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09:01:17

완도군/행정

노화읍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완도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cd00>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F47420 21%, #F47420);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89c50 21%, #089c50);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1D298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D298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98DD0>
군청
완도읍
금일읍 노화읍
고금면 군외면 금당면
보길면 생일면 소안면
신지면 약산면 청산면
}}}}}}}}} ||
<colbgcolor=#0d3895><colcolor=#fff>
완도군 (3읍 9면)

1. 개요2. 완도
2.1. 완도읍2.2. 군외면
3. 소안군도
3.1. 노화읍3.2. 보길면3.3. 소안면
4. 신지도, 고금도, 조약도
4.1. 신지면4.2. 고금면4.3. 약산면
5. 생일도, 평일도, 금당도
5.1. 금일읍5.2. 생일면5.3. 금당면
6. 청산도
6.1. 청산면

1. 개요

완도군은 조선시대 때 영암, 강진, 장흥의 여러 섬들을 짜깁기해서 만들어진, 비교적 역사가 짧은 군이다. 신안군과 동일하게 읍면급 섬 여러개가 산재한 형태를 띠고 있으나, 신안군이 군내에 딱히 군 전체를 포괄하는 중심지가 없고[1] 생활권이 무안군이나 목포시에 완전히 종속된 것과 달리 완도군은 완도읍이 군의 중심지 역할을 다소 잘 해내고 있다.

그럼에도 약간 생활권이 뒤죽박죽이다. 소안군도 3섬, 배가 완도항에서만 뜨는 청산도, 완도와 다리로 연결된 신지도야 당연히 완도읍을 중심으로 교통과 생활권이 잘 짜여 있지만[2], 금당도는 아예 고흥군 생활권이다. 전화번호도 면사무소 빼고 다 녹동전화국 국번을 쓴다.

여담으로, 섬들이 산재한 지역이라 교통이 불편해 읍면별로 중학교가 다 1개씩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단 생일면은 인구가 너무 적어서 분교로 있다.

2. 완도

한국 전라남도 완도군의 체도(軆島)로, 대한민국에서 10번째로 넓은 섬이다. 면적은 90.1 km²이며, 해안선 길이는 약 105.9㎞이다. 완도군의 경제적·행정적 중심이 되는 섬이다. 완도대교로 육지와 연결된다.[3] 섬의 북쪽은 상대적으로 산들이 많다.[4] 도로는 해안가를 따라 나 있으며, 완도읍은 동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드라마 해신 세트장[5], 전라남도청소년수련원이 완도 본섬에 있다.

2.1. 완도읍

<colbgcolor=#0d3895><colcolor=#fff>완도읍
면적 54.23㎢
인구 17,054명[A]
하위 행정구역 10리(34행정리 250반)[7]
행정복지센터 완도읍 개포로62번길 9
링크 완도읍사무소
읍소재지는 군내리, 군청도 군내리에 있으며 완도군의 경제적·행정적·교통 중심지다.

읍내에는 완도군청, 완도해양경찰서, 전라남도완도교육지원청, 완도경찰서, 완도소방서, 완도공용버스터미널, 완도타워, 완도항, 완도군법원, 법률구조공단 완도지소가 있고 여기서 제주도로 가는 배를 탈 수 있다. 완도항 앞바다에 있는 주도에는 상록수림이 자생해 있다. 읍내에서 좀 서쪽으로 가면 화흥포항이 나오며 여기서 노화도, 소안도를 갈 수 있다. 근처에 완도군 어촌민족전시관이 있다. 이 외에 가리포진, 완도 향교, 장보고기념관, 장도 청해진유적, 장보고 동상이 있다. 장보고마트와 하나로마트가 있다. 학교는 완도초, 완도중앙초, 청해초, 화흥초, 완도중, 완도여중, 완도고, 완도수산고 8개가 있다. 과거에는 완도서초등학교[8] 라는 학교도 있었다.

2.2. 군외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군외면 (완도)
면적 42.99㎢
인구 2,923명[A]
하위 행정구역 8리(24행정리)[10]
행정복지센터 군외면 청해진서로 2148
링크 군외면사무소
면소재지는 원동리이며 완도대교를 통해 타지역에서 완도를 들어올 때 제일 먼저 접하는 면 지역이다.

원동시외버스터미널이 있어 광주, 해남, 강진으로 갈 수 있으며, 완도공용버스터미널을 오가는 시외버스들이 무조건 들려서 가기 때문에 교통편이 좋다. 종교시설로는 불목리에 원불교 불목교당이 있다. 대문리 모감주나무군락, 국립완도수목원, 전라남도청소년수련원이 여기 있다. 학교는 군외초, 군외중이 있다. 한창때는 고마초[11], 군외동초[12](+ 토도분교[13], 황진분교[14]), 군외남초[15], 군외초 달도분교[16]·백일분교[17]·화도분교[18][19]·흑일분교[20], 사후초[21] 등이 있었다. 이 외에 분실로는 군외국교 서화도분실[22]이 있었다.

참고로 해남군 즉 한반도 본토와 완도군 사이에는 달도(達島)라는 섬이 있는데, 달도 역시 군외면 소속이다. 위의 행정구역 지도에서 군외면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섬이다. 완도대교도 사실 달도와 완도를 연결한 다리이다. 달도는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와 남창교로 연결되어 있다. 또 땅끝에서 보이는 흑일도, 백일도, 동화도도 군외면에 해당되지만 정작 배는 해남에서 타서 노화도로 가는 배편밖에 없다. 또한 면 동쪽에는 고마도, 사후도[23]도 있다.

3. 소안군도

완도보다 서쪽에 있으며, 노화도, 보길도, 소안도 등이 속한다. 이들 3개 섬의 출입 항구는 화흥포항이다. 해남 땅끝마을에서도 갈 수 있다.

3.1. 노화읍

<colbgcolor=#0d3895><colcolor=#fff>노화읍
면적 32.11㎢
인구 4,595명(中 넙도출장소 705명)[A]
하위 행정구역 10리(26행정리 173반)[25]
행정복지센터 노화읍 노화로 813
링크 노화읍사무소
소안군도 3섬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완도군에서는 완도읍 다음으로 가장 인구가 많다. 읍소재지는 이포리이다. 넙도출장소는 내리·방서리를 관할한다.

1980년대 이전에는 양식으로 유명했고, 현재는 전복 양식으로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어 전국에서 손꼽히는 부자섬으로 떠올랐다. 그래서인지 인구도 섬 치고는 많은 편이며, 젊은층도 많은 편이라 초등학교가 3개나 있고, 중·고등학교도 1개씩 있다. 노록도, 마삭도, 넙도, 서넙도 등의 섬이 있다. 화흥포항과 해남 땅끝항(갈두)에서 선박을 이용해서 들어올 수 있으며, 아래에 위치한 보길도의 관문이다. 서쪽으로 진도군 의신면, 서남쪽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과 접해있다. 학교는 넙도초(+서리분교), 노화초, 노화북초, 노화중앙초, 노화중(+넙도분교), 노화고 등 분교까지 하면 무려 8개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노화도 참조.

또한 과거에는 넙도초 마안분교[26]·어룡분교[27]·장구분교[28]·후도분교[29]·죽굴도분실[30]·소제원도분실[31]·대제원도분실[32]·소장구도분실[33][34]·대장구도분실[35]·멍섬분실[36], 노화동초[37], 노화북초 마삭분교[38], 노화초 노록분교[39] 등의 학교가 존재했었다.

3.2. 보길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보길면
바로 북쪽의 장사도라는 섬을 징검다리 삼아 보길대교로 노화읍과 연결되어 있다. 면소재지는 부황리, 관할 법정리는 4개이다.[40] 인구는 2,470명.[A]

북쪽으로 보길대교로 통해 노화도, 동쪽으로 소안도, 남쪽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과 접해있다. 인구가 좀 되는지 초등학교가 2개씩이나 있고 중학교도 있다. 보길도 내에 적자봉이 있으며 고산 윤선도 유적지와 예송리 상록수림[42], 통리해수욕장, 중리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보길면 정자리에서 부황리로 가는 해안일주도로를 타고 가다 보면 망끝전망대가 있으며, 전망대에서 탁 트인 수평선을 볼 수 있는데, 날이 청명한 날에는 제주도까지 보인다. 학교는 보길초, 보길동초, 보길중 3개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보길도 참조.

과거에는 보길남초[43], 보길동초 예작분교[44], 예송초[45], 정자초[46] 등이 있었다.

3.3. 소안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소안면
면적 28.23㎢
인구 2,263명[A]
하위 행정구역 8리(15행정리 105반)[48]
행정복지센터 소안로207번길 38-3
링크 소안면사무소
면소재지는 비자리이다. 맹선리 상록수림, 미라리 상록수림, 소안항일운동기념관이 있다. 북쪽으로 완도, 노화도, 서쪽으로 보길도, 남쪽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과 접해있다. 학교는 소안초, 소안중이 있다. 소안고등학교도 있었지만 폐교되어서 이 곳에서 고등학교 진학하려면 완도읍과 옆에 위치한 노화도로 가야한다. 소안고등학교 외에도 과거에 소안면 지역에 존재하였던 학교로는 소안초 구도분교[49]·맹선분교[50]·북암분교[51], 진산초[52], 학산초[53], 항립초[54], 횡간초[55] 등이 있었다. 횡간도, 구도, 당사도 역시 소안면에 속한다. 면소재지인 비자리는 일명 "태극기 마을"로도 유명하다.

일제강점기 섬 주민들은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주민들의 손으로 세운 사립소안학교에서 민족 교육을 행했다. 소안항일운동기념관 부지가 옛 사립소안학교 자리이다. 현대에도 이 정신을 기념하기 위해서 1년 365일 태극기를 게양해서 '태극기 마을'로 불리게 된 것. 자세한 사항은 소안도 참조.

오징어 게임으로 유명해진 위하준의 고향이다.

4. 신지도, 고금도, 조약도

<colbgcolor=#0d3895><colcolor=#fff>
신지도
고금도
조약도
완도 동쪽에 모여있는 섬들이다.

4.1. 신지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신지면
면소재지는 대곡리, 관할 법정리는 6개이다.[56] 인구는 3,131명.[A]

완도읍과 신지대교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외에 육상교통으로 신지도로 들어가려면 완도와 연결된 신지대교, 또는 고금도와 연결된 장보고대교를 통해야 한다. 이 곳이 유명한 이유는 바로 명사십리해수욕장 덕분. 피서철 한정으로 광주에서 명사십리해수욕장으로 바로 가는 버스가 운행한다. 어업 또한 활발하지만 신지도를 상징하는 것은 관광업이 된 셈. 동고리해수욕장도 나름 알려진 곳이며, 학교는 신지초, 신지동초, 신지중 3개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신지도 참조. 과거에는 동고초[58], 송곡초[59](+ 강독분교[60]), 신지동초 모황분교[61][62]가 있었다.

4.2. 고금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고금면
면적 46.49㎢
인구 3,858명[A]
하위 행정구역 10리(33행정리 128반)[64]
행정복지센터 고금면 농상도남길 24
링크 고금면사무소
완도군 내에서 완도읍, 노화읍 다음으로 인구가 많다. 면소재지는 농상리이다.

고금대교가 있어서 광주에서 버스로 바로 올 수 있다.[65] 그런데 완도가 아닌 강진군 마량면으로 이어지는 연륙교여서 완도보다 강진군으로 진출하기가 편하다. 그리고 과거 완도행 농어촌버스가 고금 - 신지 간 카 페리를 타고 움직였다(...) 2017년 77번 국도 장보고대교가 개통해 신지면과 연결되었고, 농어촌버스도 이젠 장보고대교를 건넌다.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통제영 본영이 고금도에 설치되어 있었다.(묘당도 이충무공유적) 이 통제영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여수 전라좌수영을 거쳐 통영으로 이전하였다. 학교는 고금초, 고금중, 고금고 3개가 있다. 이외에도 고금남초[66], 고금북초[67], 고금초 봉명분교[68]·용초분교[69]·척찬분교[70]·청학분교[71], 덕동초[72](+ 덕도분교[73], 초도분교[74])가 있었다. 자세한 사항은 고금도 참조.

덕동리 일대에 고금진(또는 고금도진)이라는 옛 군사기지가 있다.

4.3. 약산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약산면
약산면의 중심 섬을 약산도라고도 하고, 조약도라고도 한다. 면소재지는 장용리, 관할 법정리는 5개이다.[75] 인구는 2,172명.[A]

생약초를 먹고 자란[77] 흑염소로 유명하고, 위의 고금도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금일도, 생일도로 들어가는 당목항이 여기에 있으며 광주에서 오는 시외버스가 하루에 4번 운행한다. 가사동백숲해변이 해동리에 있다. 북쪽으로 장흥군 대덕읍, 회진면과 접한다. 학교는 약산초, 약산중, 약산고 3개가 있다. 이전에는 득암리의 득암초[78], 우두리의 약산초 우두분교[79]·넙고분교[80], 해동리의 해동초[81](+ 어두분교[82])가 있었다. 자세한 사항은 조약도 참조.

5. 생일도, 평일도, 금당도

5.1. 금일읍

<colbgcolor=#0d3895><colcolor=#fff>금일읍
면적 28.36㎢
인구 3,426명[A]
하위 행정구역 9리(23행정리 129반)[84]
행정복지센터 금일읍 금일로 394
링크 금일읍사무소
읍소재지는 금일도의 화목리이다. 동쪽으로 여수시 삼산면, 동북쪽으로 고흥군 금산면과 접해있다.

이 곳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다시마로, 대한민국 다시마 중 70%가 여기서 생산된다. 이 곳에서 나는 다시마가 농심에서 출시한 너구리라는 라면의 건더기의 재료로 들어갈 정도. 오죽하면 여기 있는 주유소 이름조차도 "다시마주유소"...

금일해당화해수욕장이 있다. 소랑도, 섭도, 신도, 충도, 황제도, 장도, 원도 역시 이 금일읍에 속한다. 다리가 없어서 고금도를 거쳐 조약도는 다리로 오되 이곳의 당목항에서 배를 타야만 갈 수 있어서, 여기가 고향인 사람이 명절 때 귀성하려면 고역이다.

마을 간에 편의시설의 격차가 큰 편이다. 예를 들어 한때 강진군 마량항에서 카페리가 오고가던 도장리는 조약도까지의 다리 개통 후 일정리의 일정항에 역할을 넘겨주면서 제법 규모있는 동네임에도 작은 마트조차 없으나[85], 읍소재지이고 초중고까지 있는 화목리에는 농협은행 하나로마트나 우체국, 119 지역대, 파출소는 물론이고 보건소, 공공도서관, 문화복지관, 건강문화센터 까지 있다. 이곳에는 CU가 있고, 근처 화전리에는 GS25가 있다. 학교는 금일초, 금일동초, 금일중, 금일고 4개가 있다. 예전에는 금일초 원도분교[86]·일정분교[87]·장도분교[88]·황제분교[89], 소랑초[90](+ 다랑분교[91]·부도분교[92]·섭도분교[93]·우도분교[94]), 충도초[95](+ 신도분교[96])가 있었다. 또 아래의 금당면·생일면 지역은 금일읍에서 분리된 지역들이므로, 이들 지역에 서술된 폐교까지 합치면 금일읍 지역에는 한때 27개나 되는 학교가 존재 혹은 존재했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김해 김씨 집성촌도 있다. 정확히는 김해 김씨 축은공파 중 장흥 쪽 항렬을 쓰는 문중.

5.2. 생일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생일면
면소재지는 유서리, 관할 법정리는 3개이다.[97] 인구는 739명[A]으로 완도군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곳. 그래서 다른 면엔 다 본교로 있는 중학교가 이 곳에서는 분교다. 난대림이 발달했다. 본섬인 생일도, 덕우도, 형제도, 구도, 매물도가 생일면에 속한다.

여담으로 본섬인 생일도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서성항여객선터미널(서성선착장)로 도착하게 되면 생일 케이크 모양[99]의 조형물이 있다. 학교는 생영초, 금일중학교 생일분교 2개가 있다. 예전에는 섬 서쪽의 금곡리에 생영초 금곡분교[100]가, 용출리에는 봉선초[101]가 있었고, 저 멀리 떨어져 있던 섬인 덕우도에도 덕우초[102]가 있었다.

5.3. 금당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금당면
완도군에서 볼 때 가장 먼 곳이다. 면소재지는 차우리, 관할 법정리는 3개이다.[103] 인구는 858명.[A]

육지 중에는 고흥군 도양읍 녹동항이 더 가까이 있으며 직항 뱃길도 완도 쪽인 당목으로 가는 편은 없고 고흥군 녹동과 장흥군 회진으로 가는 편만 있다. 완도군 내에는 금일도로 가는 배나 있는 수준. 전화번호 국번도 면사무소 빼고는 모조리 녹동전화국의 84X국을 갖다 쓰며, 천주교 금당공소도 녹동본당 관할. 학교는 금당초, 금당중 2개가 있다. 예전에는 금당서초[105], 금당중앙초[106](+ 허우분교[107]), 금당초 대화분교[108], 비견초[109]가 있었다.

비견도, 대화도, 허우도가 금당면에 속한다. 서쪽으로 장흥군 회진면, 동쪽으로 고흥군 도양읍과 접한다. 섬끼리도 마찬가지로 바로 앞에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가 들어앉아 있으며(...) 이는 금일읍에서 제일 큰 섬인 평일도보다도 훨씬 가까운 거리에 있다. 사실상 고흥군 생활권을 넘어서 그냥 고흥군이나 다름없는 지역.[110]

의외로 전남 순천시와 인연이 있다. 조례동에 위치한 순천금당고등학교 설립자가 금당면 금당도 출신이었기 때문에 교명에 금당이 들어갔는데, 1990년대 말 인근 해룡면 상삼리가 신도시로 개발되면서 금당지구라는 이름까지 차지한 것. 해당 지역의 도시화가 시작되기 이전인 1970년대에 개교해 논밭뿐이던 그 일대의 랜드마크 지위를 선점한 덕에 신도시 이름에도 금당이 포함됐다.

6. 청산도

6.1. 청산면

<colbgcolor=#0d3895><colcolor=#fff>청산면
면적 41.95㎢
인구 2,142명(中 모도출장소 216명)[A]
하위 행정구역 13리(23행정리 79반)[112]
행정복지센터 청산로1613번길 19-3
링크 청산면사무소
완도군의 섬들 중 방송 쪽에서는 가장 유명한 섬. 면소재지는 도청리이다.

영화 서편제와 드라마 봄의 왈츠의 촬영지가 이 섬에 있으며, 1박 2일에도 등장하는 등 방송을 많이 탄 섬이다. 방송에 많이 등장하면서 사람이 많이 방문하며 숙소도 많이 생겨 전과 비교해서는 관광지의 분위기를 많이 띄는 편이다. 또한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 행사 개최지가 된 섬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슬로길도 설치되었으며 슬로길 코스마다 구경할 수 있는 경관이 달라 걷기를 좋아한다면 한번 걸어볼만 하다.

청송해수욕장, 신흥해수욕장이 있으며 대모도, 소모도, 장도, 지초도, 불근도, 여서도[113]까지 청산면에 속한다. 이 중 대모도, 소모도, 불근도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모도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학교는 청산초(+모도분교), 청산중 등 분교까지 3개가 있다. 남쪽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쪽으로 여수시 삼산면과 접한다. 자세한 사항은 청산도 참조.

또 과거에 있었던 학교로는 국산초[114], 모동초[115], 모북초[116], 여서초[117], 청산중앙초 권덕분교[118]·청장분교[119], 舊 청산초[120][121], 청산중 청산동분교[122]가 있었다.



[1] 그나마 중심지 역할을 하는 압해읍이 있긴 하다. [2] 고금도와 신지도를 잇는 장보고대교 개통으로 완도읍으로 이동이 수월해짐 [3] 6.25 전쟁 때 파괴된 한강철교의 교각을 뜯어다가 이 다리 교각을 만들었다는 도시전설급의 사실이 있다. [4] 해발 644미터인 상황봉을 필두로 한 오봉산이 북쪽에 있다. [5] 완도읍 대신리에 청해포구 촬영장이 있다. 군외면 불목리에 신라방 세트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A]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 [7] 가용리·군내리·대신리·대야리·망석리·장좌리·정도리·죽청리·중도리·화흥리 [8] 1994년 3월 1일 완도국교 구계분교 격하, 1997년 3월 1일 폐교, 완도읍 중도리 760-1 [A] [10] 당인리·대문리·불목리·삼두리·신학리·영풍리·원동리·황진리 [11] 1987년 3월 1일 군외동국교 분교 격하, 1999년 3월 1일 군외초 분교 개편, 2000년 3월 1일 폐교, 군외면 불목리 853 [12] 1999년 3월 1일 군외초 불목분교 격하, 2020년 3월 1일 폐교, 군외면 청해진북로 609 [13] 1995년 9월 1일 폐교, 군외면 황진리 산 185 [14] 1999년 3월 1일 폐교, 군외면 청해진로 462 [15] 1999년 9월 1일 폐교, 군외면 삼두리 728-4 [16] 1995년 9월 1일 폐교, 군외면 원동리 696 [17] 2010년 10월 5일 폐교, 군외면 백일도길 33-19 [18] 하도분교로 나와 있으나, 오타로 보임. [19] 1991년 3월 1일 폐교, 군외면 당인리 산 76-2 [20] 2000년 3월 1일 폐교, 군외면 흑일도길 2-100 [21] 1985년 3월 1일 군외동국교 분교 격하, 1999년 3월 1일 군외초 분교 개편, 2001년 9월 1일 폐교, 군외면 사후도길 46 [22] 1988년 2월 29일 폐교, 군외면 당인리 산 125-1 [23] 달도(딸섬)와 짝인 사위섬에서 유래했단다. [A] [25] 고막리·구석리·내리·도청리·동천리·등산리·방서리·신양리·이포리·충도리 [26] 1986년 3월 1일 폐교, 노화읍 마안도길 39 [27] 1994년 3월 1일 폐교, 노화읍 내리 산 321 [28] 1983년 3월 1일 폐교, 노화읍 내리 산 421 [29] 1991년 3월 8일 폐교, 노화읍 내리 산 200 [30] 1987년 9월 16일 폐실, 노화읍 방서리 산 2-3 [31] 1975년 12월 31일 폐실, 노화읍 내리 소정원도 [32] 1985년 9월 18일 폐실, 노화읍 내리 산 436 [33] 소장구도분실 혹은 대장구도분실의 경우, 장구분교와 소재한 섬이 비슷하여 셋 중 두 곳은 오기로 보임. [34] 1983년 4월 1일 폐실, 노화읍 내리 소장구도 [35] 1983년 3월 1일 폐교, 노화읍 내리 대장구도 [36] 1979년 9월 15일 폐실, 노화읍 방서리 멍섬 [37] 2009년 3월 1일 폐교, 노화읍 노화로 288 [38] 1989년 4월 3일 폐교, 노화읍 신양리 산 302-1 [39] 1999년 3월 1일 폐교, 노화읍 노록도길 71 [40] 부황리·예송리·정자리·중통리 [A] [42] 예송갯돌해변이 옆에 있다. [43] 1994년 3월 1일 폐교, 보길면 선창2길 22-23 [44] 2019년 3월 1일 폐교, 보길면 예작도길 1-14 [45] 1988년 3월 1일 보길동국교 분교 격하, 2001년 9월 1일 폐교, 보길면 예송1길 25-2 [46] 1999년 3월 1일 폐교, 보길면 정자길 14 [A] [48] 가학리·당사리·맹선리·미라리·비자리·이월리·진산리·횡간리 [49] 2000년 9월 1일 폐교, 소안면 횡간리 산 231 [50] 1996년 3월 1일 폐교, 소안면 소안로 1084 [51] 1996년 3월 1일 폐교, 소안면 이월리 산 84-1 [52] 1997년 3월 1일 소안초 분교 격하, 2008년 3월 1일 폐교, 소안면 진산리 847-8 [53] 1999년 3월 1일 폐교, 소안면 미라리 456 [54] 1982년 3월 1일 소안국교 분교 격하, 1996년 3월 1일 폐교, 소안면 당사도길 17-36 [55] 1990년 3월 1일 소안국교 분교 격하, 2008년 3월 1일 폐교, 소안면 횡간도43번길 11 [56] 대곡리·동고리·송곡리·신리·신상리·월양리 [A] [58] 1999년 9월 1일 폐교, 신지면 신지로 1233 [59] 1994년 3월 1일 신지국교 분교 격하, 2002년 3월 1일 폐교, 신지면 신지로 94 [60] 1994년 3월 1일 신지국교 분교 개편, 1999년 3월 1일 폐교, 신지면 강독길 26-38 [61] 모항분교로 되어 있으나, 오타로 보임. [62] 1994년 3월 1일 폐교, 신지면 월양리 산 412 [A] [64] 가교리·농상리·덕동리·덕암리·도남리·봉명리·상정리·세동리·청용리·회룡리 [65] 이 노선 중 4편은 약산-당목항까지 운행한다. [66] 1999년 9월 1일 폐교, 고금면 고금로 325 [67] 1996년 3월 1일 고금초 가교분교 격하, 2000년 3월 1일 폐교, 고금면 가교길 30 [68] 1994년 9월 1일 폐교, 고금면 봉명리 228 [69] 1994년 9월 1일 폐교, 고금면 용초길 87 [70] 1993년 9월 1일 폐교, 고금면 도남리 1208 [71] 1994년 9월 1일 폐교, 고금면 청용리 449 [72] 2000년 3월 1일 고금초 분교 격하, 2002년 3월 1일 폐교, 고금면 고금동로 571 [73] 1997년 3월 1일 폐교, 고금면 덕동리 산 101-3 [74] 1991년 6월 19일 폐교, 고금면 덕동리 산 170 [75] 관산리·득암리·우두리·장용리·해동리 [A] [77] 행정명칭인 약산면은 여기서 유래한다. [78] 1992년 9월 1일 약산국교 분교 격하, 1993년 9월 1일 폐교, 약산면 득암4번길 37 [79] 1998년 3월 1일 폐교, 약산면 우두리 1045-4 [80] 1994년 9월 1일 폐교, 약산면 천동넙고길 126 [81] 2003년 3월 1일 폐교, 약산면 해동리 402 [82] 1999년 3월 1일 폐교, 약산면 해동리 193-3 [A] [84] 동백리·사동리·신구리·월송리·장원리·장정리·척치리·충동리·화목리 [85] 원래는 마을회관 앞에 하나 있었는데, 7년쯤 전부터 폐업하여 현재는 폐가 상태다. [86] 1992년 5월 21일 폐교, 금일읍 장원리 157 [87] 1998년 3월 1일 폐교, 금일읍 금일로 53 [88] 1991년 6월 19일 폐교, 금일읍 장원리 43 [89] 1992년 5월 21일 폐교, 금일읍 황제도길 11 [90] 1992년 9월 1일 금일동국교 분교 격하, 2006년 9월 1일 폐교, 금일읍 소랑길 36 [91] 1992년 9월 1일 금일동국교 다랑분교 개편, 1994년 9월 1일 폐교, 금일읍 다랑도길 32-4 [92] 1992년 3월 1일 폐교, 금일읍 사동리 산 105-1 [93] 1992년 3월 1일 폐교, 금일읍 섭도길 24 [94] 1992년 9월 1일 금일동국교 우도분교 개편, 1998년 3월 1일 폐교, 금일읍 우도길 15-3 [95] 1992년 9월 1일 금일국교 분교 격하, 1998년 3월 30일 폐교, 금일읍 금일충도길 34 [96] 1992년 9월 1일 금일국교 신도분교 개편, 2011년 3월 1일 폐교, 금일읍 신도길 41-1 [97] 금곡리·봉선리·유서리 [A] [99] 그다지 억지라 할 수 없는 것이, 한자가 정말로 生日面 生日島이다! [100] 1993년 9월 1일 폐교, 생일면 생일로 1143-1 [101] 1991년 3월 1일 생영국교 분교 격하, 2009년 3월 1일 폐교, 생일면 용출2길 26 [102] 1984년 3월 1일 금일국교 분교 격하, 2006년 9월 1일 폐교, 생일면 봉선리 862 [103] 가학리·육산리·차우리 [A] [105] 1993년 3월 1일 금당국교 가학분교 격하, 1995년 3월 1일 폐교, 금당면 가학안골길 18-35 [106] 1996년 9월 1일 금당초 차우분교 격하, 1999년 3월 1일 폐교, 금당면 세포길 12 [107] 1996년 3월 1일 폐교, 금당면 허우도길 14-1 [108] 1989년 12월 18일 폐교, 금당면 육산리 산 332 [109] 1982년 3월 1일 금당중앙국교 분교 격하, 1996년 9월 1일 금당초 비견분교 개편, 2009년 3월 1일 폐교, 금당면 차우리 1555 [110] 한 술 더 떠서 금당도에서 완도읍내까지의 거리보다 고흥읍내까지의 거리가 더 가깝다! 실제로 금당도 주민들은 읍내로 장을 보러 갈 때 고흥군 도양읍에 많이 간다고 한다. [A] [112] 국산리·당락리·도청리·동촌리·모도리·부흥리·상동리·신흥리·양중리·여서리·읍리·지리·청계리 [113]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했을 때 대한민국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곳이다. [114] 1985년 3월 1일 청산중앙국교 분교 격하, 1996년 9월 1일 폐교, 청산면 청산로 965 [115] 1985년 3월 1일 모도국교 분교 격하, 1986년 3월 1일 청산중앙국교 모동분교 개편, 1996년 3월 1일 폐교, 청산면 대모도길 404-5 [116] 1983년 3월 1일 모도국교 분교 격하, 1986년 3월 1일 청산중앙국교 모북분교 개편, 1996년 3월 1일 폐교, 청산면 모도리 1759 [117] 1989년 3월 1일 청산중앙국교 분교 격하, 1998년 3월 1일 청산초 여서분교 개편, 2011년 3월 1일 폐교, 청산면 여서리 556 [118] 1998년 3월 1일 청산초 권덕분교 개편, 1999년 3월 1일 폐교, 청산면 청산남로 320 [119] 1994년 9월 1일 폐교, 청산면 지리 산 276-2 [120] 현재의 청산초등학교는 기존의 청산중앙초등학교가 개칭된 학교로, 1998년에 개칭됨. [121] 1996년 3월 1일 청산중앙초 청산동분교 격하, 1998년 3월 1일 청산초 청산동분교 개편, 2009년 3월 1일 폐교, 청산면 신풍길 5-22 [122] 2009년 3월 1일 폐교, 청산면 청산로 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