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12-05 15:17:59

권상익(1863)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찬수(贊粹)
성재(省齋) 또는 청산(晴山)
본관 안동 권씨[1]
출생 1863년 3월 6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내성현 유곡리
(現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2]
사망 1934년 11월 14일
경상북도 봉화군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운동가.

2. 생애

권상익은 1863년 3월 6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내성현 유곡리(현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에서 아버지 권기연(權祺淵)과 어머니 함안 조씨 조성옥(趙性玉)의 딸 사이의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퇴계학파에 속한 김흥락(金興洛)의 문인으로, 과거를 보지 않고 향리에서 학문에 정진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만국공관(萬國公館)에 보낼 호소문을 작성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후 1910년 한일병합이 선포된 후 세상과 인연을 끊고 후학의 지도에 전념했다.

1919년 3.1 운동이 발발한 후 김창숙, 곽종석 등 유림 137명과 함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을 청원하는 파리장서(巴里長書)에 서명하였으며, 이의 발송에 참가했다가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20년 이중업(李中業)[3]이 중국에 독립청원을 하기 위해 장남 이동흠을 봉화 사동에 머물던 권상익에게 보내 청원서 작성을 부탁하자, 그는 기꺼이 써줬다. 이후 이중업은 중국에 가지고 가려 했지만 1921년 7월 23일 갑작스럽게 병에 걸려 사망해 뜻을 이루지 못했다.

1925년 8월 김창숙이 중국으로부터 비밀리에 입국하여 내몽고 지방에 독립군기지를 건설할 자금으로 20만원 모금을 목표로 활동할 때 이에 찬동하여 군자금 모금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이로 인해 1926년에 재차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후 학문에 전념한 그는 퇴계학의 성리설(性理說)에 관해 상당한 깊이의 이해를 가졌으며, 말년에는 향리의 덕곡서당(德谷書堂)에서 제자들과 더불어 경의(經義)와 예설(禮設)을 토론하며 교육에 전념하였다. 1934년 11월 14일 봉화군에서 병사했다. 사후 독립유공자 권경섭의 숙부 권상규(權相圭)가 그의 행장을 지었으며, 독립유공자 하겸진이 그의 비문을 써주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권상익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문집으로 <성재집(省齋集)> 28권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복야공파 두수(斗壽)2계 33세 상(相) 항렬. [2]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 권성기 전 국회의원과 독립유공자 권경섭· 권세연· 권영섭· 권차응도 이 마을 출신이다. [3] 독립유공자 이만도의 큰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