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5:53:13

평택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건설 중
}}}}}}}}} ||

평택선
平澤線 | Pyeongtaek Line
파일:평택선 계획노선도.gif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노선번호 30216[1]
노선명 경부선 평택선 (京釜線 平澤線)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영업거리 8.8㎞
궤간 1,435㎜
정거장수 3
기점 포승역
종점 평택역
급전방식 비전철[2][3]
신호장치 ATS, ATP
선로 수 1
개업일 2015년 2월 24일 평택 창내 (비전철)
2024년 10월 27일 안중 창내 (안중-평택 전철화 개통)
운영노선

1. 개요2. 지선3. 전철 운행 예정 (열차 종류 미정)4. 역사: 1994년 철도 계획5. 평택선의 역 목록
5.1. 평택삼각선5.2. 평택직결선
6. 관련 계획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평택선.jpg
경기도 평택시 창내신호장 평택역을 연결하는 경부선 지선철도이다. 총연장 8.8km[4]이며, 단선 비전철이지만 2023년 하반기부터 전철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015년 2월 24일에 평택 미군기지와의 연계를 위해 평택~창내 구간이 비전철 구간으로 먼저 개통되었다. 창내~안중 구간은 2024년 10월 27일에 안중역~ 평택역 구간 전철화와 함께 개통될 예정이다.

평택역 북측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쭉 진행되며, 안중역에서 서해선과 접속한 뒤 아산만으로 향한다. 경부선과 아산만의 평택·당진항을 연결하는 만큼 평택당진항과의 화물 수송 연계에 초점이 맞춰진 노선. 또한 노선 구간 인근에 주한미군 기지 USAG 험프리스가 위치해 있어 군사물자 수송 기능도 덤으로 맡고있으며, 창내역에서 선로가 분기되어 미군기지 내부로 향한다.

건설 당시 가칭은 '평택포승선', '평택~포승선'이었으며, 2015년 1월 16일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역명심의위원회를 열고 노선명을 '평택선'으로 확정지었다. #

전철화 공사도 진행되고 있다. 2023년 7월 11일 국가철도공단 홈페이지에서는 '포승~평택 철도건설 전철화 외 4개 사업 전차선 제조구매'라는 내용의 개찰결과가 올라와 있다. 이후 2023년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공사를 시작했으며 2024년 10월 27일에 안중역~ 평택역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2024년 5월에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평택선(안중역~평택역)의 영업시운전은 8월 20일~9월 2일(예정)이며 개통예정일은 10월 27일이다. 한편 서해선의 개통은 10월 28일로 예정되어 있다.
출처

2. 지선

지선으로는 경부선 평택지제역 방향으로 향하는 평택삼각선, 경부본선 상행선과 직결하는 평택직결선도 설치되었으며, 이 내용은 사항은 국토교통부 고시 링크를 통해 확정되었다.

3. 전철 운행 예정 (열차 종류 미정)

파일:1000028648.png
평택시의회 회의록에서는 무궁화호를 활용해서 평택선에 여객영업을 개시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해당 내용이 실현된다면 안중역의 저상홈 승강장에서 무궁화호를 탑승해서 평택역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파일:평택시장 평택선 전철 발언.png
정장선 평택시장이 2023년 7월 언론인과의 간담회에서 평택역에서 안중읍 안중역까지 평택선을 통해 전철이 다닌다고 밝혔다. 출처 영상.

평택선의 운행이 2024년 10월 27일부터 개시된다고 한다. 국가철도공단은 원래 포승~평택 구간을 비전철 단선으로 103역사( 안중역)와 연계해 오는 6월 개통할 계획이었지만, 국토부에서 전철화해서 같이 개통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했다. 결국, 포승~평택 구간 전철화 공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이 10월이어서, 불가피하게 서해선 복선전철 전 구간의 개통도 미뤄지게 된 것이다.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포승~평택 구간이 비전철화 상태여도 서해선 복선전철을 개통할 계획이었지만, 국토부에서 지침이 내려왔고, 103역사( 안중역)와 연계계획이 있으니까 불가피하게 복선전철 전 구간의 개통은 10월 말로 미루게 됐다. https://www.idj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02157

위 뉴스기사를 보면, 안중역과 연계계획이 있으니까 서해선의 개통 시기를 평택선의 개통 시기와 비슷하게 맞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서해선 KTX의 수도권 접근성 문제 때문에 안중역과 평택역을 잇는 평택선에 여객열차를 투입해서 서해선의 수도권 접근성 문제를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어떤 열차가 운행될지는 아직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만약 평택시가 적극적인 스탠스로 보조금을 투입한다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셔틀열차가 운행될 가능성이 있으며, 평택시의 보조금 투입이 없다면 ITX 마음 열차 투입이 가장 유력하다.

평택시장이 언급한 전철이 일상적인 의미에서의 광역전철 전동열차를 의미할 가능성이 높지만, 단순 립서비스 발언이라면 (보조금 투입 없이는 광역전철 투입이 불가능하므로) ITX 마음과 같은 일반열차가 투입될 것이다. 물론 똑같은 서부지역인 향남역까지 100% 보조금 투입으로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을 연장시킨 화성시의 사례를 참고해본다면, 평택시도 화성시처럼 보조금을 적극적으로 투입할 경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셔틀열차가 안중역에 진입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2024년 4월 8일에 평택선 시운전 계획(종합시험운행 사전점검 시행계획) 문서가 올라왔다. 모노레일 갤러리 전자정부

2024년 10월 27일에 안중역~ 평택역 구간이 전철화되어 개통될 예정이다.

4. 역사: 1994년 철도 계획

파일:1994년 안중 철도 계획.jpg
1994년 안중 철도 계획
아산만권에 4개 신도시(경향신문, 1994.9.7)
1990년대부터 안중에도 철도 계획은 있었다. 1994년 9월 7일 경향신문을 보면 포승~ 안중~ 평택을 잇는 27km의 노선(투자액 3240억원)과 수인선~ 안중~ 포승을 잇는 43km의 노선(투자액 5160억원)이 계획되어 있었다.

정차역의 구체적인 위치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두 노선은 모두 산업철도로 건설되며 1990년대에 現 안중읍 현화리&현덕면 화양리 일대에 80만평 규모의 안중공단이 건설될 계획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산업철도와 안중공단과의 연계를 위해서 안중공단이 건설될 예정이었던 안중읍 현화리•현덕면 화양리가 맞닿는 지역 일대에 안중역을 건설할 계획이 있었으리라고 추정된다. 평택군 4개 지방공단 조성, 매일경제신문, 1993년 10월 27일

이후 1997년 4월 12일 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1994년 4월 11일에 건설교통부는 수도권정비 실무위원회에서 제2차 수도권정비 계획안(1997년~2011년)을 심의•통과시켰다. 이 계획안 중에서는 아산권 산업철도(포승~안중~평택)은 새로 설치되지만, 안산~안중 간 철도는 서해안고속도로와 중복된다는 점에서 제외됐다고 나온다.

이후 1999년 8월 17일 연합뉴스에서는 (평택)시에 따르면 정부는 평택항과 포승국가산업단지 등 평택권역 배후수송망 구축을 위해 지난 1994년 12월 포승-평택 구간 27㎞, 수인선- 안중 구간 43㎞ 등 2개 노선의 산업철도 건설계획을 마련했다. 그러나 아산만권 광역개발계획을 수립한 해양수산부와 이를 확정 고시한 건설교통부, 철도청 등 관련 부처들이 투자계획과 재원 확보 방안 등을 둘러싸고 의견이 엇갈려 아직 공사에 착수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456275?sid=102

한편 1999년 12월 15일 연합뉴스 기사에서는 국가기간교통망 계획에 따른 간선철도망계획 中 후반기 계획기간(2010년~2019년)에 아산만산업철도(포승~평택) 27km이 포함되었다고 전했으며, 2004년 11월 29일 연합뉴스 기사에서는 2004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로 아산만 산업철도(포승-평택, 총사업비 3680억원)가 B/C값 1.10에 AHP 0.709로 통과되었음을 전했다.

한편 2009년 2월 15일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안중읍 금곡4리 주민들이 평택시에 "포승-평택 철도 건설 철회"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502692?sid=101

한편 2010년 3월 16일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경기도는 황해경제자유구역 광역교통개선대책이 국가교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고 밝혔다. 개선대책 중에서는 ''' 서해선 철도와 포승~평택 간 철도가 만나는 역사 주변에 환승시설 설치를 위한 부지 5600m²를 확보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172016?sid=102

결과적으로, 전자 노선(포승~안중~평택)은 평택선으로 완전히 계승되어서 2015년에 창내~ 평택 구간이 비전철로 개통되어 평택미군기지로의 화물운송 용도로 활용되다가 2024년 10월 27일에 안중역~ 평택역 구간이 전철화되어 개통될 예정이다. 한편 후자 노선(안산 수인선~안중~포승)은 중간에 무산되었으나, 향후 개통될 서해선 초지~ 향남~ 안중 구간이 사실상 그 기능을 대체할 예정이다.

5. 평택선의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 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 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

  • 2015년 2월 24일 기준[A]
역명 ARS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포 승 浦 升 경기도 평택시
안 중 安 仲 서해선
0.0 22.3 창 내 倉 內 H 미군기지선
5.5 27.8 신 대 新 垈 평택삼각선
평택직결선
8.0 30.3 평 택 平 澤 004 MsT 경부선
평택직결선
평택부발선
8.8 31.1 분기점[6]

5.1. 평택삼각선

  • 2015년 2월 24일 기준[A]
역명 ARS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신 대 新 垈 평택선
평택직결선
경기도 평택시
2.2 분기점[8] 경부선

5.2. 평택직결선

  • 2015년 2월 24일 기준[A]
역명 ARS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신 대 新 垈 평택선
평택삼각선
경기도 평택시
2.2 분기점[10] 경부선

6. 관련 계획

평택시에서는 평택부발선이 확정될 경우 이 노선도 같이 복선전철화할 구상을 가지고 있다. # 하지만 이 계획은 자체 예비타당성 조사[11]에서 B/C값이 1을 못 넘겨 추진 보류되었다. 한편 안중역에서 평택선을 통해서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포승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은 배차간격 40분으로 운행할 경우 B/C값이 1을 넘었다.

7. 관련 문서

  • 경부선
  • 평택고속연결선: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의 관계와 달리, 평택선과 평택고속연결선은 건설목적도, 시종점도 다른 별개의 노선이다.

[1] 평택삼각선 30217, 평택직결선 30218 [2] 2024년 10월 27일 전철화 개통 예정. [3] 평택삼각선, 평택직결선: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4] 현재 창내역~ 포승역 구간 공사중으로, 전 구간이 개통되면 총연장 30.3㎞로 늘어날 예정이다. [A]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87호 [6] 경부선 서울기점 75.837km [A]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87호 [8] 경부선 서울기점 71.881km, 평택지제역 방면 [A]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87호 [10] 경부선 서울기점 74.730km, 평택역 방면 [11]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조사와는 다른 절차로 행정적 구속력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