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대만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 UTC+8)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 | |
2025년 01월 21일 00시 17분 27초 |
ML 6.4 | 2025년 대만 자이 지진 | 6- | |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
2017년 파푸아뉴기니 지진 | ||
발생일시 (UTC+9) |
2017년 1월 22일 13시 30분 22초 | |
진앙 | 파푸아뉴기니 팡과나 서북서쪽 41km 해역 | |
진원의 깊이 | 135km | |
규모 | Mww 7.9 | |
최대진도 | Ⅶ[1] | |
여진 횟수 | n회 이상 # | |
피해상황 | 사망자 | 5명 |
부상자 | 17명 | |
피해총액 | ||
쓰나미 여부 | 쓰나미 경보 |
1. 개요
2017년 1월 22일 04시 30분 23초(UTC)에 파푸아뉴기니의 팡과나 서북서쪽 41km 해역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7.9[2]의 지진.2. 상세
정확한 발원지는 파푸아뉴기니의 부건빌 섬 인근이며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에 의하면 지진의 진원 깊이는 135km, 진앙은 인구 3천명이 거주하는 파푸아뉴기니의 판구나로부터 46km 떨어진 지점으로 측정했다.진원이 135km 정도로 깊었지만 워낙 강력한 지진이라 지표가 흔들렸으며 인근 솔로몬 제도와 호주 등지에 30cm~1m 정도의 쓰나미 경보가 떴다가 해제되었다.
대륙판이 맞물려 있는 불의 고리에 위치한 솔로몬 제도에 강진이 잇따던 시점이라 많은 사람들이 우려했다. 실제 파푸아뉴기니는 지난 2007년 규모 8.0의 강진이 발생하여 10m 높이의 쓰나미가 인근 섬을 덮쳐 52명의 현지인이 사망하고 수천가구의 이재민이 발생한 바 있다. 1998년에도 이와 비슷한 지진이 발생했는데 15m의 쓰나미로 인해 2000명이 사망하였다.
3.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17년 지진 | ||||
[[틀:지진/2016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17 → [[틀:지진/2018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01. 18. | M 5.6 | 이탈리아 중부 지진 |
Ⅷ
|
|
01. 22. | M 7.9 | 파푸아뉴기니 지진 |
Ⅷ
|
|
06. 20. | M 5.0 | 오이타 지진 |
5+
|
|
06. 25. | M 5.6 | 나가노 지진 |
5+
|
|
07. 11. | M 5.2 | 가고시마 지진 |
5+
|
|
07. 12. | M 6.3 | 나진 지진 |
1
|
|
08. 02. | M 5.5 | 이바라키 지진 |
4
|
|
08. 08. | M 7.0 | 쓰촨성 지진 |
Ⅷ
|
|
09. 03. | M 6.4 | 길주 인공지진 |
Ⅷ
|
|
09. 08. | M 8.1 | 멕시코 피히히아판 대지진 |
Ⅸ
|
|
M 5.2 | 아키타 지진 |
5+
|
||
09. 19. | M 7.1 | 멕시코 중부 지진 |
Ⅷ
|
|
10. 06. | M 5.9 | 10월 후쿠시마 지진 |
5-
|
|
11. 13. | M 7.3 | 이란-이라크 지진 |
Ⅸ
|
|
11. 15. | M 5.6 | 포항 지진 |
Ⅶ
|
[1]
USGS Shakemap 기준
[2]
미국 지질조사국에서 처음에는 8.0 규모로 첫 지진 강도를 발표했으나 이후 7.9로 하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