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0:47:09

Группа крови(노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

알렉산드르 티토프
게오르기 구리야노프
이고르 티호미로프
{{{-2 {{{#!folding [ 탈퇴한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color: #fff; min-width: 20%"
{{{#fff {{{#!folding [ 스튜디오 앨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91919><tablewidth=100%>

1982년 7월 29일

1983년 12월 12일

1984년 6월 23일

1985년 9월 14일

1986년 1월
#!wikistyle="margin:-5px -10px"
[[키노/디스코그래피#s-2.1.6|[[파일:사랑은 장난이 아니야.jpg|width=100%]]]]
#!wikistyle="margin:-5px -10px"
[[혈액형(키노)|[[파일:키노 혈액형.png|width=100%]]]]
#!wikistyle="margin:-5px -10px"
[[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파일:태양이라는 이름의 별.png|width=100%]]]]
#!wikistyle="margin:-5px -10px"
[[Чёрный альбом|[[파일:검은앨범.png|width=100%]]]]

1986년/2020년

1988년 1월 5일

1989년 8월 29일

1991년 1월 12일
}}}}}}}}}}}}
{{{#!folding [ 컴필레이션 ]
{{{#!folding [ 라이브 앨범 ]
{{{#!folding [ 싱글 ]
{{{#!folding [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0C9B2><tablebgcolor=#E0C9B2>
파일:키노 혈액형.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러닝타임
<colbgcolor=#A6938E><colcolor=#191919> 1 <colbgcolor=#fff,#191919> Группа крови (혈액형) <colbgcolor=#fff,#191919><colcolor=#191919,#fff> 4:47
2 Закрой за мной дверь, я ухожу (내 뒤에 문을 닫아줘, 난 떠날테니까) 4:17
3 Война (전쟁) 4:05
4 Спокойная ночь (편안한 밤) 6:08
5 Мама, мы все сошли с ума (엄마, 우린 모두 미쳤어요) 4:08
6 Бошетунмай (보셰툰마이) 4:09
7 В наших глазах (우리의 눈(眼) 속에는) 3:34
8 Попробуй спеть вместе со мной (나와 함께 노래부르자) 4:36
9 Прохожий (행인) 3:40
10 Дальше действовать будем мы (우린 계속 행동할 것이다) 3:57
11 Легенда (전설) 4:09
파일:kino logo.png
}}}}}}}}} ||
'''{{{+1 Группа крови'''
<colbgcolor=#CCA06F><colcolor=#000> 앨범 발매일 1988년 1월 5일
녹음 기간 1987년
장르 포스트 펑크, 뉴웨이브, 러시안 록
재생 시간 04:47)
작곡/작사 빅토르 초이
언어 러시아어
수록 앨범 Группа крови
1. 개요2. 역사3. 의미4. 들어보기
4.1. 커버
5. 여담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국민가요.진정한 인민의 락 동명의 앨범에 실린 타이틀곡이자 키노의 대표곡. 이 앨범을 시작으로 빅토르 초이의 보컬이 중저음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며, 현대 "키노"하면 떠오르는 진지한 가사가 등장한다.

2. 역사

빅토르 초이의 연인 나탈리야 라즐로고바의 회고에 따르면 1987년 1~2월경, 초이가 영화 Acca 촬영을 위해 얄타에 있을 때 해당곡을 자신에게 처음으로 선보였다고 한다.

유리 카스파랸과 게오르기 구리야노프의 회고에 따르면 키노 멤버들이 티무르 노비코프(Тимур Новиков)[1]가 조직한 마야콥스키 친우회(Клуб друзей Маяковского)에서 모여 리허설을 위해 구리야노프의 집에 갔다고 한다. 그곳에서 초이는 혈액형을 키노 멤버들에게 선보였다고 한다. 이때 이미 도입부와 기타 솔로가 완성된 상태였다고 한다.

1987년 제5회 레닌그라드 록 페스티벌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공개 당시에는 대중들에게 큰 주목을 받지는 못 했다.

빅토르 초이가 주연을 맡은 1988년작 이글라 엔딩 장면과 엔딩 크레딧에 삽입되었다. 이글라가 소련에서 1550만 관객을 동원하는 대흥행을 기록함에 따라 혈액형의 인지도도 크게 오르게 되었다.

키노의 곡 중 유일하게 영어 버전이 존재하며[2] 1988년 컴필 마지막 영웅과 함께 녹음되었다. 영어 버전은 조안나의 스팅레이의 아이디어였다고 한다. 키노가 영미권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유일한 소련 록 밴드이며, 이를 위해서는 영어 버전을 녹음해야 한다는 것이 그녀의 논지였다. 키노 멤버들은 이를 받아드려 영어 버전을 녹음했다. 하지만 영어 버전 녹음은 진지하기보다는 흥미와 실험적 측면이 더 강했기에 오랫동안 공개되지 않다가 2002년, 앨범 마지막 녹음이 발매되고 나서야 공개되었다.

러시아의 록 전문 라디오 방송국인 나셰고 라디오 (Нашего радио)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러시아 록 100곡 중 1위로 선정되었다.

2007년, 롤링 스톤 러시아어판이 선정한 세상을 바꾼 40곡 리스트에 포함되었다.

3. 의미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페레스트로이카 등 당시 시대적 환경과 맞물려 사실상 반전 가요로 간주되나, 본인이 이에 대해 말한 적이 없으므로 확답을 내리기는 힘들다. 의외로 초이는 본인을 "저항의 아이콘"으로 보는 것을 탐탁치 않아 했다. 러시아 및 동구권에서 사실상 민중 가요로 등극한 "우리는 변화를 원한다!"의 경우, 초이 본인이 생전 인터뷰에서 페레스트로이카나 정치적 저항과는 연관이 없다고 여러 차례 선을 그었다.

모험과 도전에 지쳐 현 자리에 안주하고 싶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을 나서겠다는 전사의 노래로 해석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초이가 스타워즈를 보고 영감을 얻어 작곡했다는 썰까지 돈다. 물론 현대 러시아에서도 대부분은 반전 가요로 받아들인다.

4. 들어보기

▲ 데모 버전 ▲ 영어 버전[3]
▲ 마지막 영웅 버전 이글라 버전
▲ 1987년 제5회 레닌그라드 록 페스티벌 ▲ 1990년 도네츠크 라이브
▲ 1990년 6월 24일 모스크바 루즈니키 스타디움 라이브[4] ▲ 2021년 모스크바 CSKA 아레나 라이브

4.1. 커버

▲ YB의 1999년 버전 ▲ YB의 2010년 버전
우즈벡 출신 가수 잔나 킴 버전 이고르 프레스냐코프의 커버
한대수가 편곡한 버전(7집 수록) ▲ 2019년 메탈리카의 커버
▲ Симфоническое Кино 버전 워 썬더 'Drone age' 업데이트 티저 삽입판

5. 여담

  • 유리 카스파랸과 게오르기 구리야노프가 나셰고 라디오의 한 프로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동명의 앨범 작업 도중 혈액형의 디스코 버전을 만들었는데 이 사실을 안 초이가 디스코 버전을 금지했다고 한다. 구리야노프는 여기에 덧붙혀 들으며 춤추기 좋고 아주 매력적이었는데 초이가 빠꾸를 먹여 아쉽다고 말했다. 이 디스코 버전은 현재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 국내에서도 리메이크 되었다. YB가 1999년 "한국 ROCK 다시 부르기" 앨범에 한국어 개사 버전이 수록되었고[5], 이후 2010년 "YB vs RRM"에 원어 일렉트로니카 리믹스 버전이 수록되었다. 한대수도 7집에 한국어 개사 버전을 수록했다.
  • 게임 덕후들에겐 의외로 친숙한 곡일 수도 있다. 전설적인 비디오 게임인(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Grand Theft Auto IV(GTA 4)에서 자동차를 타면 들을 수 있는 라디오 채널 중에 동구권 음악채널인 Vladivostok FM에서 이 음악이 나온다.[6] 리메이크는 아니고, 해외 진출을 모색하던 초이가 스튜디오 작업 중 영어 버전으로 녹음한 걸 그대로 실은 것이다.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도 들을 수 있었는데, 선수 입장 중 1:37:44(터키~노르웨이) 부분에서 리믹스로 등장한다. 이 외 키노의 곡인 Кончится лето(여름이 끝난다) 리믹스판 또한 나왔다. 1:05:52(홍콩) 재밌는 건, 폐막식에서는 류베의 '웃기지 마라, 미국아'도 리믹스로 나왔다. 무슨 생각을 했던 걸까
  • 2022년 빅토르 초이 60주년과 키노 40주년을 동시에 기념하여 발틱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워 썬더의 합작으로 'Drone age' 업데이트 티저 영상에 리메이크되어 삽입되었다. 녹음은 제정 러시아 시절부터 존속되어온 역사와 전통의 렌독 스튜디오(Lendoc studio)에서 진행되었다.
  • 러시아 록 밴드 레닌그라드의 동명의 곡의 주제로 쓰였다. 가사의 내용은 혈액형이 구리다는 사람에게 혈액형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곡이니 욕하지 말라는 내용.

[1] 소련, 러시아의 비순응주의 예술가이자 철학자. 빅토르 초이의 초상화를 그려주기도 했다. [2] 영어로 작곡한 노래로 한정하다면 유이한 버전. 1986년 조안나 스팅그레이와 합작한 공연 "세상을 구하자"(Спасём Мир)에서 스팅그레이와 쓴 노래인 "Kiss me some more of love / Двигайся, танцуй со мной"라는 노래가 존재한다. 초이가 영어로 노래를 하는 몇 안 되는 라이브 공연. 다만 이 공연 외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3] Grand Theft Auto IV에 수록되었었지만, 현재는 저작권이 만료되어서 못 듣는다. [4] 초이는 두 달 후인 1990년 8월 15일 사망한다. [5] 다만 '이 들판에 남겨지지 않기를'이라는 대목을 '여기 싸늘한 이 땅에서 나의 피를 묻으리'란 가사로 번안하여 뜻이 정반대가 되어 논란이 있다. [6] 1.0.8.0 업데이트 이후 저작권 만료로 인해 노래가 잘렸다. 다만 GTA IV를 접한 거의 대다수의 유저는 해당 업데이트 이전 이 게임을 접했기에 이 노래를 대다수 알고 있다. 이 노래와 함께 레닌그라드의 "Никого не жалко", 글류코자의 "Schwein"은 블라디보스토크 FM, 더 나아가 GTA IV를 상징하는 트랙으로 지금도 남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