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1:04:52

신호소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 정거장 등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관리역1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을종위탁발매소2 무배치간이역 ( 업무위탁역 KN) 임시승강장
조차장 신호장 신호소
1. 최고등급, 구 그룹대표역
}}}}}}}}} ||

파일:북송정신호소.jpg
북송정신호소.

| Signal Box

신호소는 상치신호기 등 열차제어시스템을 조작·취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이다. 정거장 등급표에 들어가있으나 정거장이 아니다. 신호소는 오로지 신호조작 및 운전취급만이 목적이므로 여객의 승하차, 화물의 적하, 열차의 교행 등을 위해서 만든 정거장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강장, 화물 적하시설 등 정거장의 구성 요소는 찾아볼 수 없다. 물론 이 상태에서 역으로 승격을 하면 시설을 추가해서 운전취급과 함께 여객 및 화물취급을 하는 사례도 있다. 구로역이 대표적인 사례.

주로 본선상에서의 분기점에 위치하고 있다. 국내에는 8개소가 존재한다.
신호소는 아니지만 고속선의 경우 도중에 연동기계실(IEC)과 중간기계실(InEC)이 설치되어 있다. IEC 레벨에서는 건넘선이 있기 때문에 유사시 반대선 운전 취급이 가능하다.
  • 화성IEC: 화성시 향남읍 동오리 318-3, 화성보수기지가 있음
  • 고덕IEC: 평택시 고덕면 해창리 338-6
  • 남산IEC: 평택시 팽성읍 남산리 산32-46
  • 신탄진IEC: 대전시 대덕구 상서동 산64-16
  • 영동IEC: 영동군 심천면 각계리 698-1
  • 김천IEC: 김천시 봉산면 신리 307-1
  • 칠곡IEC: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 295-9
  • 고모IEC: 대구시 수성구 가천동 237-1
  • 노포IEC: 부산시 금정구 두구동 산5-21

한편, 일본의 신호소는 신호장과 완전히 같은 의미이다. 사철 위주인 일본의 철도 환경 상 회사에 따라 명칭이 다르기 때문이다.


[1] 북영주삼각선 폐지로 사실상 폐역이나, 서류상으로는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