寓 부칠 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미배정
|
1급
|
||||||
-
|
|||||||
일본어 음독
|
グ, グウ
|
||||||
일본어 훈독
|
かこつ-ける, かりずまい,
やど-る, よ-せる |
||||||
-
|
|||||||
표준 중국어
|
y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寓는 '부칠 우'라는 한자로, '부치다', '붙어살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부치다 |
음 | 우 | |
중국어 | 표준어 | yù |
광동어 | jyu6 | |
객가어 | ngi | |
민북어 | ngṳ̄ | |
민동어 | ngê̤ṳ | |
민남어 | gū | |
오어 | nyy (T3) | |
일본어 | 음독 | グ, グウ |
훈독 |
かこつ-ける, かりずまい, やど-る, よ-せる |
|
베트남어 | ngụ |
유니코드에는 U+5BD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WLB(十田中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禺(어리석을 옹)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庽(U+5EBD)
- 𡪾[⿱宀愚](U+21ABE)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萬(일만 만)
- 𤲳[⿱田禺]/ 𥝃[⿱弗禺]/ 𥝇[⿱𦥑禺](비비 비)[1]
- 歶(물고기 우/어)
- 𠾧[⿱吅禺](가축 축)[2]
- 𩮐[⿱髟禺](섭)
- 𡺥[⿱山禺]
- 𣈦[⿱日禺]
- 𥧆[⿱穴禺]
- 𦦔[⿱⿻丨臼禺]
- 𦦷[⿱⿴𦥑囟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