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8 09:11:58

녹그래프턴 전설


1. 개요2. 줄거리3. 참고 문헌

1. 개요

The Legend of Knockgrafton

아일랜드의 민담. 19세기경에 기록되었으며 조지프 제이콥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등의 판본이 유명하다.

1825년 토머스 크로프턴 크로커(Thomas Crofton Croker)의 저서 '아일랜드의 남쪽의 요정 전설들과 전통들(Fairy Legends and Traditions of the South of Ireland)'에서 처음 기록되었다.

노래 It's a Long Way to Tipperary로 유명한 아일랜드 남부 티퍼레리 동남쪽의 해자 및 고분인 녹그래프턴(Knockgrafton)에 사는 요정( 이스시)를 인간이 만난다는 내용이다.

신데렐라- 콩쥐팥쥐의 유사성처럼 한국과 일본의 이야기인 혹부리 영감과도 비슷한 전개의 이야기이다.

프랑스의 그림책 시리즈인 앙뜨북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여기서는 아일랜드와 같은 켈트 문화권인 브르타뉴 배경으로 나왔다.

2. 줄거리

밀짚모자에 꽃이나 약초의 샘을 자주 달고다녔기 때문에, 루스모어(Lusmore, 아일랜드어: lus morr, 문자 그대로 '위대한 약초', '여우 장갑'을 지칭)라는 별명을 가진, 짚이나 러시로 짠 납작한 상품을 팔며 생계를 이어가던 곱사등이가 있었다. 그는 티퍼러리 카운티의 아흘로의 글렌(Glen of Aherlow)에 살았다.

어느 날 케허(Cahir)에서 케프라(Cappagh)로 장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그는 지쳐 녹그래프턴의 해자(목조) 근처에서 쉬었고, 날이 어두워지자 목조 안에서 아일랜드어로 "Da Luan, Da Mort(월요일, 화요일)"의 후렴구를 부르는 목소리를 들었다. 노래가 멈추자, 루스모어는 다시 노래를 부르며 긴장감에 "agus Da Cadine (그리고 수요일)"을 추가했다. 이것은 요정들을 기쁘게 했고, 루스모어는 회오리바람에 의해 해자 안으로 들어왔다. 그 곳에서 그는 후한 대접을 받았다. 그 후에 요정들은 이 노래를 부르며 혹을 없앴다.
Lusmore! Lusmore!
Doubt not, nor deplore,
For the hump which you bore
On your back is no more;
Look down on the floor
And view it, Lusmore!
루스모어! 루스모어!
의심하지 말고, 슬퍼하지 마라
네 등에 있는 혹은
더 이상 없을 것이니;
마루 위를 보아라.
그리고 그것을 보라, 루스모어!

그의 혹은 보상으로 제거되었고, 새로운 좋은 옷 세트도 함께 받았다.

그때 한 노파가 이 소식을 듣고는 데키(데이시)의 땅인 워터포드 카운티 출신이라고 말하며 찾아왔다. 그녀는 대모("gossip")의 촉을 가진 아들을 대신하여 루스모어의 이야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었다. 잭 매든(Jack Madden)이라는 꼽추는 행동을 모방하기 위해 해자로 이동했지만, 혹을 빨리 제거하고 싶은 억누를 수 없는 열망으로 요정들을 방해하고 옷으로 두 배의 보상을 받기를 바라며 "Da Dardine, augus Da Hena(목요일과 금요일)"라는 후렴구로 이틀을 더 추가했다. 이것은 요정들을 화나게 했을 뿐이었고, 단단히 화가 난 요정들은 이 노래를 부르며 잭 매든에게 혹을 더 붙여버렸다.
Jack Madden! Jack Madden!
Your words came so bad in
The tune we felt glad in;
This castle you're had in,
That your life we may sadden;
Here's two humps for Jack Madden!
'잭 매든, 잭 매든!
네 말은 우리가 즐거워하는 곡조를
아주 망가뜨렸다.;
네가 들어온 이 성은,
우리가 슬프게 할 네 삶이다.
여기 잭 매든을 위한 두 개의 혹이 있다.

그 보답으로 그들 중 20명의 강한 요정들이 루스모어의 혹을 가져와 잭의 원래 혹 위에 추가했다. 잭은 나중에 비탄에 빠졌다. 결국 어마어마한 혹의 무게 때문에 죽고 말았다고 한다....

영어 원문을 잘 보면 두 노래 모두 각 문장의 마지막 절이 라임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합격 목걸이

3.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