소재지
(제1청사)
도쿄도 신주쿠구 니시신주쿠 2-8-1
(東京都新宿区西新宿二丁目8番1号)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도부현 도쿄도
직원 수 165,103명
예산 15조 4522억엔(2020)
도지사 고이케 유리코 (재선)
[[도민퍼스트회|
도민
]]
부지사 하세가와 아키라
다라오 미쓰치카
가지하라 히로시
미야사카 마나부
사이트 홈페이지
한국어 홈페이지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도쿄도청 홍보과 공식 트위터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도쿄도청 홍보과 공식 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도쿄도청 홍보과 공식 인스타그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마천루 정보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b0082> 착공 1988년 4월
완공 1990년 12월
층수 지상 48층 / 지하 3층 (제1청사)
높이 243m (제1청사)
설계자 단게 겐조 }}}}}}}}}

1. 개요2. 직제3. 청사
3.1. 건물 구조3.2. 전망대3.3. 문제점3.4. 가상 매체에서의 등장

[clearfix]

1. 개요

도쿄도 지방정부의 청사이다.

2. 직제

  • 도지사
  • 부지사
  • 지사부국(知事部局)
    • 정책기획국(政策企画局)
    • 총무국(総務局)
    • 재무국(財務局)
    • 주세국(主税局)
    • 환경국(環境局)
    • 복지국(福祉局)
    • 보건의료국(保健医療局)
    • 산업노동국(産業労働局)
    • 도시정비국(都市整備局)
    • 건설국(建設局)
    • 항만국(港湾局)
    • 회계관리국(会計管理局)
    • 디지털서비스국(デジタルサービス局)
    • 생활문화스포츠국(生活文化スポーツ局)
  • 공영기업(公営企業)
    • 교통국(交通局)
    • 수도국(水道局)
    • 하수도국(下水道局)
  • 행정위원회(行政委員会)
    • 공안위원회(公安委員会)
    • 교육위원회(教育委員会)
      • 교육청(教育庁)
    • 인사위원회(人事委員会)
    • 노동위원회(労働委員会)
    • 감사위원(監査委員)[2]
    • 수용위원회(収用委員会)
    • 선거관리위원회(選挙管理委員会)
    • 해구어업조정위원회(海区漁業調整委員会)
    • 내수면어장관리위원회(内水面漁場管理委員会)

3. 청사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에 있는 마천루. 도쿄도의 도청 건물이다.

중심인 제1청사는 지상 48층, 243m짜리 마천루 두 동으로 구성된 마천루이다. 1988년 착공하여 1991년 완공되었으며, 1993년 요코하마시 미나토미라이 지구에 296m의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고층건물이었다. 도쿄에서는 2007년 아카사카의 미드타운 타워가 타이틀을 이었다.

도영 지하철 오에도선 도초마에역과 바로 이어져 있으며, 지하도로 신주쿠역에서 걸어올 수도 있다.

3.1. 건물 구조

파일:external/www.yokoso.metro.tokyo.jp/illust-tochou.gif
48층 제1청사와 34층 제2청사 그리고 7층 도의회 건물[출처]
도쿄도청은 도청인 제1청사와 제2청사, 그리고 도의회 건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망대가 있는 48층짜리 두 개 타워는 제1청사이다. 한 개의 탑으로 올라가다가 33층에서 두 개로 쪼개져서 48층까지 올라가며, 제2청사는 좌측의 34층짜리 마천루이며, 도의회는 전면의 지상 7층짜리 건물이다. 45층의 전망대와 32층의 도청 식당 등이 있는데 이 두 시설은 일반 관광객들도 사용할 수 있다.

지자체 청사가 243m씩이나 되는 마천루라 특이하다. 구 도쿄도청이 이미 수용능력 초과로 몸살을 앓고 있었으며 이들 시설을 평범하게 지으려면 부지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하는데, 도쿄의 살인적인 지가로 발목이 잡혔다. 게다가 버블경제 말기라 일본에 상대적으로 여력이 있었으며 당시로서는 인구가 역성장할 것이라 예상하기 이른 시기라 차후 수요 증가에도 대응하는 등 여러 이유로 마천루 도청 건설이 결정되었다. 그리고 도쿄 광역권의 규모와 위상을 고려하면 과할 정도로 거대한 것은 아니다.[4]
파일:tange old city hall 1.jpg
파일:tange old city hall 2.jpg
구 도쿄도청. 1957년 완공, 1991년 철거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건축가 단게 겐조[5]가 설계했다. 현재 치요다구 소재의 도쿄국제포럼[6] 자리에 있었던 구 도쿄도청도 그가 설계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포스트 모더니즘에 가깝다는 평을 받고 있다. 외관 자체는 일본의 전통 건물의 디자인[7]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하나, 내부 직원의 회고에 따르면 외형은 컴퓨터 칩을 모티브로 했다고 밝혔고, 제1청사의 모습은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의 모습에서 많이 따왔다고 한다.

3.2. 전망대

일본은 상술했듯 살인적인 지가 문제로 지자체 청사가 마천루로 지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덤으로 정부 청사이니 공익을 위해 이를 무료 개방하는 경우가 많은데,[8] 도쿄도청 또한 제1청사의 남, 북부 타워 양쪽 모두 무료 전망대가 있다.[9] 높이는 모두 지상 45층.[10] 전망대 내부에는 도쿄 만이 내려다보이는 카페가 있으며 중앙에는 각종 캐릭터 상품을 파는 매장이 위치해 있다.

두 전망대의 운영 방식은 미묘하게 다른데, 남쪽 전망대가 좀 더 일찍 닫으며[11] 휴일도 살짝 다르다.[12] 전망대가 여는 시각이 시각이니만큼 일출을 보기 위해서는 사전 예약을 해야 한다고 한다.

정부 청사인 만큼 테러 방지 대책으로 엘리베이터 탑승 전 간단한 짐 검사를 하며, 삼각대를 가지고 있을 경우 전망대에서는 사용하지 말 것을 통보한다. 다만 셀카봉은 이러한 경고를 하지도 않고, 위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쓰는데 직원들이 딱히 제지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없는 듯하다. 무료 전망대인만큼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삼각대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막는 듯하다.

3.3. 문제점

건물 자체가 워낙 특이하게 생겨서 당시 기준으로도 건설비가 많이 투입되었고 유지보수 또한 기존의 유지보수 방식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아 유지관리 비용 지출이 크다고 한다. 3동 전체의 건설비는 약 1,569억 엔이며 연간 유지비용은 약 40억 엔 수준. 일본에서도 버블 경제에 지어진 것과 연관하여 버블탑 내지는 세금 타워라 야유하는 사람들이 있다.

도쿄도 청사가 착공한 1988년은 버블경제의 최정점에 올라 있던 시기로, 도쿄에 뒤이어 치바현, 가고시마현(1996), 군마현(1999), 카가와현(2000)[13] 등이 마천루 형식의 신청사를 개장하기도 했다. 도청사 개장 당시 12년째 재직중이던 스즈키 슌이치 도지사가 도청 외에도 임해부도심, 도쿄 국제 포럼 등의 거대 사업을 벌여놓는 바람에 매년 1조엔 가까운 지방채 발행을 하는 등 도쿄의 재정은 악화일로를 달렸다.

2006년에 조사된 바에 따르면 보수에 건물 건축비의 3분의 2에 가까운 1,000억 엔이 필요하다는 예상이 나왔다. 특이한 건물 디자인으로 인해 기존의 보수 방법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것이 보수 비용의 상승에 이바지하고 있다고 한다. 도쿄도의 천문학적인 세입을 고려하더라도 확실히 부담되는 금액. 하지만 도청사를 이전하려면 새로운 도청을 건설할 부지를 확보해야 하고, 재건축한다 해도 재건축할 몇년간 임대할 임시 도청을 확보해야 하는데 21세기 도쿄는 도쿄도청이 지어지던 버블경제 시기보다도 지가가 비싸다. 최고가 지가가 도쿄의 1/10 수준인 서울에서 한국전력공사 삼성동 청사 부지가 10조원에 팔려나갔다. 현 시점에서는 무조건 1,000억 엔 들여서라도 보수할 수밖에 없다.

도쿄도는 건물 노후화 대응을 위해 2012년부터 762억엔을 들여 리뉴얼 공사를 하고 있다.( 도쿄도 재무국 자료) 가뜩이나 이미 비가 샐 정도로 노후화된 데다 2011년 대지진으로 인한 내진구조 강화 필요성 때문에 불가피한 공사였지만, 재미있는 것은 사업비 억제를 위해 최대한 기존 규격자재를 사용한다고 한 것. 단게의 원 건축이 그만큼 특주품을 많이 썼다는 의미이다.

3.4. 가상 매체에서의 등장

건물의 본 목적도 그렇거니와 도쿄 타워, 도쿄 스카이트리, 시부야의 109 타워와 함께 도쿄도를 대표하는 랜드마크중 하나이므로 도쿄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지에서 꽤 자주 나온다. 그리고 자주 부숴진다.

기동무투전 G건담에서 등장했지만, 데빌 건담의 등장으로 인해서 서서히 붕괴되고 있었다. 여기서 도몬 캇슈 마스터 아시아와 처음으로 대면하는 장소로 나타나고, 초반에는 데스 아미군대를 섬멸하는 장소로 나오고, 동시에 마스터 아시아가 갑자기 적군화 되어서, 쿠론 건담 마스터 건담으로 변신하는 장면으로 나오고, 전 셔플동맹의 죽음과 데빌 건담에 바쳐지는 '데스 아미'군대들 그리고 사이 사이시, 치보데 크로켓, 죠르쥬 드 샹드, 아르고 가르스키, 도몬 캇슈등이 마스터 아시아와 첫 상대를 하게된다. 또 한, 슈발츠 브루더라는 인물도 처음으로 대면을 한다. 여기 이 장소에서는 데빌 건담의 부활이 나타난 장소로 나타나고, 도쿄도청은 반으로 작살나면서 붕괴 되었다.

디지몬 테이머즈에서 등장. 첫 일상에서부터 이후 초중반(=14화)에는 첫 번째 데바 미히라몬이 나타난 장소로 나타났고, 미히라몬은 이 후 메가로그라우몬과 대결끝에 사망하게 되고, 그 후 현실세계에 마지막으로 출현한 데바인 비가라몬을 '샤카이 프로그램'으로 제거하려 하나, 도중에 나타난 6번째 데바인 마쿠라몬으로 인해서 역공되면서 시스템이 망가졌다. 후반부에는 데리파가 침식, 주인공 일행이 데리파를 제거하고 황주연을 구하기 위해 이 건물로 향한다. 한편 TCG에서는 '소용돌이치는 빌딩'이라는 카드에서도 등장.

드래그 온 드라군 E엔딩

크레용 신짱 극장판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에서도 도쿄도청이 나온다

잔향의 테러에서는 폭탄 테러를 당한다.

넥스트 제네레이션 패트레이버 장편 극장판 '수도 결전'에서도 폭탄 테러 당한다.

배틀로얄 2편에서는 아예 첫장면부터 폭탄테러로 시원하게 부서진다. 그리고 관객들을 낚았다.

소닉 윙즈 1편 일본 스테이지에서 등장한다. 여기에서는 보스가 건물 내부에 숨어있었다가 건물 유리창을 깨고 필드로 난입하며, 양쪽의 마천루 탑을 부수면 파워업, 붐 아이템이 나온다.

액티브 레이드 -기동강습실 제8계- 2기 1화에서는 대부분의 기능을 하치오지에 위치한 신 도청사로 옮겼으며, 구 도청은 해체가 진행중으로 나온다.

용자왕 가오가이가에서는 대망의 1화에서 존더 로보 EI-02의 파괴대상으로 나온다. 그 이유는 소체가 된 인물이 도쿄도청 건설에 관여했던 건설업자 였는데, 부정 입찰로 회사가 부도가 나자 그야말로 빈털털이가 되어 알거지가 되었기 때문. 훗날 이 원한을 존다리안에게 악용당해 존다 로보화 되어버린다. 최종화인 49화에서도 기계 신종 조누다가 도청 인근에 추락, 도시 일대를 물질승화 시키려 했다.

파이널 판타지 XV에서는 루시스 왕국의 수도 인섬니아의 왕궁으로 나온다. 다만 세부적인 양식은 원본보다 고풍스럽게 수정되어서 도청이 아니라 세련된 성당의 느낌이 나는것이 특징.

신 하야리가미 2의 에피소드 4화에서는 주인공이 도쿄도청의 비밀을 밝혀내는 것이 주된 스토리인데 루트에 따라서 도청이 로봇으로 변해서 후지산에 있는 괴수와 싸운다.

츠바사 크로니클에서 츠바사 일행이 방문한 평행세계 중 하나에서 등장한다.

종말의 세라프에서 일본 제귀군 본부로 등장한다.

용과 같이 7: 빛과 어둠의 행방의 인물인 아오키 료가 근무하는 건물로 등장한다.

어설트 릴리 Last Bullet에서 휴지에게 점령당한다.

좀100: 좀비가 되기 전에 하고 싶은 100가지에서 좀비 사태로 난리난 도쿄의 상황 속에 왼쪽 전망대 쪽이 불에 타는 수난을 당한다.

세계수의 미궁과 리메이크작 신 세계수의 미궁 밀레니엄의 소녀의 5계층이다. 계층 이름부터 대놓고 유적도시 신주쿠라고 말하며 쌍둥이 건물에서 내려가는 형태의 지형을 하고 있다.

R-TYPE Δ의 1스테이지 "광기"에서도 저멀리 배경으로 지나간다.

제로 거너 2에서도 수몰된 도시 스테이지의 보스전 2페이즈 배경으로 등장한다.

이차원의 저격수에서 오키야 스바루(최수현)가 이곳에서 케빈 요시노를 M-200으로 역저격한다. [14]

이나중 탁구부에서 다케다와 교코가 사귄다는 이야기를 탁구부원들이 릴레이 귓속말로 전하는데, 마에노가 중간에 뜬금없이 "도쿄 도청이 거대한 로봇으로 변신한다"라고 정보 오염을 시켜버린다. 개그 만화에서 뜬금포 소재로 이용할 만큼 당시 도쿄도청의 일본 국내 위상을 알 수 있는 부분.[15]
[1] 총무성 소방청과는 다른 조직. [2] 5명 [출처] 도쿄도청 건물 안내 공식홈페이지 [4] 실제 청사가 완공된 1990년에서 2020년 사이 일본 전체의 인구는 2008년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1억 2400만명으로 거의 그대로이지만 도쿄도는 오히려 1990년부터 인구가 증가세로 바뀌어 1185만명에서 1400만명 가까이로 대폭 늘었다. [5] 1987년 프리츠커상 수상. 도쿄대 명예교수. 호텔, 기념관, 박물관, 미술관, 대기업 본사, 대학, 청사, 국립 요요기 경기장 등 수많은 중요 건축물을 설계했다. 도쿄도청 옆에 있는 신주쿠파크타워도 그의 작품이다. 한국에는 김수근의 서울-인천 선형 도시계획이 단게 겐조의 1960 도쿄계획을 참조한 것으로 영향을 받았다. 이 흔적은 서울 도심-공덕-여의도 마천루로 현재도 일부 남아있다. 이후 1980년대 영동개발(강남)이 진행되며 경인축 선형개발은 서울 3대 부도심 개발(도심, 여의도, 강남)로 선회하게 된다. [6] 유라쿠초역 인근에 있으며 라파엘 비놀리가 설계했다. 서울의 종로타워도 설계했기 때문에 해당 항목에 관련 내용이 있다. [7] 오사카의 부농인 요시무라 가의 저택 천장에 있는 긴 격자 패턴을 응용했다고 한다. [8] 일본 다른 지역 지자체 청사도 최상층에 무료 전망시설이 있는 경우가 많다. 도쿄도청이 가장 유명하지만 그 외에 좀 알려진 곳이 고베, 기타큐슈 등이 있다. [9] 단 2023년 현재는 남쪽 타워의 전망대만 개방되어있다. 북쪽 타워의 전망대는 코로나19 예방접종 센터로 쓴다. [10] 202m 지점. [11] 북부: 09:30~23:00, 남부:09:00~17:30. 단, 북부 전망대의 휴일에는 남부 전망대를 23:00까지 개방한다. [12] 북부 전망대는 2,4번째 월요일, 남부 전망대는 1,3번째 화요일이 휴일이다. 1월 1일을 제외하고 12월 29일~1월 3일까지는 둘다 문을 닫는다. [13] 도쿄도청사와 같이 신구 청사가 모두 단게 겐조의 작품이다. 도쿄는 단게가 스즈키 도지사의 선거 후원 단체를 주도할 정도로 막역한 사이였고, 가가와는 단게의 출신지이다. [14] 건물 모양과 위치로 보아 확실 [15] 이 만화는 이런 식의 개뜬금 개그를 많이 선보인다. 가령 어디 침입하는데 암구호가 김연자라든가... (일본어 원판에선 김연자, 한국에서는 설운도로 로컬라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