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8:13:43

안중역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안중역
대곡 방면
향 남
← 18.9 ㎞ [1][2]
홍성 방면
인 주
17.7 ㎞ → [3]
포승 방면
포 승
← 9.5 ㎞
평택선(미개통)
평택 방면
평 택
16.4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Anjung
한자 安仲
간체자
가나 [ruby(安仲, ruby=アンジュン)]
주소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송담리 산13-1
관리역 등급
평택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4]
운영 기관
서해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서해선 2024년 10월 28일 예정
평택선 2024년 10월 27일 예정
철도거리표
서해선
안 중

(미개통)
평택선
안 중

(미개통)
파일:안중역 고화질.jpg
안중역 조감도

1. 개요2. 공사 연혁3. 평택선 전철 운행 예정 (열차 미정)4.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연장 논의 (3000원대로 환승 없이 여의도 도달)5. 경부고속선 직결운행 예정(1만원으로 서울역 30분 도달)6. 역 정보7. 역사: 1994년 철도 계획8. 주변 환경9. 승강장(예정)10. 연계 교통11. 기타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송담리 산13-1에 건설 중인 서해선의 철도역. 2024년 10월 27일에는 평택선(안중역~평택역)이 개통되고 2024년 10월 28일에는 서해선(서화성남양역~안중역~홍성역)이 개통된다. 또한 수도권 최남단 역이자 수도권 최남단 환승역이다. 화물연계를 위해 포승산업단지까지 연장되는 평택선과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이 역과 경부고속선 양감면 구간 근처를 잇는 연결선도 반영됐다. 이 연결선이 지어지면 충청남도에서 올라온 서해선 KTX가 이 연결선을 통해 광명역, 용산역, 서울역, 행신역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서해선은 우선 향남역까지만 수도권 전철(교통카드 찍고 타는 지하철)이 운행하기 때문에 안중역은 KTX-이음을 이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안중 주민들은 수도권 규제를 고촌읍과 동일하게 받는데도 불구하고 교통카드 환승이 불가능하고 가격이 비싼 KTX-이음 열차만을 이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5] 이에 따라 2020년에 평택시에서 용역조사를 벌인 결과,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안중역을 거쳐서 평택항까지 연장 운영할 경우 B/C값이 1을 넘는다고 한다. 2024년 3월, 경기도 철도기본계획(2026~2035)에서 신안산선 안중역 연장이 본사업으로 추가되었다 #

최근 역명심의위원회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안중역과 평택안중역 둘 중에 한 가지 이름으로 하려고 검토중임이 확인되었다. #

2. 공사 연혁

2015년 5월에 서해선이 착공된 이후 별다른 공사 진척이 없었으나 2017년 5월부터 노반시설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18년에는 노반공사가 상당 부분 진척되고 금곡리와 송담리 주변에 교각이 설치되었다. 2019년에는 교각 설치가 상당 부분 완료되었고 상판이 본격적으로 설치되기 시작되었다.

2020년~2021년에는 상판 설치가 대부분 완료되고 역사(驛舍) 공사가 시작되었다. 2022년에는 역사 공사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했다.

2023년 4월 기준 안중역 공사가 거의 완료되었다. http://acelpg.tistory.com/82

2023년 9월 7일부터 서해선 홍성~화성 구간의 종합검측차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안중역에도 종합검측차가 돌아다녔다. 출처 출처

2024년 4월 2일에 향남역 부근에서 시운전 중인 KTX-이음의 사진이 부동산카페에 올라왔다. # 안중역에도 KTX 이음 시운전 차량이 지나갔다.

2024년 4월 8일에 평택선 시운전 계획(종합시험운행 사전점검 시행계획) 문서가 올라왔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477179 https://www.open.go.kr/mobile/othicInfo/infoList/infoListDetl2.do

2024년 4월 19일에는 안중~인주 구간에서 서해선 화물열차 시운전이 이뤄졌다. https://youtu.be/OFK62qdKatU

2024년 5월 19일에는 안중~인주 구간에서 서해선 KTX 산천 시운전이 이뤄졌다. https://youtu.be/Cokpvub_F7c

2024년 5월에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평택선(안중역~평택역)의 영업시운전은 8월 20일~9월 2일(예정)이며 개통예정일은 10월 27일이다. 한편 서해선의 개통은 10월 28일로 예정되어 있다.
출처

3. 평택선 전철 운행 예정 (열차 미정)

파일:평택선.jpg
평택선 평택역~ 안중역~ 포승역(평택항)을 이어주는 철도노선이다. 본래는 화물수송만을 위한 목적으로 2015년 2월 24일에 평택 미군기지와의 연계를 위해 평택~창내 구간이 비전철 구간으로 먼저 개통되었다.

현재는 전철화 공사도 진행되고 있다. 2023년 7월 11일 국가철도공단 홈페이지에서는 '포승~평택 철도건설 전철화 외 4개 사업 전차선 제조구매'라는 내용의 개찰결과가 올라와 있다. 이후 2023년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공사를 시작했으며 2024년 10월 27일에 안중역~평택역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파일:1000028648.png
비록 단선이지만, 화물뿐만 아니라 여객 수송도 할 예정이다(안중역~ 평택역 14분 소요). 2021년 평택시의회 회의록에서는 무궁화호를 활용해서 평택선에 여객영업을 개시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한 이보다 한참 예전인 2015년 2월 24일에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은 포승-평택 철도건설 제1공구 건설공사 완공식에서 "포승 및 안중지역 주민들의 교통문제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즉, 평택선은 건설 초창기부터 여객운행이 고려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https://www.kr.or.kr/krphoto/view.do?boardID=4&page=70&seqNo=2020-001166

파일:평택시장 평택선 전철 발언.png
정장선 평택시장이 2023년 7월 언론인과의 간담회에서 2024년부터 평택역에서 안중역까지 평택선을 통해 전철이 다닌다고 밝혔다. https://youtu.be/YaMQVKg9k1Q?t=1164 어떤 운행계통이 될지는 미지수이다. [6] [7]

평택선의 운행이 2024년 10월부터 개시된다고 한다. 국가철도공단은 원래 포승~평택 구간을 비전철 단선으로 103역사( 안중역)와 연계해 오는 6월 개통할 계획이었지만, 국토부에서 전철화해서 같이 개통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했다. 결국, 포승~평택 구간 전철화 공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이 10월이어서, 불가피하게 서해선 복선전철 전 구간의 개통도 미뤄지게 된 것이다.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포승~평택 구간이 비전철화 상태여도 서해선 복선전철을 개통할 계획이었지만, 국토부에서 지침이 내려왔고, 103역사( 안중역)와 연계계획이 있으니까 불가피하게 복선전철 전 구간의 개통은 10월 말로 미루게 됐다. https://www.idj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02157

위 뉴스기사를 보면, 안중역과 연계계획이 있으니까 서해선의 개통 시기를 평택선의 개통 시기와 비슷하게 맞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서해선 KTX의 수도권 접근성 문제 때문에 안중역과 평택역을 잇는 평택선에 여객열차를 투입해서 서해선의 수도권 접근성 문제를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어떤 열차가 운행될지는 아직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만약 평택시가 적극적인 스탠스로 보조금을 투입한다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셔틀열차가 운행될 가능성이 있으며, 평택시의 보조금 투입이 없다면 ITX 마음 열차 투입이 가장 유력하다.

2024년 4월 8일에 평택선 시운전 계획(종합시험운행 사전점검 시행계획) 문서가 올라왔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477179 https://www.open.go.kr/mobile/othicInfo/infoList/infoListDetl2.do

2024년 5월에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평택선(안중역~평택역)의 시설물 검증시험은 6월 18일~7월 8일(예정)이고, 영업시운전은 8월 20일~9월 2일(예정)이며, 개통예정일은 10월 27일이다. 한편 서해선의 개통은 10월 28일로 예정되어 있다. #

4.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연장 논의 (3000원대로 환승 없이 여의도 도달)

서해선은 우선 향남역까지만 수도권 전철(교통카드 찍고 타는 지하철)이 운행하기 때문에 안중역은 KTX를 이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안중 주민들은 고촌읍, 향남읍과 동일한 수도권 규제를 받는 법적 수도권 소속 주민임에도 불구하고 교통카드 환승할인이 불가능하고 가격이 비싼 KTX 열차만을 이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2020년 1월 14일에 정장선 평택시장이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안중역을 거쳐서 평택항(포승역)까지 연장해달라고 건의했으며 http://www.ptlnews.kr/news/view.php?no=9139, 2020년 6월 19일에 평택시에서 용역조사를 벌인 결과,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이 안중역을 거쳐서 평택항까지 연장 운영할 경우 B/C값이 1을 넘는다고 한다.
▲신안산선+서해선 평택 연장과 역사 추가 설치 사업 타당성 분석은 시흥시 시청역(서해선~신안선산 연결지점, 신안산선 종점)을 시작으로 서해선을 이용해 평택호관광단지까지 여객 열차 운행을 위한 대안이다.
평택시의 일일 수단 통행량은 2017년 약 93만 명에서 2030년에는 116만 명으로 통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외 유출입 통행량 역시 2017년 34만 8000명에서 2030년 38만 8000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시외 유출입 통행수단 중 전철 통행량은 2017년 3만 2920회에서 2030년 8만 5458회 통행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신안산선 평택항 연장사업의 일일 이용 수요는 운행간격 60분 대안의 경우 2028년 2만 1063명, 운행간격 40분 대안의 경우 2028년 2만 5888명으로 예측됐다.
신안산선 평택항 연장사업은 기존 계획 운행간격 60분의 경우 B/C 0.86으로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하지만, 운행간격 40분으로 단축할 경우 B/C 1.02로 타당성을 확보했다.
평택시 철도교통망, GTX-C(양주 덕정역~수원역~평택 지제역) 노선 사업타당성 ‘OK’
안중읍을 비롯한 평택 서부지역보다도 인구가 적은 연천군에도 수도권 전철역이 3개나 있다는 점, 타당성조사를 진행한 2020년과 달리, 2025년부터는 현덕면 및 안중읍 화양지구에 인구 5만명이 새로 입주해서 안중읍 생활권(포승읍, 청북읍, 현덕면)의 인구는 15만명(2024년 현재는 10만명)으로 증가해서 신안산선 향남 연장이 확정된 2022년 기준 향남읍 생활권(우정읍, 장안면, 팔탄면, 양감면)의 인구(총 13만명)을 추월한다는 점, 서평택 주민들이 사용하는 38번 국도의 극심한 교통혼잡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연장은 수도권 내에서의 지역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해 다시 한 번 더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참고로 신안산선 향남역 연장은 사전타당성조사에서 B/C 1.02를 기록했는데, 신안산선 안중역+ 포승역 연장 역시 사전타당성조사에서 B/C 1.02를 기록했다.

2024년 3월, 경기도 철도기본계획(2026~2035)에서 신안산선 안중역 연장이 본사업으로 추가되었다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의 구체적인 운행시각표는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향남역에서 여의도역까지의 소요시간이 50분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중역에 신안산선이 연장된다면 안중역에서 여의도역까지는 환승 없이 60분 이내로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안산선의 운임체계도 아직 공개되지는 않았으나, 공용구간은 일반운임으로 산정하고 전용구간(광명역 - 여의도역 구간)만을 신분당선 수준으로 운임을 징수한다고 가정하면 안중역에서 여의도역까지는 3000원대로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5. 경부고속선 직결운행 예정(1만원으로 서울역 30분 도달)

또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사업이 실제로 진행된다면 안중역에서 KTX를 타고 영등포역, 용산역, 서울역에 곧바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경부고속선 연결 사업은 아직 100% 확정은 아니기 때문에[8], 당분간은 KTX-이음을 타고 김포공항역을 통해서만 서울에 접근할 수 있다.

만약 경부고속선 직결운행이 확정될 경우, 안중역에서 서울역까지는 환승 없이 1만원으로 30분만에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4월 22일에 발표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서해선~ 경부고속선" 직결이 포함되면서, 안중역에서 서울역까지 KTX로 30분만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
정장선 평택시장: 오늘 제가 2번째 여러분을 뵙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평택의 숙원사업 중 하나였었습니다만, 이번에 잘 돼서 기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평택 서부지역은 가장 큰 주민들의 애로사항 중 하나가 서부지역에서 바로 서울까지 갈 수가 없었다는 겁니다. 서울을 가려면 평택까지 나와서 서울을 가야 되는 불편함 때문에 서울로 바로 가는 교통편을 만들어달라는 것이 서부지역 주민들의 아주 큰 오랜 동안 숙원사업이었습니다. 저희들이 광역버스 같은 경우도 바로 서울로 연결하는 작업을 해보려고 많이 노력했었습니다만, 여러 제도상 어려움 때문에 아직까지 실현을 못 하고 있었습니다만, 먼저 희소식으로 홍성에서 송산까지 가는 고속전철 노선에 정부가 큰 용기를, 또 결단을 내려주신 사안입니다. 그 KTX를 홍성에서 띄워서 청북에서 화성 양감으로 연결을 해서 서울역까지 가는 것이 국가 공청회에서 사실 확정이 됨으로써 안중에서 서울까지 30분에 갈 수 있는 획기적인 길이 열렸습니다. 정말 기쁘게 생각하고, 저희 평택시와 경기도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정부에다 건의를 했었는데 이번에 잘 반영돼서 너무 기쁘게 생각합니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우리 관계 국장님이 설명을 드릴 겁니다. 다시 한 번 기쁜 마음으로 이렇게 인사를 드렸습니다.


2021년 6월 29일에 발표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최종 반영안에 " 서해선- 경부고속선 KTX 직결"이 포함되면서, 안중역에서 서울역까지 KTX로 30분만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안녕하십니까. 평택시장 정장선입니다. 어제 국토부에서 최종 발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사업과 평택부발선이 최종 반영되어 55만 평택시민과 함께 환영의 말씀을 드리려고 이 자리에 섰습니다. 먼저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 사업은 서해선(홍성에서 송산까지) 복선전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는 사업으로 현재 건설 중인 서해선 평택 안중역을 지나가는 노선입니다. 해당 사업 추진 시 평택시 서부지역에서 KTX 고속열차를 통해 서울까지 직결로 환승 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평택 안중에서 서울까지 약 1시간 40분 이상 소요되던 것이 해당 사업이 완료되면 약 30분대에 주파할 수 있게 되어 서울 및 전국 주요 거점과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저희들이 판단하고 있습니다.


평택시의 안중역~서울역 KTX 30분 주파 홍보영상

파일:힐스테이트송담 시세.gif
참고로 2021년 4월에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사업이 발표되자마자 안중역에서 1km 떨어진 송담 힐스테이트 아파트의 실거래가는 1주일만에 3억원에서 5억원으로 급상승했으며, 1년 뒤인 2022년 5월에는 6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6. 역 정보

수도권 최남단 역이자, 수도권 최남단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7. 역사: 1994년 철도 계획

파일:1994년 안중 철도 계획.jpg
1994년 안중 철도 계획
아산만권에 4개 신도시(경향신문, 1994.9.7)
1990년대부터 안중에도 철도 계획은 있었다. 1994년 9월 7일 경향신문을 보면 포승~ 안중~ 평택을 잇는 27km의 노선(투자액 3240억원)과 수인선~ 안중~ 포승을 잇는 43km의 노선(투자액 5160억원)이 계획되어 있었다.

정차역의 구체적인 위치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두 노선은 모두 산업철도로 건설되며 1990년대에 現 안중읍 현화리&현덕면 화양리 일대에 80만평 규모의 안중공단이 건설될 계획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산업철도와 안중공단과의 연계를 위해서 안중공단이 건설될 예정이었던 안중읍 현화리•현덕면 화양리가 맞닿는 지역 일대에 안중역을 건설할 계획이 있었으리라고 추정된다. 평택군 4개 지방공단 조성, 매일경제신문, 1993년 10월 27일

이후 1997년 4월 12일 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1994년 4월 11일에 건설교통부는 수도권정비 실무위원회에서 제2차 수도권정비 계획안(1997년~2011년)을 심의•통과시켰다. 이 계획안 중에서는 아산권 산업철도(포승~안중~평택)은 새로 설치되지만, 안산~안중 간 철도는 서해안고속도로와 중복된다는 점에서 제외됐다고 나온다.

이후 1999년 8월 17일 연합뉴스에서는 (평택)시에 따르면 정부는 평택항과 포승국가산업단지 등 평택권역 배후수송망 구축을 위해 지난 1994년 12월 포승-평택 구간 27㎞, 수인선- 안중 구간 43㎞ 등 2개 노선의 산업철도 건설계획을 마련했다. 그러나 아산만권 광역개발계획을 수립한 해양수산부와 이를 확정 고시한 건설교통부, 철도청 등 관련 부처들이 투자계획과 재원 확보 방안 등을 둘러싸고 의견이 엇갈려 아직 공사에 착수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456275?sid=102

한편 1999년 12월 15일 연합뉴스 기사에서는 국가기간교통망 계획에 따른 간선철도망계획 中 후반기 계획기간(2010년~2019년)에 아산만산업철도(포승~평택) 27km이 포함되었다고 전했으며, 2004년 11월 29일 연합뉴스 기사에서는 2004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로 아산만 산업철도(포승-평택, 총사업비 3680억원)가 B/C값 1.10에 AHP 0.709로 통과되었음을 전했다.

한편 2009년 2월 15일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안중읍 금곡4리 주민들이 평택시에 "포승-평택 철도 건설 철회"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502692?sid=101

한편 2010년 3월 16일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경기도는 황해경제자유구역 광역교통개선대책이 국가교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고 밝혔다. 개선대책 중에서는 ''' 서해선 철도와 포승~평택 간 철도가 만나는 역사 주변에 환승시설 설치를 위한 부지 5600m²를 확보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172016?sid=102

결과적으로, 전자 노선(포승~안중~평택)은 평택선으로 완전히 계승되어서 2015년에 창내~ 평택 구간이 비전철로 개통되어 평택미군기지로의 화물운송 용도로 활용되다가 2024년 10월 27일에 안중역~ 평택역 구간이 전철화되어 개통될 예정이다. 한편 후자 노선(안산 수인선~안중~포승)은 중간에 무산되었으나, 향후 개통될 서해선 초지~ 향남~ 안중 구간이 사실상 그 기능을 대체할 예정이다.

8. 주변 환경


근처에 안중읍 송담지구, 신창아파트, 농어촌공사가 있다. 역 바로 옆은 이렇다 할 것이 없고 안중 읍내와는 멀리 동떨어져 있다. 안중역세권 개발계획이 잡혀있고, 2025년부터 여의도 면적의 3분의 2 규모로 도시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바로 앞에 있는 도로는 현덕로이며, 마안산이나 평택국제대교를 건너 안정리, 평택시내로 갈수 있다.

9. 승강장(예정)

향남· 창내
- -
인주· 포승
서해선 파일:KTX BI.svg 서화성남양· 초지· 김포공항· 대곡 방면
인주· 합덕· 홍성 방면
- 평택선
-

현재 1번, 2번 플랫폼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번 평택선 플랫폼은 저상홈으로 건설되어 있다.

10. 연계 교통

2020년에 발표한 평택 시내버스 개편에 따르면 2024년부터 안중구터미널을 출발해 현덕면 광덕으로 가는 84번 시리즈가 통합 배차간격 10~30분으로 다닐 예정이다.

그에 반면해 안중역 자체가 안중 시내[9]에서 상당히 외진 곳에 있어서 버스나 자차를 제외한 접근성은 불편하다. 안중버스터미널까지는 걸어서 40분이나 걸린다.[10]

11. 기타

안중역이 생김으로서 그동안 서울 등지로 향하는 교통편이 상당히 미비했던 평택시 서부지역의 주민들의 불편함이 상당수 해소될 것이다.[11] 실제로 서울행 시내버스와 광역전철역 둘 다 없는 수도권의 읍면동 중에서 인구 2만명을 넘는 읍면동을 보유한 지자체는 경기도에서 평택시밖에 없으며, 이마저도 무려 4개(안중 청북 포승 팽성)나 존재한다. 이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바로 안중역이 있는 안중읍이다.

서해선 전체 개통이 2024년 6월에서 2024년 10월로 4개월 연기되었는데 이 원인은 안중역과 평택역 사이의 철도 노선인 평택선의 전철화 공사 및 동시 개통을 국토교통부에서 지시했기 때문이다.


2021년에 안중역 인근 토지 투기 의혹 뉴스가 보도되었다. 한 필지를 94명이 나눠서 소유했다고 한다.

12. 둘러보기

서해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평택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고속
철도
파일:SRT BI.svg 평택지제역
일반
철도
경부선 평택역, 서정리역
서해선 안중역
도시
철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평택역, 평택지제역, 서정리역, 송탄역, 진위역
도로 고속
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 경부선,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해안선, 파일:Expressway_kor_40.svg 평택제천선, 파일:Expressway_kor_17.svg 평택파주선 · 익산평택선, 파일:Expressway_kor_153.svg 평택시흥선
국도 1번 국도, 38번 국도, 39번 국도, 43번 국도, 45번 국도, 77번 국도, 82번 국도
버스
터미널
고속
버스
평택고속버스터미널
시외
버스
평택공용버스터미널, 송탄시외버스터미널, 안중버스터미널
버스 시내
버스
버스 목록
바로가기
항만 평택·당진항
}}}}}}}}} ||
경기도의 교통


[1] 서해선- 경부고속선 연결선이 완공 되면 행신 방면도 생길 예정. [2] 경기도 철도기본계획 본사업으로 반영된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연장이 이뤄지면 여의도 방면도 생길 예정 [3] 장항선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후 직결하여 익산까지 연장 예정. [4] 역 위치상 수도권서부본부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5] 기본 요금이 8,400원이다. [6]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광운대발 안중행은 불가능하다. 안중에서 서울방향으로는 평택삼각선을 이용하면 되지만, 서울에서 안중방향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선로가 없다. 평택삼각선이 서울방면 상행선에만 연결되어 있고 천안방면 하행선으로는 분기기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평택역에서 진행방향을 바꿔서 운행하거나 새로 분기기를 설치해야 한다. 혹은 현재 일부 운행중인 신창~천안 셔틀을 안중까지 연장하는 방법도 있긴 하다. [7] 만약 안중역으로 1호선이 연장된다면 병점-서동탄 분기처럼 평택지제역에서 안중역으로 분기가 되는 형태이다. 물론, 아직 확정 계획이 나오지 않았으므로 확신할 수는 없다. [8]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다고 해서 100% 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아니다.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됐는데도 아직까지 추진되지 않았거나 아예 무산된 사업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앞으로 예비타당성 조사 등 거쳐야 할 단계와 시간이 많기 때문에 안중역 및 신안산선의 시화호 교각 구간이 개통된다고 하더라도 당분간은 김포공항역을 통해서만 서울 진입이 가능하다 [9] 현화리,송담리 등 [10] 직선거리상으로는 20분 [11] 특히 제2함대 장병들이 휴가때 많이 이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