始 비로소 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女,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はじ-める, はじ-まる
|
||||||
-
|
|||||||
표준 중국어
|
shǐ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始는 '비로소 시'라는 한자로, '비로소'[1], '바야흐로'[2], '일찍' 등을 뜻한다.2. 상세
始자는 ‘비로소’나 ‘일찍이’, ‘옛날에’라는 뜻을 가진 회의 문자이다. 始자는 女(여자 여)자와 台(별 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台자는 匕(비수 비)자와 口(입 구)자가 결합한 것으로 수저를 입에 가져다 대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여기에 女자가 더해진 始자는 마치 엄마가 아이에게 음식을 먹이는 듯한 모습으로 그려졌다. 아이는 엄마가 주는 양분을 통해 삶을 시작하게 된다. 始자는 바로 이러한 의미를 담아 만든 글자이다.
읽기 6급II , 쓰기 5급II에 속하는 한자다.
3. 용례
3.1. 단어
- 개시( 開始)
- 시가(始 價)
- 시동(始 動)
- 시말(始 末)
- 시무(始 務)
- 시발(始 發)
- 시생대(始 生 代)
- 시업(始 業)
- 시작(始 作)
- 시점(始 點)
- 시조(始 祖)
- 시종(始 終)
- 시초(始初)
- 시황(始 皇)
- 연시( 年始)
- 원시( 原始/ 元始)
- 창시( 創始)
3.2. 고사성어/ 숙어
- 금시초문( 今始 初 聞)
- 선시선종( 善始 善 終)
- 선종외시( 先 從 隗始)
- 시근종태(始 勤 終 怠)
- 시종(始 終)
- 신종여시( 愼 終 如始)
- 연말연시( 年 末 年始)
- 유시무종( 有始 無 終)
- 유시유종( 有始 有 終)
- 일부시종( 一 部始 終)
- 자금위시( 自 今 爲始)
3.3. 인명
- 김병시( 金 炳始)
- 김시진( 金始 眞)
- 성시경( 成始 璄)
- 성시백( 成始 柏)
- 시필가한(始 畢 可 汗)
- 신시아( 申始 雅)
- 아이카와 하지메( 相 川 始)
- 이시연( 李始 娟): 드림캐쳐의 멤버
- 이시연( 李始 燕): QWER의 멤버
- 이화시( 李 花始)
- 정민시( 鄭 民始)
- 조시형( 趙始 衡)
3.4. 지명
3.5. 창작물
4. 일본어
4.1. 훈독
始(はじ)める: 시작하다, 비롯하다 始(はじ)まる: 시작되다, 비롯되다전자는 타동사, 후자는 자동사이다. 일본어를 모르는 사람도 들어봤을 법한 '하지메마시테(처음 뵙겠습니다)'가 始(はじ)める에서 파생된 것이다.
4.2. 음독
し.예) 開始(かいし): 개시, 시작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坮(돈대 대)
- 鈶(창 사)
- 冶(풀무 야)
- 怡(기쁠 이)
- 眙(땅 이름 이)
- 佁(미련스러울 이)
- 飴/ 𥹋(엿 이)
- 珆(옥돌 이)
- 枱(쟁기 이)
- 貽(줄 이)
- 詒(줄 이/속일 태)
- 耛(김맬 치)
- 𣅿(눈여겨볼 치)
- 治(다스릴 치)
- 齝(새김질할 치)
- 殆(거의 태)
- 𧉟(검은 조개 태)
- 軩(기울어질 태)
- 駘(둔마 태)
- 抬(매질할 태)
- 跆(밟을 태)
- 鮐(복어 태)
- 紿(속일 태)
- 胎/ 孡(아이밸 태)
- 咍(비웃을 해)
- 秮(알 찬 조 활)
- 𩇚
- 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