氏 각시/성씨 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氏,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うじ
|
||||||
-
|
|||||||
표준 중국어
|
shì, zh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氏는 '각시/성씨 씨'라는 한자로, ' 성씨'를 뜻한다.하나의 혈연집단인 성(姓)에서 비롯되었으나, 여러 지역으로 갈라져 살아가는 과정에서 지연으로 맺어진 집단을 의미한다. 이를 성과 구별하기 위해 그 집단의 역할명 뒤에 ~씨라는 존칭을 붙이게 되었고, 후세에는 결혼한 여성의 아버지, 남편 등의 성이나 이름 뒤에도 쓰이고, 더 나아가서는 (대개 학파를 갖출 만큼) 유명한 인물의 이름 뒤에도 쓰이게 되면서[1] 갈수록 의미가 확장되었다. 옛날 왕후나 제후의 부인을 ~씨라고 부른 것은 현대의 용례와는 달리 씨가 '~성의 부인(née ~)'이란 의미로 쓰인 것이고, '각시'라는 한국어 훈 역시 이런 용례에서 나온 것이다.
2. 상세
고대 일본에서 이 한자는 천황이 하사한 성씨, 즉 우지를 지칭했다. 그러나 이미 헤이안 시대부터 우지는 출신 지역에 기반한 묘지(苗字)[2]에 밀려서 공문서나 외교문서 정도가 아니면 일상에서 잘 쓰이지 않게 되었으며,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氏라는 한자는 아예 묘지와 동일시되었다. 천황이 하사해서 함부로 바꿀 수 없는 우지와는 달리, 묘지는 개인이 바꾸기에도 까다롭지 않았으며, 따라서 메이지 유신 과정에서도 국가적 사업을 통해 엄청나게 많은 묘지를 새로 만들어 평민들에게 배부할 수 있었다. 오늘날까지 현대 한국인에게 악명높은 일제강점기의 정책인 창씨개명 역시 조선인의 성(姓)에 기반한 가족제도를 씨(묘지) 기반의 일본식 호적제도로 바꾸기 위한 작업이었다.현대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이 용례가 더욱 확장되어, 현재까지 성이나 이름 뒤에 붙는 존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성의 부인'에 해당하던 의미도 사라져서 이제는 남녀 구분없이 쓰이는 호칭이다. 단, 한국이 일상어휘로써 '씨'의 사용빈도가 일본어에서보다 더 높으며, 일본어에서는 뉴스 보도나 재판, 병원 진료 등의 딱딱한 상황에서나 접할 만한 서면어투로 분류된다.
특히 현대 한국어에서 '씨'는 공적인 관계나 선을 보는 관계 등 '거리감'이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쓰는 호칭으로 사용되며, 사적인 관계나 일부 공적인 관계에서조차 '씨' 호칭을 너무 자주 사용하게 될 경우 자칫 거친 어감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특히 성 바로 뒤에 '씨'를 붙일 경우(예: 김씨, 이씨, 박씨) 타인을 하대하는 듯한 어감을 준다.[3] 또한 이 단어는 아직 직급이 정해지지 않은 평사원(rank-and-file employee)을 지칭하는 인칭접미사로도 널리 쓰인다. 즉, 엄연히 '주임'이나 '대리' 등의 직급이 뒤에 붙기 시작했는데도 '씨'라고 부를 경우, 비즈니스 에티켓상 큰 실례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어에서는 하도 많이 사용되는 데다 ㅆ 초성으로 시작하는 한자의 수가 드물다 보니 '씨'를 순우리말인 ' 씨앗' 등과 동계어로 이해하는 화자들도 있으나 이는 오류이며, 엄연히 '씨(氏)'라는 단어는 한자어에 뿌리를 두고 있다.
베트남어에서는 티(thị)라고 음독되며, 판티낌푹(潘氏金福)의 경우처럼 여성의 성 바로 뒤에 자주 붙는다. 아예 이 나라의 여자 스포츠 팀을 보면 알 수 있듯 정말 많이 보이는데, 원래 용법은 영어권의 Miss(미스트리스)처럼 미혼 여성에 쓰는 것이었으나 근세 들어와 모든 여성에 쓰이게 변했다고 한다. # 단 아예 thị라고만 하면 여성에 대한 비칭으로 사용될 수도 있었다. 오늘날에는 붙여 써봤자 별 의미가 없기 때문에 아예 이름에서 '티' 부분은 생략하고 부르는 경우가 많고, 같은 한자문화권의 번역 역시 그렇게 된다.
유니코드는 U+6C0F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VP(竹女心)로 입력한다.
2.1. 자원 및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설문해자에서는 소전체에 근거하여 파촉(지금의 쓰촨성)의 산에 금방이라도 암석이 떨어질 것 같은 절벽을 본뜬 상형자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갑골문의 자형은 다른데, 자형이 간단하고 다른 뜻으로 가차되었기 때문에 본의를 파악하기 힘들다. 사람이 고개를 숙이고 팔을 아래로 내려뜨려 땅에 대는 형상으로 보아 氐(숙이다)의 본자(本字)로 보기도 한다. 가차되면서 땅을 표시하는 一을 추가하여 氐가 되었고 이 글자도 근본, 대개 등의 다른 뜻으로 쓰이면서 다시 低가 쓰이게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땅속에 있는 나무뿌리나 종족을 상징하는 지휘봉으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이는 씨족의 의미와 결부시킨 해석이다.
3. 용례
3.1. 단어
- 각시씨(--氏): 본 문서인 '氏'에 해당하는 한자 부수.
- 갈비씨(-氏)
-
계씨(
季氏): 남의 남동생을 높여 이르는 말. = 제씨(
弟氏)
? - 고종씨( 姑 從氏): 고종형, 또는 다른 이의 고종사촌의 높임말. 외종씨( 外 從氏)[4]에 상대하여선 내종씨( 內 從氏)라고도 한다.
- 구씨( 舅氏)
- 기궐씨( 剞 劂氏): 인쇄를 위해 나무 판에 글자를 새기는 전문가.
- 납씨곡( 納氏 曲): 조선 시대 제례악의 하나로, <납씨곡>에 곡을 붙인 것. 둑제[5]의 삼헌[6] 때 올린다.
- 도당씨( 陶 唐氏)
- 도씨(-氏)
- 동씨( 同氏): 앞에서 말한 그 사람.
- 만황씨( 萬 黃氏): 못나고 어리석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매씨( 妹氏): 남의 손아래 누이의 높임말, 또는 자신의 손위 누이를 일컫는 말.
- 모씨( 母氏): 아랫사람의 어머니를 이르는 말.
- 무명씨( 無 名氏): 이름을 모르는 사람.
- 바지씨(--氏): 남자, 또는 여자의 연인을 속되게 이르는 말.
- 백씨( 伯氏): 남의 맏형을 높여 이르는 말.
- 백씨( 白氏)
- 불씨( 佛氏)
-
비씨(
妃氏
BC): 왕비로 간택된 아가씨를 높여 이르던 말. - 빈씨( 嬪氏): 세자빈으로 뽑히고 나서 가례[7]를 행하기 전까지의 아가씨.
- 삼종씨( 三 從氏): 남 또는 자기 삼종형제의 높임말.
- 석씨( 釋氏): 석가모니를 칭하거나, 불교를 믿는 사람, 또는 스님을 말한다.
- 섭씨( 攝氏)
- 성씨( 姓氏)
- 수씨( 嫂氏): 형제의 아내.
- 숙씨( 叔氏): 남의 셋째 형이나 아우를 높여 이르는 말.
- 씨명(氏 名)
- 씨보(氏 譜)
- 씨족(氏 族): 같은 조상을 가진 혈연 공동체. 원시 사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부족 사회의 기초 단위로서, 대개는 족외혼의 관습에 의해 유지된다.
- 열씨( 列氏)
- 자씨( 姊氏): 남의 손위 누이를 높여 이르는 말.
- 자씨( 慈氏)
- 제수씨( 弟 嫂氏)[8]
- 제씨( 諸氏): 여러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 종씨( 從氏): 남에게 자기 사촌 형제를, 또는 남의 사촌 형제를 높여 이르는 말.
- 종씨( 宗氏): 같은 성으로서 촌수를 따질 정도가 못 되는 사람들 간에 서로를 부르는 말.
- 중씨( 仲氏): 남이나 자기 둘째 형을 높여 이르는 말.
- 창씨개명( 創氏 改 名)[9]
- 함씨( 咸氏): 조카님.
- 해씨( 該氏): 바로 그분, 또는 그 양반.
- 화씨( 華氏)
3.2. 인명
- 가모 우지사토( 蒲 生 氏 郷)
- 겐지 아게다마( 源氏 あげだま)
- 나카무라 카즈우지( 中 村 一氏)
- 씨숙종(氏 叔 琮)
- 씨의(氏 儀)
- 아시나 모리우지( 蘆 名 盛氏)
- 아시카가 모리우지( 足 利 護氏)
- 아시카가 스고우지( 足 利 凄氏)
- 우지이에 토젠(氏 家 ト 全)
- 우지코 다루마(氏 子 達 磨)
- 히카루 겐지( 光 源氏)
- 히토우지 유우지( 一氏 ユウジ)
3.3. 창작물
- 고성남씨족보( 固 城 南氏 族 譜)
- 불씨잡변( 佛氏 雜 辨)
- 사씨남정기( 謝氏 南 征 記)
- 석씨원류( 釋氏 源 流)
- 엄씨효문청행록( 嚴氏 孝 門 淸 行 錄)
- 源氏物語(겐지 이야기)
- 摂氏509号室
- 시씨식사사( 施氏 食 獅 史)
4.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 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 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명칭: 각시씨부
강희자전 안에 83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0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주로 氏의 필획이 있는 글자를 분류한다.
4.1. 부수 예
추가 획 | 한자 |
기본자 | 氏 |
1획 | 氐 民 |
2획 | 氒 |
4획 | 氓 |
4.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각시씨부
- 중국: [ruby(氏部, ruby=xīnbù)]
- 일본: うじ
- 미국: Radical clan
5. 유의자
6. 상대자
- 각시
- 夫(지아비 부)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氐(근본 저)
[1]
여씨춘추나
춘추좌씨전,
불씨잡변 등의 어원을 생각해 보자.
[2]
원래 무사 계급이 이름(나노리, 名乘)의 앞에 붙여 성처럼 사용하던 이름이었다. 천황가나 공가에서는 전통적으로 묘지가 아닌
칭호를 이름(名字) 앞에 붙여서 성처럼 사용해 왔다. 예컨대,
나루히토의 칭호는 히로노미야(浩宮)다.
[3]
비유하자면, 영어권 국가에서 선생님을 성이나 이름이 아닌 'Teacher'로 부르는 것에 준하는 모욕감을 선사할 수 있다.
[4]
이종형.
[5]
임금 행차 때나 군대 행렬 앞에 세우는 둑에 지내던 제사.
[6]
제사를 지낼 때에 초헌, 아헌, 종헌으로 나누어 술을 세 번 부어 올리는 것.
[7]
오례(
五
禮)의 하나로, 왕가에선 주로 왕의 성혼이나 즉위, 또는 왕세자, 왕세손, 황태자, 황태손의 성혼이나 책봉 등의 예식을 말하고, 사가에서는 관례(
冠
禮)나 혼례를 이른다.
[8]
계수씨(
季
嫂氏)란 표현도 쓴다.
[9]
창씨(
創氏)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