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17 18:18:58

가깝고도 먼 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
,(1980년 이전 제작),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ont-size: .7em;"
파일:두만강아잘있거라.png 파일:전쟁과노인.png 파일:망부석(임권택).png
두만강아 잘 있거라 (1962) 전쟁과 노인 (1962) 망부석 (1963)
파일:남자는 안 팔려.png 파일:신문고.png 파일:욕망의결산.png
남자는 안 팔려 (1963) 신문고 (1963) 욕망의 결산 (1964)
파일:십자매선생.png 파일:십년세도.png 파일:영화마마.png
십자매 선생 (1964) 십년세도 (1964) 영화마마 (1964)
파일:단골지각생.png 파일:단장록.png 파일:전장과여교사.png
단골지각생 (1964) 단장록 (1964) 전장 여교사 (1965)
파일:비속에지다.png 파일:왕과상노.png 파일:닐니리.png
비속에 지다 (1965) 왕과 상노 (1965) 닐니리 (1966)
파일:법창을울린옥이.png 파일:나는왕이다.png 파일:망향천리.png
법창을 울린 옥이 (1966) 나는 왕이다 (1966) 망향천리 (1967)
파일:청사초롱.png 파일:풍운의검객.png 파일:요화장희빈.png
청사초롱 (1967) 풍운의 검객 (1967) 요화 장희빈 (1968)
파일:바람같은사나이.png 파일:돌아온왼손잡이.png 파일:몽녀.png
바람같은 사나이 (1968) 돌아온 왼손잡이 (1968) 몽녀 (1968)
파일:십오야의복수.png 파일:황야의독수리.png 파일:비나리는고모령.png
십오야의 복수 (1969) 황야의 독수리 (1969) 비나리는 고모령 (1969)
파일:사나이삼대.png 파일:상해탈출.png 파일:신세좀지자구요.png
사나이 삼대 (1969) 상해탈출 (1969) 신세 좀 지자구요 (1969)
파일:뇌검번개칼.png 파일:월하의검.png 파일:애꾸눈박.png
뇌검 번개칼 (1969) 월하의 검 (1969) 애꾸눈 박 (1970)
파일:이슬맞은백일홍.png 파일:비나리는선창가.png 파일:그여자를쫓아라.png
이슬맞은 백일홍 (1970) 비나리는 선창가 (1970) 그 여자를 쫓아라 (1970)
파일:속눈섭이긴여자.png 파일:밤차로온사나이.png 파일:비검.png
속눈섭이 긴 여자 (1970) 밤차로 온 사나이 (1970) 비검 (1970)
파일:원한의거리에눈이나린다.png 파일:나를더이상괴롭히지마라.png 파일:둘째어머니.png
원한의 거리에 눈이 나린다 (1971) 나를 더이상 괴롭히지 마라 (1971) 둘째 어머니 (1971)
파일:요검.png 파일:30년만의대결.png 파일:원한의두꼽추.png
요검 (1971) 30년만의 대결 (1971) 원한의 두 꼽추 (1971)
파일:명동삼국지.png 파일:돌아온자와떠나야할자.png 파일:명동잔혹사.png
명동삼국지 (1971) 돌아온 자와 떠나야 할 자 (1972) 명동잔혹사 (1972)
파일:삼국대협.png 파일:장안명기오백화.png 파일:잡초(임권택).png
삼국대협 (1972) 장안명기 오백화 (1973) 잡초 (1973)
파일:증언.png 파일:대추격.png 파일:연화(임권택).png
증언 (1973) 대추격 (1973) 연화 (1974)
파일:울지않으리.png 파일:연화(임권택).png 파일:아내들의행진.png
울지 않으리 (1974) 연화(속) (1974) 아내들의 행진 (1974)
파일:어제오늘그리고내일.png 파일:왜그랬던가!.png 파일:낙동강은흐르는가.png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1975) 왜 그랬던가! (1975) 낙동강은 흐르는가 (1976)
파일:아내(임권택).png 파일:왕십리(임권택).png 파일:맨발의눈길.png
아내 (1976) 왕십리 (1976) 맨발의 눈길 (1976)
파일:옥례기.png 파일:임진왜란과계월향.png 파일:저파도위에엄마얼굴이.png
옥례기 (1977) 임진왜란과 계월향 (1977) 저 파도 위에 엄마 얼굴이 (1978)
파일:가깝고도먼길.png 파일:상록수.png 파일:족보(임권택).png
가깝고도 먼 길 (1978) 상록수 (1978) 족보 (1978)
파일:신궁.png 파일:내일또내일.png 파일:깃발없는기수.png
신궁 (1979) 내일 또 내일 (1979) 깃발 없는 기수 (1979)
상세정보 링크 열기
1980년 이후 제작
}}}}}}}}}}}}}}}}}} ||

파일:external/www.cine114.net/shszone_393.jpg
국딩관람불가라면서 80년대까지 국민학교에서 돈받고 틀어줬지
1. 개요2. 줄거리

1. 개요

임권택 감독의 반공 영화. 1978년작. 울지 않으리와 더불어 임권택의 대표적인 반공영화로 꼽힌다.

한국영상자료원 VOD 서비스

2. 줄거리

초등학생 인철은 배를 타다가 난파되어 표류된다. 그런데 하필이면 그곳이 북한이고, 게다가 38선 근처이다(!) 거기서 주인공은 고철줍기를 하는 동만을 만난다. 동만은 신고하려고 하지만, 인철이 동정심에 호소하자 같이 다닌다. 이 영화는 로드무비로 주인공들이 삼팔선으로 가는 여정을 다룬 것이다. 그외의 장면은 대부분 회상이나 상상의 장면이다. 반공적인 요소가 많이 나온다(...) 특히 동만은 인철의 신발과 시계를 부러워하는데, 인철은 이런거는(신발) 남한에 가면 얼마든지 있어.라고 자랑한다.[1] 처음에는 서로의 사상적 갈등으로 자주 다투지만 뒤로 갈수록 서로 정이 들어 우정을 쌓는다.

결국 휴전선 근처에 다다르게 되는데, 북한주민들은 모두 탈북하고 싶다는 클리셰 때문에 탈북하게 된다.[2] 여기서 북한군을 도발한다 → 북한관이 기관총을 쏴댄다. → 기관총알에 맞은 지뢰들이 폭발한다.

이렇게 해서 탈북하지만 동만은 도중에 떨어뜨린 신발을 주우러 가고, 인철은 동만을 구하러 가기위해 북한쪽으로 간다. 그 와중에 북한군의 총격을 받아 둘 다 사망한다. 한국군은 건너편에서 망원경으로 보며 안타까워한다. "아니,저런. 아니, 저런"(사실 어린이들이 탈북한다고 엄호사격을 하면 위험하기 때문이다.) 어린이들이 총에 맞아죽는다는 안타까운 결말 때문에, 결말이 삭제되어 방영된 적도 있다.[3]

하지만 TV 방영 전 이 영화는 대부분 초등학교(당시에는 국민학교)에서 대강당이나 큰교실에서 집단관람으로 상영되었고 결말은 전혀 삭제되지 않아 당시 다수의 초딩(국딩)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 주었다.


[1] 북한이 빈민국 수준으로 추락한 21세기의 시각으로 보면 당연해서 언급할 가치도 없는 대사 취급하기 십상이나, 이 영화가 촬영된 시점은 1978년. 북한 경제의 찰나같은 황금기(?)였으며 남북한간의 경제차 역시 비등비등한 시기였다. 이 영화가 프로파간다 영화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각인시켜주는 장면이자 현실이 선전을 뛰어넘어버렸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한 장면. 하지만 1978년이면 1인당 국민소득이 이미 북한을 2배차로 앞서기 시작했기 때문에 남한의 경제력이 급속도로 앞서가기 시작한 건 맞다. 이전 반공영화에서는 그런 경제력 비교는 거의 없었지만 남한의 경제력이 앞서면서 국가적으로도 남한이 북한보다 잘 산다는 걸 홍보하기 시작한다. 그래도 부유한 서울의 아이와 북한의 외딴 시골 아이를 남북한의 대표로 비교하기에는 영화에서 처럼 북한 역시 남한이 눈부신 경제적 성장을 이룬 1980년대 까지도 일부 부자들만 잘 살고 대부분의 국민들은 다 거지같이 깡통만 찬다고 선전했다. 그래서 1989년 임수경이 방북했을 때 임수경의 모습과 행동을 보고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 [2] 처음에 동만은 인철이를 탈출시키고 자신은 남아 있으려고 했지만 인철이 지뢰밭으로 가는 바람에 구하려고 철책을 넘게 되고 결국 다시 돌아가면 반동분자로 잡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인철과 같이 월남하기로 마음을 바꾼다. [3] TV 방영 당시에는 북한 땅에서 있었던 일이 모두 인철의 꿈인 것처럼 편집하였다. 아무래도 어린아이들이 북한군에게 총맞아 죽는 이 마지막 장면과 끝에 두 어린이가 나체로 들판을 뛰어다니는 장면감독 양반이 참 나체를 좋아해 때문에 국교생관람불가가 된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