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7:57:28

김기전(1935)

<colbgcolor=#000><colcolor=#fff> 김기전
金起田[1] | Kim Ki Jeon
파일:1000020119.jpg
출생 1935년 12월 10일 ([age(1935-12-10)]세)
일본 제국 도쿄부 도쿄시[2][3]
출신 함경남도 이원군 장문 (場門)
등록기준지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1가
본관 강릉 김씨 (江陵 金氏)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경남여자고등학교 (졸업)[4]
경기여자대학 (졸업)
부산대학교 (청강생)
경희대학교 (청강생)
데뷔 1952년 오페라 '로미오와 줄리엣'[5]
부모 아버지[6], 어머니
배우자 정막[7]
자녀 장남 정기홍[8][9], 차남 정기준[10], 삼남 정기호[11]
약력 국보오페라단 단원
부산화교중학교 무용강사
원화여자고등학교 무용강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무용강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무용강사
대구시립무용단 창단[12]
정막무용연구소 운영[13]
대구발레아카데미 운영
스페이스 콩코드 소극장 운영
세계안무축제 기획
사단법인 다다 대표[14][15]
미스코리아 대구 심사위원 (1984)[16][17]
종교 개신교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공연
3.1. 대구시립무용단3.2. 세계안무축제
4. 안무5. 방송6. 수상7.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원로무용가 김기전.jpg
파일:1000020104.jpg
현대무용은 철학과 사상이 필요하다.
무엇을 말할 것인가.

대구광역시 원로예술인 구술기록화에서
생각은 비록 고통스러울지라도 작품은 쉽게 만들어야 해요.
그래야 관객과 진정으로 소통할 수 있어요.

대구 현대무용의 역사 전시 中
대한민국의 1세대 무용가, 대구시립무용단 초대안무자이다.

국내 최초의 국 · 공립 현대무용단 '대구시립무용단(Daegu City Dance Company)'을 창단하였다.

2. 생애

파일:원로안무자 김기전.png
대구시립무용단을 넘어서 한국의 현대무용에서 높이 평가받는 인물이다.

대구 1930년대 김상규(1922~1989)를 통하여 현대무용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김상규가 뿌려놓은 씨앗을 싹틔워 꽃을 피우게 한 인물이 김기전이다.

1981년에 국내 최초의 국 · 공립 현대무용단 대구시립무용단을 창단하여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대구시립무용단은 김기전을 시작으로 구본숙[18]· 안은미[19]· 최두혁[20]· 박현옥[21]· 홍승엽[22]· 김성용[23] 안무가에 이어 현재 8대 안무가인 최문석[24]까지 국내 우수한 안무가들과 함께 지역 무용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25]

3. 공연

3.1. 대구시립무용단[26]

  • 제1회 대구직할시 승격 경축 <구름아 풍선아> (1982. 6. 30.)
  • 제2회 대구직할시 승격 1주년 <걸음으로부터> (1983. 7. 2.)
  • 제3회 <소리따라 빛따라> (1983. 11. 30.)
  • 제4회 <바람이 지나는 곳> (1984. 6. 22.)
  • 제5회 <행위예술과 환경조형의 만남> (1984. 10. 10.)
  • 제6회 <향으로 띄우는 서한> (1984. 10. 10.)
  • 제7회 <쓰르라미의 연가> (1985. 11. 26.)
  • 제8회 <세일 또 세일> (1986. 6. 16.)
  • 제9회 <여기 이곳> (1986. 10. 25.)
  • 제10회 <검은 숯 흰꽃되어> (1986. 12. 23.)
  • 제11회 <뿌리 나뭇잎 풀잎 열매> (1987. 3. 24)
  • 제12회 <그의 춤 그 얼굴> (1987. 7. 1.)

3.2. 세계안무축제[27]

  • 2024년 현재 10주년을 맞이하였다.
  • 매년 세계안무축제 행사에서 남편, 무용가 김상규와 함께 '김상규 무용상'과 '정막 예술상'을 수여하고 있다.[28]

4. 안무

5. 방송

6. 수상

7. 여담

  • 대구에서 첫 운전면허를 딴 여성이라고 한다.[32]
  • 고속버스도 없던 시절, 서울에서의 경연을 위해 직접 운전을 해서 다녔다고 한다. 그때는 무용과도 없었다.
  • 아나운서 오정연이 좋아하는 무용가라고 한다. 그의 행사에 직접 가서 사회를 보고 사인도 받았다고 한다.

[1] 훈음 성 일어날 [2] 도쿄도. 아버지가 도쿄대학 유학생 시절, 태어났다. [3] 일본명은 '요시코 짱'이라고 한다. [4] 함경남도 이원군 장문 (場門)에서 학창 시절을 보내고 한국 전쟁으로 1950년에 가족 모두가 부산으로 피난을 갔다고 한다. [5] 줄리엣 역을 하였다고 밝혔다. [6] 배우이다. 도쿄대학을 졸업하였다. [7] 무용평론가이다. [8] 1957년 출생, 조지아 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조지아 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제리서치연구소장을 역임하였으며, 만42살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9] 파일:정막부부 삼형제.jpg
맨 왼쪽부터 삼남 정기호, 장남 정기홍, 차남 정기준이다.
삼형제 모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국민학교를 다녔다.
[10] 1959년 출생,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국민학교를 졸업하였다. [11] 1965년 출생, 부산고등학교 졸업 후 경성대학교 연극영화과 2기로 졸업하였다. 동문으로 조재현, 이병준가 있다. 과거 기자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12] 초대안무자이다. [13] 원화여자고등학교에서 운영했다고 한다. [14] DADA (Daegu Art Dance Association) [15] 대구시민문화연구소의 전신이다. [16] 약 5년간 했다고 한다. [17] 파일:24165.jpg
오른쪽 여성의 왼쪽이 김기전이다.
[18]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학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19]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뉴욕 대학교 대학원 박사 [20] 계명대학교 무용과 학사, 석사, 박사 [21] 한양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박사 [22] 경희대학교 학사, 석사 [23] 한양대학교 무용과 학사, 석사, 박사 [24] 세종대학교 무용과 학사, 석사 [25] 현재 2021년 창립 40주년을 맞았다. [26] 재임기간: 1981-1987 [27] 세계안무페스티벌 → 세계안무축제 [28] 파일:김상규와 정막.jpg
왼쪽이 김상규, 오른쪽이 정막이다.
[29] 중앙로에서도 매스게임 안무를 맡아 행사를 하였다고 한다. [30] 파일:목요발레.png [31] 당시 유일한 무용콩쿠르였다. [32] 파일:32156.jpg
1972년도 당시 대구에는 운전면허를 취득한 여성이 총 5명이었다고 한다. 동양자동차학원에서 1종보통을 취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