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 Tank, M24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모형 |
1. 개요
M24 채피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M24 채피 경전차는 제1세계 소속의 국가들과 제3세계 국가들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
|
포트 칼슨 제4사단 박물관 소장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
2.1.2. 캐나다
|
보든 기지 군사 박물관 소장 캐나다 육군 소속 M24 채피 |
|
온타리오 기갑 박물관 소장 M24 채피 "바비" 기동 영상 |
2.2. 남아메리카
2.2.1. 우루과이
|
훈련 중의 우루과이 육군 소속 M24UR |
2.2.2. 칠레
|
안토파가스타에서 훈련 중인 칠레 육군 소속 M24 채피[1] |
칠레는 수령받은 채피의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마운트를 포탑 전면으로 배치하고, 원래 존재하던 마운트의 위치에는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을 장착할 수 있도록 개조했다.
칠레의 채피는 안토파가스타에 위치한 칠레 육군 제2기갑분견대에 배치되어 1975년까지 주로 훈련용 차량으로 사용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고장이 극심해졌으며 부실한 유지 보수 문제로 인한 스테빌라이저의 고장과, 엔진의 성능 저하가 심했고, 특히 이들 중 5대의 채피들은 방치되어 녹이 슬었고, 나머지 6대는 분견대 입구에 그냥 방치되어 있었을 정도로 문제가 심각했다.
1975년, 제2기갑분견대는 산티아고에 있는 산타 로사로 옮겨졌으며 이 당시 창고에 방치된 개체들을 전부 포함하여 모든 채피가 산타 로사로 열차로 옮겨졌다. 산타 로사로 옮겨진 채피들은 정비창에서의 정밀 점검 후 엔진, 스테빌라이저 및 주포 모두 신품급으로 완벽히 복원되었으며, 21대 모두 훈련용 탱크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판정을 받게 된 채피들은 산타 로사와 펠데후에에 있는 사관학교에 주둔했으며, 훈련 과정에 참여하였다.
3. 유럽
3.1. 동유럽
3.1.1. 소련
|
애국 공원 소장 M24 채피 네임드 차량 "크루저"[2] |
|
애국 공원 소장 M19 더스터 "40190207호차" |
소련의 채피들 출처는 다음과 같은데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슬슬 유럽전선의 향방도 정해졌을 즈음, 소련군은 그 동안 운용하던 중장갑 경전차인 밸런타인 전차와 스튜어트 전차 등의 화력 저하를 실감하여 이를 대체할 물건을 찾았는데, 마침 시기 좋게 미국에서 신형 중장갑 경전차가 개발되었다는 소식에 바로 미국에 연락을 취하게 된다.
|
쿠빙카 NIIBT 시험장의 M24 채피[3] |
테스트를 끝마친 차량들은 피스마와 쿠빙카로 넘겨져 현재까지 전시되고 있으며, M19 더스터의 경우도 채피와 마찬가지로 시험용으로 보내진 차량으로 추산된다.[5]
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남 인민군이 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한 M24 채피들을 소련이 인수하기도 했다.
3.2. 서유럽
3.2.1. 영국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채피 "T330553호차" 네임드 차량 "트리거 해피" |
|
영국 육군 제5보병사단 정찰연대 산하 C중대 소속 채피 "T330512번차"[6] |
|
영국 육군 채피 "애니" 기동 영상 |
그렇지만 M24를 공여받은 영국군은 M24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는데, M24의 별명 "채피"가 바로 영국군이 붙여준 별칭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냉전 시기까지 현역으로 배치되어 있다가 현재는 퇴역하였다.
3.2.2. 프랑스
|
소뮤아 전차 박물관 소장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 소속 M24 채피 네임드 차량 "메츠" |
|
프랑스 육군 소속 M24 채피 "됭케르크" 주행 영상 |
3.2.3. 네덜란드
|
네덜란드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 "33314호차" |
3.2.4. 벨기에
|
바스토뉴 박물관 소장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
3.3. 중부유럽
3.3.1.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군사 박물관 소장 오스트리아 육군 소속 M24 채피 "235번차" |
3.4. 남유럽
3.4.1. 포르투갈
|
포르투갈 육군 소속 M24 채피 "809번차" |
3.4.2. 스페인
|
스페인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7] |
|
엘 골로소 군사 박물관 소장 스페인 왕립 육군 소속 M37 자주곡사포 |
스페인군은 "Carros de combate M-24 Chaffee"라는 명칭으로 운용했으며, M37의 경우 "Obús autopropulsado M-37"라는 명칭으로 운용했다.
이후 이프니 전쟁 당시에도 공여받은 채피와 M37을 동원하는 등 1970년대까지 1선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스페인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 훈련 영상 |
3.4.3. 그리스
|
그리스 전쟁 박물관 소장 그리스 육군 소속 M24 채피 |
3.4.4. 이탈리아
|
이탈리아 육군 소속 M24 채피 |
3.5. 북유럽
3.5.1. 노르웨이
|
노르웨이 육군 예비군 소속 M24 채피[8] |
채피와 NM-116 대전차자주포 모두 1993년까지 노르웨이 육군 내에서 현역으로 사용되었다가 현재는 전량 퇴역했다.
3.5.2. 덴마크
|
네스트베드 왕립 후사르 역사 컬렉션 소장 덴마크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 |
4. 아시아
T-34-85와 더불어, 수많은 수량이 아시아권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중 몇몇 국가는 현역으로 사용 중이다.4.1. 동아시아
4.1.1. 중화민국
|
청궁링 역사 박물관 소장 중화민국 육군 소속 M24A1 |
4.1.2. 대한민국
|
사천항공우주박물관 소장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
4.1.3. 중국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지원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30120995호차" |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지원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19 더스터 |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지원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41 고릴라 |
중공군은 채피를 노획 한 뒤 " T-34-85보다는 빠르지만, 장갑과 무장이 빈약하다"라고 평가했다.
이 노획 채피 중 한 량이 현재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에 소장, 전시 중이다.
이 밖에도 M41 고릴라 2문을 노획하여[9] 마량산 전투 당시 사용했다고 하며, 이 중 한 문이 채피와 동일하게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에 소장 및 전시되고 있다.
4.1.4. 북한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조선인민육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3012132호차" |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조선인민육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19 더스터 "40190180호차" |
이 밖에도 피해없이 노획한 M19 더스터 1대도 이곳에 전시중이다.
4.1.5. 일본
|
육상자위대 무기 전시회 소장 일본 육상자위대 소속 M24 특차 |
일본에 채피가 공여된 이유는 이렇다.
일단 일본의 지질 특성상 및 철도 건축한계상 중량이 무거운 전차를 운용하기에 무리가 크며, 또한 채피는 전차 훈련용은 물론 보병 지원용으로 매우 적합하다 판정이 되어서 공여를 결정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한국전쟁 당시의 채피가 가진 문제점과, 포의 저화력 등의 문제점으로, 주력으로 사용한 셔먼과 달리 채피는 2선급 전력으로 머물다가 이후 1974년 M41 워커 불독이 공여되며 퇴역하였다.
일본 경찰예비대에서는 M24 채피를"M24 특차(特車)"로 불렀는데, 그 까닭은 일본 헌법 제9조를 준수하기 위해서 전차 대신에 특별차량이라는 뜻으로 붙인 것이라고 한다. 이 특차라는 명칭은 비단 M24 뿐만 아니라, M4A3E8과 M41에도 적용되었다.
4.2. 동남아시아
4.2.1. 베트남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을 분할하여 설명한다.4.2.1.1. 북베트남
|
디엔비엔푸 기념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M24 채피[11] |
|
훈련 도중의 베트남 인민군 소속 M24 채피 |
4.2.1.2. 남베트남
|
사이공 열병식 참가 베트남 공화국 육군 소속 M24 채피 |
4.2.2. 캄보디아 왕국
|
프놈펜 열병식 참가 캄보디아 왕국군 M24 채피[12] |
4.2.3. 태국
|
퍼레이드 참가 태국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13] |
|
태국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 기동 시연 영상 |
4.2.4. 필리핀
|
팡가시난 주 링가옌 야외 전시관 소장 필리핀 육군 소속 M24 채피 |
4.3. 서아시아
4.3.1. 튀르키예
|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튀르키예 육군 소속 M24 채피 |
4.3.2. 이라크
|
티그리트 군사 기지 소장 이라크 육군 소속 M24 채피 |
이후에는 치장물자로 존재하다 소수의 차량들이 이라크 전쟁 당시 미군에게 발견되어 미국으로 돌아가 복원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4.3.3. 이란
|
이라크 혁명수비대 노획 이란 이슬람 공화국 육군 소속 M24 채피[14] |
이란 소속의 채피와 셔먼은 이미 1973년에 예비물자로 전환되었지만 1980년 이라크가 이란을 침공하자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은 예비물자로 있던 셔먼과 채피를 다시 창고에서 꺼내 151방어대대 소속으로 참전시켰다.
그러나 이렇다할 활약은 하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이라크군에게 노획되거나 혹은 격파되었다고 한다.
4.4. 남아시아
4.4.1. 파키스탄
|
기병기갑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노획 파키스탄 육군 소속 M24 채피 "T330571호차" |
4.4.2.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M24 채피 |
|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M19 더스터 |
5. 오세아니아
5.1. 오스트랄라시아
5.1.1. 호주
|
호주 군사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소속 M24 채피 |
|
호주 육군의 M24 채피 테스트 영상 |
[1]
1975년에 촬영된 사진이다.
[2]
프랑스군이 인도차이나에서 사용했던 차량이다.
[3]
1945년 4월에 촬영된 사진이다.
[4]
카탈로그에는 엔진 하나당 110마력을 낸다고 적혀있었는데, 이는 엔진 전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엔진 한 기의 출력을 말하는데다 심지어 이 출력도 원래는 148마력인데 이것에서 더 축소된 것이라 소련이 채피를 저평가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5]
한국전쟁 참전 더스터들의 사진을 보면, 사이드스커트가 제거된 개체들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쿠빙카에 전시된 더스터의 경우 극초기형의 특징인 사이드스커트를 장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6]
1946년 독일에서 촬영되었다.
[7]
1960년대 훈련 시연 영상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8]
1977년 훈련 중 촬영된 사진이다. 또한, 이 사진의 채피는 NM-116 및 구난차량으로 개조되지 않았던 마지막 4대의 채피 중 하나이다.
[9]
이 M41 고릴라들의 출처는
임진강 전투 와중으로 추정된다. UN군의 기갑차량 손실 기록에 이 2문이 기술되어 있기 때문.
[10]
한국전쟁 당시 포탑 측면에 피격당해 격파된 차량인데, 주포와 보기륜, 가동륜, 큐폴라, 궤도, 사이드스커트가 유실된 상태이다. 복원할 수 있다면 충분히 할 수 있겠지만 미국을 철천지 원수로 여기는 북한 특성상 일부러 이렇게 격파한 차량을 전시한다는 듯.
[11]
이 차량은 상술한 네임드 차량인 "바젤"의 잔해일 확률이 높다고 한다.
[12]
1963년 촬영된 사진이다.
[13]
하단의 퍼레이드 영상에서 발췌하였다.
[14]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노획되었다가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티그리트 군기지에서 미군에 의해 발견된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