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9 09:38:56

1988 서울 패럴림픽


파일:패럴림픽 엠블럼.svg 역대 하계패럴림픽
Spirit in Motion - 역동치는 영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1960
로마
1964
도쿄
1968
텔아비브
1972
하이델베르크
1976
토론토
<rowcolor=#373a3c>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80
아른험
1984
뉴욕·스토크맨터빌
1988
서울
1992
바르셀로나
1996
애틀란타
<rowcolor=#373a3c>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0
시드니
2004
아테네
2008
베이징
2012
런던
2016
리우데자네이루
<rowcolor=#373a3c>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국기.svg
2020
도쿄
( 연기)
2024
파리
2028
로스앤젤레스
2032
브리즈번
2036
미정
역대 하계올림픽 / 역대 동계올림픽 / 역대 동계패럴림픽 }}}}}}}}}
제8회 1988 서울 장애자올림픽대회
Games of the VIII Paralympics Seoul 1988
파일:1988 서울 패럴림픽 로고.svg
파일:DH50004248-1.jpg
대회 기간 1988년 10월 15일 ~ 10월 24일
개최국·지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1]
대회 이념
(슬로건)
도전을 위한 화합
United for the Challenge
주제가 손에 손잡고 - 코리아나
(Hand in Hand - KOREANA)
마스코트 파일:곰두리.jpg | 곰두리
참가 61개국, 선수 3,170명
임원 223명, 보호자 926명
경기 종목 16개 종목 (732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노태우
대한민국 대통령
선수 선서 김소부[2]
심판 선서 정봉수
성화 점화 이재운[3], 김현미[4]
개·폐회식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1. 개요2. 상세3. 엠블럼과 태극4. 마스코트5. 개회식·폐회식6. 황연대 극복상7. 흥행8. 실적9. 참고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88 서울장애자올림픽대회 개회식 (보도 자료)

1988 서울 올림픽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개최한 패럴림픽이다.

2. 상세

당시에는 패럴림픽을 '장애자 올림픽'이라고 불렀다.[5]

패럴림픽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대회이다. 이 패럴림픽을 시작으로 패럴림픽은 올림픽 개최지에서 같이 개최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6] 그뿐 아니라 패럴림픽의 주관단체인 '세계 장애인 스포츠 기구 국제 조정 위원회'[7]의 상징인 ICC기를 만들었으며 패럴림픽 최초의 성화봉송을 한 대회이기도 하다.[8] 마지막으로 후술하는 황연대 극복상(현재는 황연대 성취상)이 처음 만들어지고 수여된 대회이다.

패럴림픽에 대한 준비는 자원봉사단 모집을 시작으로 하여 차근차근 진행되었고 1987년도에 본격적인 준비 과정에 들어갔는데, 가장 문제가 되었던 것이 선수촌이었다. 김포시에 선수촌 아파트를 마련할 계획이었지만, 김포는 잠실 주경기장과 거리가 멀었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다가 올림픽선수촌아파트 가운데 일부를 장애인 편의시설을 추가해서 쓴다는 것으로 계획을 잡았는데, 이것도 올림픽선수촌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들이 장애인들과 한 방을 쓸 수 없다고 반발하면서 틀어졌다. 결국 서울특별시청에서 협조하여 당시 건설계획이 잡혀있던 문정동 시영아파트 중 3개 동에 장애인 관련 설계를 하여 선수촌 아파트로 사용했다.[9] 당시 문정시영아파트 8,9,10동이 바로 이 선수촌 용도로 쓰였던 곳으로써 휠체어가 다닐 수 있는 복도, 계단이 아닌 경사로로 이루어진 대피 시설, 동일 평수 대비 매우 넓은 세면실이 마련되었다.

1988 서울 올림픽 때와 비교하면 운영이 미숙했다는 평인데 운영 본부에서 규칙을 숙지하지 않은 채로 경기를 진행하다 보니 메달이 무더기로 취소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또한 계획 준비가 늦었기 때문에 개회식과 폐회식은 서울 올림픽의 그것을 그대로 재연해서 써먹었다.

그리고 개최 과정에서 장애인들 사이에서 냉소적인 시선들이 적지 않았다.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 패럴림픽을 크게 신경썼던 것은 아니다. 2019년에 공개된 외교 문서에 따르면, 대한민국 정부의 패럴림픽에 대한 몰이해로 하마터면 호주에서 개최될 뻔했다고 한다. 이는 1983년 초 호주는 대한민국 정부에 1988년 장애인올림픽을 자국에서 개최할 의사가 있다고 타진했고, 처음에 한국 정부는 시설 부족 등을 들어 개최권을 호주에 넘기려고 했다. 그러다 장애인 보호 등에 대한 국제적 이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재검토가 이루어졌고, 1년이 지난 1984년 초에야 대한민국이 패럴림픽도 치르기로 최종 결정이 내려졌다.

그렇게 패럴림픽도 유치했지만 패럴림픽은 올림픽에 밀려 후순위가 되었다. 그리고 비록 장애인들의 복지 향상을 명분삼아 패럴림픽을 개최하기는 했으나 장애인 복지에 대한 예산이 그에 걸맞게 배정된 것도 아니고, 당시 한국 정부는 올림픽을 치른다면서 미관 향상을 이유로 정신지체 장애인들이 길거리에 보이면 잡아서 강제로 수용 시설로 집어넣는 모순된 정책을 펼쳤다.[10] 패럴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조직위원회 사무국을 의료보험관리공단 청사에 마련했을 때 장애인 단체 사이에서 "장애자올림픽 개최할 돈으로 장애인에 대한 복지에 써라, 우리는 수십 년 노력해도 사무실 한 칸 얻기도 힘든데 이런 데 낭비를 하느냐"는 식의 질타가 많이 쏟아져 나왔을 정도로 분위기가 꽤 험악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결과적으로 보면 서울 패럴림픽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개선시키고 장애인 복지가 이전보다 크게 나아지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3. 엠블럼과 태극

파일:1988 서울 패럴림픽 로고.svg
1988 서울 패럴림픽 엠블럼
파일:패럴림픽 엠블럼(1988~1994).svg 파일:패럴림픽 엠블럼(1994~2004).svg
IPC 로고 (1988~1994) IPC 로고 (1994~2004)

1988년 서울 패럴림픽의 엠블럼은 성낙훈 (1956~1985) 디자이너가 디자인했으며 ( #, #, 즉, 성 디자이너가 이 디자인을 남기고 29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서울패럴림픽 당시 이미 그의 유작이 된 상태였다), 태극문양과 오륜기를 모티브로 제작되었는데 이 엠블럼은 패럴림픽 정신을 잘 살린 문양으로 엄청난 호평을 받아 이후 올림픽의 오륜기와 함께 패럴림픽 그 자체를 상징하는 문양이 된다. 2004년 아테네 패럴림픽까지 이 상징물 또는 그 변형을 사용하였으며, 2006년 이후에 개최되는 대회에는 현재 사용 중인 패럴림픽 상징물 '아지토스'가 사용되고 있다.

4. 마스코트

파일:곰두리.jpg
1988 서울장애자올림픽대회 공식 마스코트
곰두리 GOMDOORI

이름은 곰두리로, 이윤수 당시 경기공업개방대학 교수가 디자인했다. ( #) 공익광고, TV 애니메이션 등이 따로 만들어진 것도 아니고 해서 아쉽게도 1988 서울 올림픽 호돌이에 밀려 기억에 깊게 남은 캐릭터는 아니지만, 이 캐릭터가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마스코트 반다비로 계승된다. #올림픽 마스코트는 올림픽 헌장에 근거해 IOC에 저작권이 귀속되는 반면 패럴림픽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서[11] 지금도 가끔 서울특별시에서 운영하는 장애인/노약자 무료 셔틀버스에서 도색이 되어있으며 지금도 종이컵에 찍혀 생산된다. # 이 짤이 유일하게 남아있는 실사 모습이다. 그리고 서울 곰두리 FC의 팀 로고에도 쓰이고 있다.

마스코트를 잘 보면 오른쪽 곰두리는 오른팔, 왼쪽 곰두리는 오른발이 결손된 것처럼 보인다. 장애인들을 위한 올림픽이니 그렇게 디자인한 것이지만 아무래도 마스코트 그림에 직접적으로 결손 부위를 보여주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적절히 가린 것. 물론 실제 인형옷에 들어간 사람들은 비장애인이었기 때문에 인형까지 그렇게 만들지는 않았다.

위에서 언급된 대로 반다비가 탄생한 이후로 반다비와 곰두리들 중 한 마리가 같이 걷는 밈이 탄생하기도 했다. #

5. 개회식·폐회식

1988 서울장애자올림픽대회 개회식 (MBC 중계 방송)
1988 서울장애자올림픽대회 폐회식 (MBC 중계 방송)

1988년 서울 패럴림픽은 올림픽 개최지에서 한 달 이내에 패럴림픽 대회를 개최하기로 한 IOC IPC의 첫 번째 파트너십이 적용되는 대회였다. 패럴림픽에 대한 본격적인 준비가 1987년이 되어서야 시작되었기 때문에 패럴림픽 개·폐회식까지 따로 준비할 여력이 없었던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는 1988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 프로그램을 패럴림픽 개·폐회식에 거의 그대로 사용하였다. TV 광고에서도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의 감동을 장애자 올림픽에서 그대로 다시 느껴보세요!" 라고 노골적(?)인 멘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다만 100% 다 재활용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프로그램을 바꾸었고, 개회식도 오전 10시 30분부터 진행한 올림픽과는 다르게 오후 3시부터 진행되었다. 폐회식 때 장애인 가수 조덕배의 단독 무대가 펼쳐지기도 하였다. 당시 조덕배씨가 부른 노래는 "슬픈 노래는 부르지 않을 거야" 였다. 그 외에도 대중가수로 이선희가 '아름다운 강산'을 불렀고 이용 남궁옥분이 공연을 하기도 했다. 패럴림픽 역사상 최초로 성화봉송 및 개회식 성화점화가 시행되었는데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서 채화한 불을 사용하였다.

6. 황연대 극복상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장애인 의사이자 대한민국 장애인의 대모로 불렸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황연대(黃年代 ,1938~) 교수가 한 해외 언론에서 오늘의 여성상과 함께 받은 상금 200만원을 IPC에 전액 기탁하면서 1988년 서울 패럴림픽 때 처음으로 상이 제정되었는데 바로 황연대 극복상이다. 이는 후에 2008 베이징 하계패럴림픽에서 황연대 성취상(Whang Youn Dai achivement award)으로 바뀌면서 폐회식 공식행사로 인정받게 되었다. 황연대 극복상은 성적과 상관 없이 패럴림픽에서 장애를 딛고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정신을 가장 잘 구현한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부상으로 순금 75g(약 20돈)으로 만든 메달이 수여되었다.

2020 도쿄 패럴림픽부터 황연대 성취상이 폐지되었다.

7. 흥행

  • 대회 초기에는 입장권 판매율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서 학생들이나 관련 단체, 교회 신도들을 동원했고, 당연히 관중들도 선수에 대해 잘 아는 것도 아니어서 분위기도 썰렁했다지만 시간이 갈수록 관중이 늘면서 열기도 뜨거워졌다고 한다. 외국 방송에서도 관중들의 열기에 많이 놀랐을 정도였다고.
  • 방송에서도 꽤 푸대접을 받았는데, 서울 올림픽 때는 뉴스와 일부 드라마, 특집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하루종일 올림픽 관련 프로그램으로 내보낸 것에 반해 패럴림픽 때는 패럴림픽에 대한 관심이 낮을 것으로 예상해서인지 방송사에서 패럴림픽을 중계했을 때 하이라이트나 일부 경기 정도나 생중계하고 남는 시간에는 예능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재방으로 때우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그래서 패럴림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을 때 시청자들에게 항의가 많이 오면서 결국 패럴림픽 중계를 늘려주기는 했지만 아무튼 씁쓸한 단면을 엿볼 수가 있었다. 30년후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도 방송사의 무관심은 여전했지만 다행히 유튜브나 스포츠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청한 사람들이 아주 많았다.

8. 실적

  •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금 40, 은 35, 동 19로 7위를 기록했는데, 이 기록은 패럴림픽에서 거둔 최고의 기록으로 이 대회 이후엔 평균 금메달 11개 정도를 획득 중이다. 또한 이 대회부터 대한민국 보치아에서 금메달 하나씩은 획득하고 있다. [12]

9. 참고

10. 관련 문서


[1] 일부 경기는 경기도에서 개최 [2] 척수장애, 탁구 [3] 시각장애, 육상 [4] 1988 서울 올림픽 핸드볼 금메달리스트 [5] 당시에는 장애자라는 용어에 사회적 거부감이 있지 않았으며, 지금 현재까지도 ‘장애자’는 엄연히 대한민국 헌법상의 용어이며 멸칭이 아니다. 다만, 1989년 12월 30일 자로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장애인복지법으로 명칭 변경되면서 알베르빌과 바르셀로나 대회부터는 장애인 올림픽이나 패럴림픽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2018년 평창의 패럴림픽은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으로 표현된다. 패럴림픽 항목 참고. [6] 정확히는 1960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올림픽 패럴림픽을 개최한 게 처음이며, 서울 대회는 올림픽 시설을 재정비하여 패럴림픽을 개최하는 게 본격적으로 시작된 대회이다. [7] International Coordination Committee of World Sports Organization for Disabled, 약칭 ICC. 다음해 설립되는 국제패럴림픽위원회의 전신단체이다. [8] 다만, 현재처럼 패럴림픽 발상지인 스토크맨더빌에서 채화하는 행사는 2012 런던패럴림픽부터 시작했다. 그 이전까지는 개최지의 조직위원회에서 알아서 지정했다고 한다. 서울 패럴림픽 성화는 강화도 마니산에서 채화하였다. [9] 당시 조직위원회 실무를 맡은 관계자의 증언을 토대로 함 [10] 이 수용 시설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졌던 것도 아니라서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같은 일이 터지기도 했다. [11] 반다비 역시 대한장애인체육회로 저작권이 이관된 상태이다. [12] 2010년대 이후 금메달 획득 수가 조금씩 줄어들더니 2020년 도쿄 패럴림픽에선 단 2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는데 그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