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23:25:28

걸즈 밴드 크라이/평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걸즈 밴드 크라이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걸즈 밴드 크라이
파일:걸즈 밴드 크라이 애니플러스 로고 블랙.svg 파일:걸즈 밴드 크라이 애니플러스 로고 화이트.svg
]] | 등장인물 ( 토게나시 토게아리) · 음악 · 회차 목록 · 평가


1. 개요2. 영상3. 성우 연기4. 연출5. 전망6. 전문가별 평가7. 플랫폼별 평점

[clearfix]

1. 개요

TV 애니메이션 걸즈 밴드 크라이의 평가와 관련된 내용을 모은 문서.

같은 밴드 장르에 미디어 믹스인 BanG Dream!과는 확연히 다른 컨셉으로 무장한 작품으로서 화제가 되었으며, 일본 최대 규모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토에이 애니메이션이 기획하고 상당한 투자로 제작된 덕분인지 캐릭터들의 모델링과 무대 연출에도 각별히 신경을 쓴 부분이 많았다.[1] 움직임도 부드럽고 조연들과 동물들까지 일일히 3D 모델링으로 제작되어 디테일 면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2. 영상

3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프레임을 거의 생략하지 않고 TV 송출 기준인 24프레임을 모두 썼으며, 표정이나 모션도 생동감있게 움직인다. 색채 설계나 모델링에 있어서는 망가체를 지향하지만 셰이딩은 카툰 렌더링을 쓰지 않고 일반적인 3D처럼 처리했기 때문에 2D 애니메이션 느낌이 많이 나진 않는다.[2] 2D처럼 프레임을 생략한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것도 2D를 크게 의식하지 않는 모습이다.[3] 굳이 비슷한 장르에서 비교하자면 같은 3D를 사용했지만 리미티드 애니메이션이고 최대한 2D처럼 보이려고 렌더링한 BanG Dream! 애니메이션 시리즈와는 정 반대로 접근했다고 평할 수 있다.

키 비주얼이나 오프닝은 본편과 정반대로 2D로 그려지고 연출되었기 때문에 방영 전까지 본편이 3D일 줄은 몰랐던 시청자들도 꽤 많다. 오프닝 영상은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던 사이타 히로유키가 작감을 맡아서 평가가 좋다.

표정의 묘사나 공연 장면에서의 움직임 등은 좋은 편이지만 핸드싱크나 립싱크가 밀린다던지 프레임 생략이 적은 만큼 연출에 임팩트를 넣기 힘들거나 일상 분량 등에서 움직임이 어색한 구석 등이 꽤 있다. 특히 사람이 걸어서 이동하는 장면은 체중 이동이나 관절의 움직임 등이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3D에선 보통 모션 캡쳐 등으로 해결하지만, 본 애니메이션은 수작업으로 동작을 처리했는지 앞으로 문워크를 하는 듯한 묘한 동작을 보여준다.

3D로 만들어진만큼 영상에서 장점과 단점이 이토록 뚜렷하게 나타나는 편인데, 2D 작화 선호 시청자들은 토에이 정도의 자본력을 갖고도 케이온이나 봇치 더 록과 같은 셀 애니메이션이 아니라는 점에서 불호를 띠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토에이가 2D 셀 애니메이션 기술력이 없는 것도 아니고, 프리큐어 극장판이나 낙원추방 등에서 보여준 3D 작품 실적도 있기 때문에 장르 특성상 3D를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외에는 업계에서 2D 연출과 작화를 잘하는 인력이 줄어들면서 점점 3D로 넘어가고 있는 현실이라던가, 3D와 2D간에 상호 연출 기법이 다르다던지, 재활용이 가능한 3D가 장기 프로젝트에 있어서 유리하다던지 등의 복합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3D로 만들었다는 것으로 평가를 깎아먹을 만한 요소는 아니며, 우려할만큼 나쁜 결과물도 아니기 때문에 시청자 개개인의 호불호 영역으로 봐야한다.

3. 성우 연기

전문 성우들이 연기하고 노래한 외톨이 THE ROCK!이나 케이온! 등과는 달리 이 작품은 뱅드림의 일부 밴드처럼 실제 공연이 가능한지 여부를 먼저 따져 성우 경력이 없는 뮤지션들을 성우로 뽑았기 때문에 연기 쪽에서는 조금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아와 스바루 역의 미레이가 다른 주역들보다 불안하다는 반응. 일단 목소리 자체는 어울린다는 평이다.

외화 위주로 출연하는 중견 성우 코지마 사치코가 직접 연기 지도를 해주고 있으며, 그 덕에 방영 전 수십 차례에 걸쳐 공개했던 미니 드라마 콘텐츠에 비하면 많이 발전한 편이긴 하다. 재밌는 점은 미레이는 애니 방영 전에는 딱히 연기에 대한 지적이 없었다는 점인데, 다른 4명이 너무 성장하면서 불안정함이 두드러지는 게 아니냐는 반응도 있다.

4. 연출

은근히 거부회피에 대한 묘사가 정확하고 세밀한 편이다. 작중의 이세리 니나는 전형적인 거부회피형의 양가감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고, 행동양식도 유사하다. 공부와 음악 모두에서 회피하고 싶어 서로간에 그 핑계거리로 써 먹으며, 사람의 관심을 그리워하고 원하면서도 다가오면 거부하고 회피한다. 이런 거부회피가 이지메의 원인이 되고, 또 그런 경험을 통해 거부회피가 강화되기도 하기 때문에 적절한 설정이다. 작중에서는 특유의 거부회피가 발현될때 이세리에게서 검붉은 선으로 표현되는 오오라가 시각적으로 묘사된다.

5. 전망

동분기에 방영되는 동화공방의 신작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가 같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에 비슷한 소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와 비교하여 어떤 퀄리티로 나오느냐가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쪽은 소재만 차용한 청춘물이지만 이 애니는 실제 뮤지션을 기용한 본격 미디어 믹스라는 점이 차이점이다. 동분기 CG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에서는 HIGHSPEED Étoile 아이마스 샤이니 컬러즈가 경쟁작으로 꼽힌다.

분위기는 외톨이 THE ROCK!보다는 인물들의 연령대가 높고 현실적인 면을 많이 다뤄 다소 어두운 편인데, 특히 주인공부터가 억압적인 막장 부모 밑에서 성장하여 학교에서도 집단따돌림에 시달린 끝에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혼자 도쿄로 상경해 자립을 준비하는 중이라는 충격적인 배경 설정이 등장하는 등[4] 상상 이상의 매운맛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1화부터 대놓고 손가락 욕을 묘사하는 등[5] 언어 수위 면에서도 여타 밴드물에 비해 높은 편이다. 사실 밴드 애니메이션도 만화 원작 쪽으로 가보면 쾌감 프레이즈, BECK, NANA, 후우카, 기븐처럼 진지하고 어두운 작품들이 꽤 많은 편이지만, 미디어믹스를 전제로 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임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2화 시점에서 예상보다 빨리 모모카와 니나의 어두운 면에 대한 이야기가 풀어지기 시작했고, 따라서 외톨이 THE ROCK!과는 분위기 차이가 더 벌어져 버렸다. 그런데 이미 시청자들 사이에 흔히 대가리 꽃밭으로 일컬어지는 일상+밴드물에 대한 피로감이 있으며,[6] 청춘+밴드물인 BanG Dream! It's MyGO!!!!!의 뜻하지 않은 성공으로 이런 '매운맛' 밴드물에 대한 팬덤과 선호도도 꽤 커진 상태다. 그래서인지 2화가 방영된 후 이런 부분에 대한 호평도 꽤 나오고 있어 앞으로 이러한 특색을 얼마나 잘 살리며 유지하는지가 흥행의 관건일 것이다. 적당히 갈등을 표면화하는 척 하다가 흐지부지 되고 이른 시점에 성공적으로 밴드 결성 및 활동한다는 각본을 사용한다면 양쪽 팬덤 모두 잡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7]

6. 전문가별 평가

7. 플랫폼별 평점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왓챠=tRzLA1Q, 왓챠_user=4.4, ## 왓챠_highlight=display,
라프텔=42112, 라프텔_user=4.7, ## 라프텔_highlight=display,
ANIPLUS=3187, ANIPLUS_user=10.0, ## ANIPLUS_highlight=display,


[1] 방영 전부터 코토부키야에서 주역 5인의 스케일 피규어화가 확정됐으며, 퍼스트 원맨 라이브 및 5개 싱글 발매 및 10곡 MV 제작도 모두 방영 전에 이뤄졌다. 8화까지를 모아서 진행하는 상영회도 방영 전부터 일찌감치 확정되었다. 최근 개당 20,000엔은 우습게 넘기는 스케일 피규어 업계를 감안하면 수요를 무시하고 확정부터 지은 것은 대단히 과감한 도전이라 할 수 있다. [2] 이 작품이 최대한 2D 애니메이션처럼 보이려고 노력했다면 카툰 렌더링을 통해 셰이딩 단계에서 명암 단계를 확실히 구분해야 했을텐데 이를 의식하지 않고 그라데이션으로 표현되어 있다. [3] 일본의 많은 3D 애니메이션은 제작비 절감이나 2D 작화와의 위화감 축소를 위해서 의도적으로 프레임을 생략한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표현을 사용하는데, 여러 카툰 렌더링 3D 게임의 그래픽 묘사에 익숙해져 있는 일부 시청자로부터는 오히려 프레임이 너무 부족해서 2D 작화에 비해 움직임이 뚝뚝 끊겨 보인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4] 이외에 작품 소개란에서 키보드 담당 토모가 부모에게 버림을 받아 혼자 살고 있는 중 / 기타 담당 모모카는 돈벌이 문제 때문에 다이아몬드 더스트를 탈퇴했지만 실제론 내부적 갈등이 진짜 이유라는 떡밥 투척 등 멤버들 모두가 나름의 고충과 아픔을 안고 있다. [5] 팝 팀 에픽도 모자이크 처리 정도는 했는데 이건 그마저도 안 했다. [6] 다만 케이온의 임팩트가 커서 그렇지 일상물에 중점을 둔 밴드물은 상술한 봇치 외에 BanG Dream 시리즈나 SHOW BY ROCK!! 시리즈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없다시피하고, 무엇보다 밴드물 자체의 수도 많지 않기에 어느 정도 편견에 가깝다 볼 수 있다. 아이돌물은 밴드물과 결이 다르므로 예시에 부적합하다. [7] 사실 봇치 더 락은 망가타임 키라라의 연재작이고, 마이고는 뱅드림IP의 홍보용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봇치 더 락은 빠르게 밴드를 결성하고 이들의 일상을 다루는 것이 중점인 반면, 미디어 믹스 애니메이션에서는 이들의 결성까지 다루며 그 이후는 다른 미디어 믹스에 넘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