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21:04:59

귀자모신(Fate 시리즈)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colbgcolor=#33434A><colcolor=#db2b7a> 귀자모신
鬼子母神
Kishimojin (Hariti)
파일:귀자모신(렘넌트).jpg
Fate/Samurai Remnant에서의 일러스트
키 / 몸무게 cm / kg
출전
지역
성향 혼돈 중용
성별 여성
좋아하는 것 -
싫어하는 것 -
클래스 적성 버서커
디자인 원안 호토소우카[1]
성우 나즈카 카오리[2]

1. 개요2. 특징3. 진명4. 스테이터스5. 작중 행적
5.1. Fate/Samurai Remnant
5.1.1. 단장・백룡홍귀연의
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이번 소동과 동시에 소환된 서번트.
사건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것 같다.


▶ 홈페이지의 소개문

Fate 시리즈 ARPG Fate/Samurai Remnant의 등장인물 중 하나. 마스터를 따로 두지 않는 버서커다.

2. 특징

파일:아어린애너무좋아유괴해야지.png
『Fate/SR』 인게임

인간형일 때는 오니[3]와 비슷한 뿔이 달려있긴 해도 부드럽고 자애로운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괴조의 모습일 때는 사슴뿔[4]이 달린 듯한 까마귀 비슷한 형태로 변한다. 새 요괴라는 점을 반영하듯 인간형일 때에도 몸 곳곳에 깃털이 돋아나 있다.

3. 진명

귀자모신

4. 스테이터스

패러미터
근력 C+ 내구 B+ 민첩 B+ 마력 B 행운 A 보구 B+

괜히 신과 괴이의 융합체가 아니라고 굉장히 뛰어난 스테이터스를 자랑한다. 근력이 낮지만, 스킬 중에 괴력이 포함된 유각귀형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보충 가능하다.

4.1. 스킬

■ 클래스별 능력
광화 <colbgcolor=#EDE9E6><colcolor=#db2b7a> 랭크 언뜻 보면 귀자모신은 언어능력을 가진 것처럼 보이지만, 이성적인 대화는 어렵다.
현재 귀자모신의 영기와 정신성을 어느 정도 이해한 뒤, 행운 판정에 성공하면 그런대로의 의사소통이 가능할지도 모른다.
EX
스파르타쿠스, 나이팅게일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이성을 상실했다는 의미의 광화가 아니고 이성이 존재하고 문답을 나누는게 가능하나 의사소통이 전혀 진행되지 않는 유형의 광화 스킬이다. 이러한 특성상 예시로 든 두 서번트와 마찬가지로 서번트 본인이 가장 중요시하는 가치에 한해서는 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의사소통에는 행운 판정에 성공해야 된다는 언급이 있다.

■ 고유 능력
여신의
신핵
<colbgcolor=#EDE9E6><colcolor=#db2b7a> 랭크 귀자모신은 신앙의 대상으로 알려진 명백한 신이지만,
괴이 「고획조」와 섞인 영기이기 때문에 신성 랭크가 현격히 저하되어, 신성을 나타내는 신핵 스킬도 저하되어 있다.
D
귀자모신은 불교에서 아이를 부부에게 점지해주고, 아이를 보호, 양육하는 격이 높은 호법신이다. 문제는 아이를 지키는 신령아이를 해치는 괴이와 섞여버린 탓에 랭크가 심각하게 저하했다.[5] EX 랭크 광화는 저 모순의 발현으로 보인다.
유각귀형 <colbgcolor=#EDE9E6><colcolor=#db2b7a> 랭크 귀종의 마 스킬의 아종.
천녀형의 모습이 아닌, 뿔이 있는 오니의 모습으로 현계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스킬
A+
이 쪽도 괴이와의 융합으로 스킬이 왜곡되어 버렸다. 본래는 천녀형으로 변화할 수 있던 것으로 보인다.

4.2. 보구

야행귀신・고획조 ([ruby(夜行鬼神・姑獲鳥, ruby=やこうきしん・こかくちょう)])
<rowcolor=#db2b7a> 랭크 : B+ 종류 : 각성보구 레인지 : - 최대포착 : 자신
괴이 ‘고획조’ 로서의 특징과 성질을 각성시키는 외침. 인간계를 어지럽히는 요조로서 자신의 존재 자체를 나타내는 보구이다.
영기는 날개를 크게 펼치고, 하늘을 날아오른다.
모든 아이를 빼앗고, 납치하고, 자신의 사랑스러운 아이로 기르기 위해.

신령인 귀자모신의 영기에 거두어들인 형태로 융합되어 있던 괴이 ‘고획조’ 가 대량의 마력을 빨아들여
영기의 주도권을 귀자모신에게서 빼앗으려 할 때 발동.
일단 진명이 해방되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는 일종의 상시 발동형 보구.

괴이 ‘고획조’ 의 일면이 봉인된 후에는 ‘진명해방의 일시적인 효과’ 로서 날개짓으로 주위에 파괴를 초래한다.
Fate/Samurai Remnant에서의 설명

아이를 유인하여 해를 끼치는 괴이 고획조로서의 보구. 고획조로서의 특징과 성질을 각성시킨다.

발동시 두 팔도 날개로 변하며 비행능력까지 생긴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심각한 건, 변신 후에 생기는 아동 한정 광역 세뇌 능력. 큰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어린이들이 저절로 세뇌되어 귀자모신의 주위로 모여든다.

고획조의 일면이 봉인된 후로는, 순수한 변신 보구로서의 힘만을 사용하고 있다.
식재복덕・귀자모신 ([ruby(息災福徳・鬼子母神, ruby=そくさいふくとく・きしもじん)])
<rowcolor=#db2b7a> 랭크 : A 종류 : 가호보구 레인지 : 0~20 최대포착 : 1~50명
어린아이의 식재와 복덕, 순산의 가호를 내린다.
어디까지나 분령이기 때문에 한 번의 기호가 주는 범위는 매우 한정적이지만, 효과는 즉각 나타난다.
결계의 효과도 있어, 내부에 있는 어린아이는 폭력이나 질병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Fate/Samurai Remnant에서의 설명

아이를 수호하고 양육하는 호법신 귀자모신으로서의 보구. 어디까지나 분령이기에 범위는 한정적이나, 어린아이를 폭력이나 질병으로부터 보호한다.

5. 작중 행적

5.1. Fate/Samurai Remnant

영월 의식 참가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마스터
미야모토
이오리
정성공 치에몬 유이
쇼세츠
츠치미카도
야스히로
도로테아
코예트
타카오
다유
서번트
세이버 아처 랜서 라이더 캐스터 어쌔신 버서커
도매상 "바빌로니아"
[ruby(젊은 주인,ruby=떠돌이 룰러)]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떠돌이 서번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떠돌이 세이버 [ruby(아르주나,ruby=떠돌이 아처)] [ruby(쿠 훌린,ruby=떠돌이 랜서)] [ruby(타마모아리아,ruby=떠돌이 라이더)] [ruby(키르케,ruby=떠돌이 캐스터)] [ruby(이서문,ruby=떠돌이 어쌔신)] 떠돌이 버서커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숨겨진 서번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본편 DLC1 DLC2 DLC3
[ruby(오토타치바나히메,ruby=떠돌이 캐스터)] [ruby(이부키도지,ruby=떠돌이 룰러)] [ruby(야규 무네노리,ruby=떠돌이 세이버)] [ruby(조운,ruby=떠돌이 라이더)] 떠돌이 버서커
}}}}}}}}} ||
}}}}}}}}} ||
}}}}}}}}} ||
파일:귀자모신(렘넌트).jpg

5.1.1. 단장・백룡홍귀연의

6. 기타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원안 일러스트레이터의 색지
파일:유괴마망.png
호토소우카의 일러스트

귀자모신으로 참여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체력은 많이 소모했지만, 보람 있는 역할로 즐겁게 연기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좋아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성우 코멘트

성우 코멘트는 게임 본편을 보면 곧바로 이해가 되는데, 평소의 나긋나긋한 어투와 보구 사용 시의 괴물로서의 어투, 그리고 온갖 포효까지 내야 했기 때문에 체력이 적게 소모될 수가 없었다.

7. 관련 문서


[1] Fate/Grand Order 세이버 메두사를 담당했다. [2]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에서 미유 에델펠트를 맡았다. [3] 특히 슈텐도지와 비슷한 인상이라는 평이 많다. 그래서 정보가 더 밝혀지기 전에는 원안 일러스트레이터가 RAITA인줄 안 사람들이 많았다고. [4] 정확하게는 나뭇가지 형태다. 붉고 둥근 열매가 달려있어서 진명에 대한 힌트를 주기도. [5] 본래라면 영기가 파탄날 정도의 억지 융합이지만, 귀자모신이 호법신이 되기 전에는 아이를 잡아먹는 야차녀였기 때문에 그나마 성공할 수 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