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2:30:07

Arena Breakout/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rena Breakout
파일:아브아-로고.png
총기 탄약 방어구 식량 의료용품 전술 아이템 접선책 보스 이벤트
시즌 무기 부품 랭크 열쇠 중섭


1. 개요2. 상세3. 목록
3.1. 농장 (Farmland)3.2. 협곡 (Valley)3.3. 노스리지 (Northridge)
3.3.1. (구) 노스리지 (Northridge)
3.4. 무기고 (Armory)3.5. 항구 (Port) 3.6. 방송국 (TVstation)

1. 개요

아레나 브레이크아웃의 맵 정보.

2. 상세

현재[1] 글로벌 서버 기준 농지, 협곡, 노스리지, 무기고, 항구, TV 방송국으로 총 6가지의 맵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맵은 일반봉쇄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봉쇄는 최소 무장 가치와 입장료가 있는 대신 고가치 아이템들의 습득 확률이 비교적으로 더 높다.[2]
TV 방송국과 무기고는 봉쇄금지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최소 무장 가치와 입장료가 있다. 금지구역의 경우 봉쇄 구역보다 더 높은 최소 무장 가치와 입장료가 있는 대신 고가치 아이템의 습득 확률이 봉쇄보다 비교적 더 높다.

각 지역에는 각 지역에 해당하는 보스가 확률적으로 스폰된다.
더 알아보기

3. 목록

3.1. 농장 (Farmland)

파일:maps-farm.jpg

플레이어가 튜토리얼을 진행하며 가장 처음 들어가게 될 맵으로, 원작의 커스텀과 유사하다. 특유의 일자형 맵 구조와 위 아래로 하나씩 존재하는 병목구간, 보스 스폰지와 고가치 아이템 등 수상할 정도로 커스텀의 냄새가 나는 편. 스폰 지역이 각각 서쪽과 동쪽 두 곳으로 제한되다 보니 필연적으로 중앙 지역에서 서로 마주쳐 전투가 일어나게 되는 구조이다.

유저 스폰 포인트가 가까워[3] 초반 교전이 활발하며, 대략 33분~25분이 남는 시간대에 유캐브들이 입장하기 시작한다.
처음으로 봉쇄 구역[4] 이 해제되는 맵이다.

위험구역은 마구간, 모텔 2곳이며, 보스는 에이잭스 존스가 스폰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ena Breakout/보스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무료금고 위치는 마굿간 중앙건물 2층, 모텔 앞 도로에 전복된 트럭 짐칸이다.

처음으로 열리는 맵임에도 시즌 후반에는 5, 6클래스 방어구와 고성능 무장을 갖춘 고인물들이 심심찮게 보인다. 일반 농지는 시즌 초반이나 후반이나 종결급 모딩을 가져오는 변태들이 간간이 보이니 조심하도록 하자.

3.2. 협곡 (Valley)

파일:아브아 협곡 지도.png
원작 맵 우드와 비슷하다. 맵의 대부분이 산과 나무, 풀들로 뒤덮여 있어 색적이 비교적 어려운 편. 해변 리조트에는 정예 반군[5]이 있고, 고가치 아이템과 금고가 많다.
맵이 넓고 산이 많기 때문에 고배율을 장착한 총기들이 빛을 발할 수 있다.

위험 구역은 해변 빌라 한 곳뿐이며, 일반 모드에서는 보스인 도스가 스폰하는 유일한 장소이다.
등장하는 보스는 안토니오 도스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ena Breakout/보스 문서
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봉쇄 구역은 노스리지와 함께 15레벨에 열리며[6] 일반 모드와의 차이점은 RV캠프에 무료금고 추가와 도스 스폰, 도스 부하의 무장[7]의 차이 등이 있다.

3.3. 노스리지 (Northridge)

파일:1000002748.jpg

원작의 맵 중 하나인 쇼어라인과 유사하다. 맵 자체는 좌우 길이가 1.5km 내외로 넓으며, 맵 중앙에 호수와 강이 이어지는 구조. 지형이 완만한 경사로 이루어진 산이 많으며 나무와 수풀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엄폐와 은폐가 용이하다.

무장의 경우 주로 고배율을 장착한 총기류가 추천[8]되며 위험 구역인 북부 산악 리조트나 하수 처리장으로 간다면 근접전에서 우위를 점하는 산탄총, 기관단총이 유리하다.
또한 맵이 크기 때문에 수분을 보충할 수 있는 음식 하나 정도는 챙기는게 좋다.

본격적으로 스캐브들이 강해지기 시작하며 MP5 기관단총, VECTOR 기관단총으로 무장한 레이더들이 스폰한다. 보스는 프레드가 스폰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ena Breakout/보스 문서
2.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무료금고는 하수처리장 본 건물 2층에, 통신소 본건물 1층과 산악 리조트 C동 3층 구석 방에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

3.3.1. (구) 노스리지 (Northridge)

파일:아브아 (구)노스리지 지도.png

구 노스리지.

현재는 사라진 하수처리장 옆 작은 창고에 있던 금고가 있었다.

또한 리메이크 노스리지에는 없는 검문소[9]와 전망대[10]가 있었다.

현재는 플레이할 수 없는 맵이다.

3.4. 무기고 (Armory)

파일:아브아 무기고 지도.png
[ 2층 지도 펼치기 · 접기 ]
>파일:Screenshot_20240625_233420_Arena_Breakout.png

[ 1층 지도 펼치기 · 접기 ]
> )파일:Screenshot_20240625_233417_Arena_Breakout.png

[ 지하 1층 지도 펼치기 · 접기 ]
>파일:Screenshot_20240625_233415_Arena_Breakout.png


전체적으로 원작의 리저브 커스텀을 적당히 섞어놓은 느낌의 맵. 짬뽕 실내 전투가 대부분이고 고가치 아이템의 스폰율이 아주 높기 때문에 유저들이 항상 넘쳐난다.[11]

위험구역은 무기고 하나뿐이며, 보스는 르누아가 스폰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ena Breakout/보스 문서
2.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좁은 크기의 맵 특성상 기관단총류나 산탄총이 우위를 점하는 편. 외부로 나오는 유저도 꽤나 많으므로 외부에서 저격을 시전하여 파밍이 끝난 유저를 잡는 변칙적인 플레이도 가능하다.

스폰 되는 팀은 총 4팀 최대 16명
무료 금고는 정비소에 1개가, 위험구역인 무기고에 총 3개가 존재한다.

3.5. 항구 (Port)

파일:port_map.jpg

글로벌 서버 시즌2 업데이트로 출시된 맵. 타르코프의 타르코프 시내와 상당히 유사한 복붙 맵이다. 탈출요청시 헬기가 날아오는(!!) 탈출구가 있다. 정부군 AI가 있는 것으로 추정[12]

보스는 더빈 팬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ena Breakout/보스 문서
2.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탈출구는 헬기장[13], 하수도 입구[14], 서부 초소, 행정동 서쪽[인식표제출], 우체국 북쪽[인식표제출], 튤립가 동쪽, 하바나 아파트[호루라기제출]

다른 맵과 다르게 항구는 퀘스트를 클리어해야 열린다.

3.6. 방송국 (TVstation)

파일:Screenshot_20240625_233433_Arena_Breakout.png
[ 2층 지도 펼치기 · 접기 ]
>파일:Screenshot_20240625_233445_Arena_Breakout.png


시즌 3에 추가된 맵으로, 원작의 처럼 오직 실내뿐인 맵이다. 중앙 제어 구역을 둘러싼 맵이 특징이며, 스폰 구역 간격이 좁기에 초반 싸움이 많이 일어난다. 1층과 2층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맵 중 유일하게 다른 진영의 레이더끼리 치고받고 싸운다.

보스는 방송국 3인방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ena Breakout/보스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금지구역과 봉쇄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금지구역의 경우 더 높은 최소 무장 가치와 입장료를 요구하지만 그만큼 레어템의 드롭 확률이 더 높다. 한탕 치기 좋은 맵이기 때문에 덤덤 유저들이 심심찮게 많이 보이는 편이다.

탈출구는 조건부 탈출구 2개, 마지막 10분 무조건부 탈출구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차 구역 탈출구는 전기실 옆 계단 1.5층에 있는 레버를 내려 활성화시켜야 탈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탈출구의 경우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을 누른 뒤, 봉쇄 구역은 대략 40초, 금지구역은 180초를 엘리베이터 안에서 버텨야 탈출할 수 있다.
무조건부 탈출구의 경우 마지막 10분에 활성화 된다.
위 세 탈출구 모두 존버와 고인물의 표적이 되기 쉬우니 주의하자.


[1] 24년 6월 [2] 쉽게 말해 노말과 하드의 차이다. [3] 특히 창고, 곡물 교역소 근처 스폰이 악명이 자자하다. [4] 무장 가치가 일정 이상이어야 하고 일정 코엔을 내고 들어갈 수 있지만, 비교적 고가치의 아이템들의 스폰율이 높은 지역 [5] 원본 게임의 레이더를 생각하면 쉽다. [6] 필요 장비가치는 30000코엔이며 입장비용은 5000코엔이다 [7] M4A1, H416, MPX등의 고급 무기로 무장한다. [8] 그렇다고 M300 리볼버에 16배율 달고 가면 안 된다. [9] 현 캠프 휴게소가 있는 자리 [10] 현 케이블카 정거장이 있는 자리 [11] 덕분에 안 그래도 작은 맵에 유저들은 넘쳐나다 보니 뉴비들에게는 좋지 않은 선택지이다. [12] 스캐브와 다른 복장의 AI들이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모습이 보인다. [13] 군용 텐트에서 레버를 내리고 나서 최초 탈출구 개방시 120초, 이후부터는 180초를 대기한 뒤 탈출할 수 있다. [14] 일반은 레이드 시작 10분 후, 봉쇄 구역은 레이드 종료 10분 전 [인식표제출] 탈출구 활성화를 위해 인식표 2개 제출. [인식표제출] [호루라기제출] 탈출구 활성화를 위해 선원 호루라기 1개 제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