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0:39:28

The mad scientist


[[왁타버스 고정 멤버|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 파일:Gomem.png ||<color=#fff>WAKTAVERSE
고정
||
]]
[ 멤버 목록 ]
[ 노래 목록 ]
||<-5><bgcolor=#0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tablewidth=100%>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노래 템플릿 | 고멤 가요제 | 작곡캠프

2024.04.21.
The mad scientist
2024.04.30.

2024.05.18.
<colbgcolor=#000><colcolor=#000>
The mad scientist
파일:The mad scientist.jpg
유튜브 공개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4월 30일
총괄
도파민 박사
보컬
감독
도파민 박사, 시추노
작곡
트루지
작사
타이머티코
믹싱&마스터링
트루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CCE84, #FF7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애니메이션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fff><colcolor=#000>
일러스트
<colcolor=#000,#fff>타이머티코
컨셉 아트
타이머티코, 뽀ja
컨셉 디자인
타이머티코
2D 애니메이션
비촌
캐릭터 모델링
Goose
캐릭터 편집
우헿헿, ipro
캐릭터 페이셜
김치만두번영택사스가
캐릭터 리깅
장면 디자인
김리리, 꿀죽창, GoNak
모델링
김리리, 꿀죽창, GoNak, Katsuragi_8 , 권민
모션 배우
도파민 박사
모션 감독
시추노
모션 오퍼레이터
석키너
모션 클린업
ipro
시네머신
블라썬, 시추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CCE84, #FF7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fff><colcolor=#000>
스토리보드
<colcolor=#000,#fff>타이머티코
촬영 감독
시추노
로고 디자인
타이머티코
인트로 디자인
수퍼샤이
크레딧 디자인
타이머티코
편집
편집튀김
서브 타이틀
감람스톤
자막
}}}}}}}}}}}}

1. 개요2. 뮤직비디오
2.1. 조회수 추이
3. 가사4. 관련영상5. 여담

[clearfix]

1. 개요

아프리카TV BJ 우왁굳 고정멤버 도파민 박사의 오리지널 곡이다.

2. 뮤직비디오

The mad scientist
Music Video
업로드 일자 2024년 4월 30일

2.1. 조회수 추이

《The mad scientist》 YouTube 조회수 추이
조회 수 날짜 간격
100만 뷰 20xx년 x월 xx일(xx일차) xx일

3. 가사

The mad scientist
Lyrics
도파민 박사
모두가 잠든 이 밤

4. 관련영상

The mad scientist
Instrumental
업로드 일자 2024년 5월 1일
The mad scientist
Reaction
업로드 일자 2024년 5월 12일

5. 여담

  • 뮤비의 주인공은 매드 사이언티스트이자 흑화[1]한 멀티버스의 도파민 박사이다.
  • 해당 평행세계의 최초 발견자는 오리지널 도파민 박사 소피아로, 차원 이동을 하려다 사고가 일어나 해당 세계에 불시착했다. 오리지널 도파민과 소피아의 시점은 캘리칼리가 도파민 박사 연구소 모집글을 보고 해당 연구실[2]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시점이며. 이는 본 뮤비 2절에 그 상황이 그대로 나온다. 이 시점에서 오리지널 도파민과 소피아는 불길함을 느끼고 도망쳤다. 해당 시점은 고정멤버 놀이터에 업로드 되어있다. #[3]
  • 도파민 박사가 순수한 연구자이던 시기는 2D 애니메이션으로, 매드 사이언티스트가 된 이후 시점은 3D 그래픽으로 구현됐다.
  • 뮤비 중간에 고정맴버들이 등장하는데, 아마 대부분 매드 도파민에 의해 희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봇의 생산량을 보건데. 고정맴버 외에도 왁타버스 내의 일반 시민들도 희생되었을것으로 추정되며. 이세돌이나 우왁굳은 어떻게 되었을진 불명이다. 그리고 도파민이 캘칼을 이겼냐는 드립도 생겼다.
  • 이 곡 이후, 도황 씹 간지네 같은 '도황 ~ 네' 같은 드립이 더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 공개 이전 한 달간 업로드된 고정 멤버들의 오리지널 곡들[4]이 연이어 히트를 치고 있는 기간인데, 이 곡 역시도 M/V 연출과 음악 및 도파민 박사의 보컬이 적절하게 어우러져 상당히 좋은 반응을 받아 또다른 기대주로 각광받았다. 또 다시 잊혀지는 Wander


[1] 사실 흑화라기 보다는 광기에 더 가깝다. 제목부터 매드(Mad) 사이언티스트 도파민 이기 때문. [2] 저택 [3] 업로드 이후 본래 티저로 낼 계획이었다고 밝혔다. # [4] 프리터 댄스, 더 월드, 우주미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