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4:46:28

후링

후우링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별명으로서의 후링에 대한 내용은 후쿠하라 아야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이야깃거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uurin.jpg
일본어( 한자) 風鈴[1]
히라가나 ふうりん[2]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법 후린
통용 표기 후링, 후우링
최영애-김용옥 일본어 표기법 후우린
이모지 🎐

1. 개요

일본의 전통문화 중 하나. 한국 풍경에 상응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풍경을 대개 절에서 쓴 반면 일본에서는 가정집에서도 널리 사용하였다. '후링'은 풍령(風鈴)을 일본어식으로 읽은 것인데, 우리나라의 고문헌에서도 풍경을 가리키는 뜻으로 풍탁(風鐸)과 함께 풍령(風鈴)이란 한잣말도 자주 사용하였다. 한국에서는 후대에 들어 '풍경'이란 새로운 어휘가 나와 널리 퍼졌지만, 일본에서는 옛날처럼 '풍령'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후링은 주로 여름에 주로 창문 앞이나 처마 끝에 매단다. 일본에서는 여름이 시작되면 후링을 잔뜩 매단 채 팔러 다니는 자전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일본인들이 '여름'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대표적인 이미지기도 하다. 일본의 여름은 매우 덥고 바람이 적다. 따라서 바람이 부는 것을 청각적으로 느끼고자 여름이면 맑고 청아한 소리를 내는 후링을 걸어놓음이 대중적인 풍습이다. 이 때문인지 애니메이션 등의 여름과 관련된 장면에는 매달아놓은 후링이 흔들리는 것은 클리셰.

현대 일본에서 후링은 여러 가지 소재로 만들지만 유리 제품이 대중적이고, 그중에서도 에도후링(江戸風鈴)이 유명하다. 18세기에 투명한 유리를 만드는 방법이 일본에 전해지자 19세기부터 유리로 만든 후링이 흥하여 널리 퍼졌다. 뜨겁게 달구어 액화된 유리를 대롱불기(glassblowing) 기법으로 동그랗게 부풀린 뒤, 후링의 하단부가 될 부분을 자르고 절단면을 부드럽게 다듬는다. 유리면 안쪽에 안료로 이런저런 그림을 그린 뒤 안에 원통형 유리조각을 꿰어 달아 치게[3]로 삼고, 치게의 아래쪽으로 나온 줄의 끝에는 탄자쿠를 매달아 풍판(風板)[4] 겸 장식으로 삼는다. 줄 끝에 매달린 탄자쿠가 바람에 흔들리면 안에 있는 유리 치게가 후링의 몸체와 부딪혀 맑은 소리를 낸다.

유리 후링이 내는 소리가 최고라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한 유리가 시원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거니와 가격도 싸기 때문에 널리 퍼졌다. 후링의 몸체에는 여러 가지 시원한 이미지로 그림을 그리는데 금붕어 나팔꽃, 불꽃놀이 등이 단골소재이다. 후링을 특정 캐릭터의 모양으로 만들거나 표면에 캐릭터 그림을 그려서 캐릭터 상품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유리제 말고도 청동제나 철제, 또는 도자기제 후링도 있다. 특히나 19세기에 유리 후링이 널리 퍼지기 전까지는 금속제가 대중적이었고, 유리 제품이 주류인 현대에도 일본인들은 후링이라고 하면 금속제 후링 소리를 떠올리곤 한다. 애니메이션은 물론 실사 CM 등에서도 화면으로는 유리제품을 비추면서 금속제의 소리를 넣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청동 등 지역별로 다른 재질 금속으로 후링을 만들었고 지금도 전통공예품으로 내려온다. 특히나 이와테현의 전통 철기공예품 난부철기(南部鉄器)로 만든 난부후링(南部風鈴)은 금속제 후링의 대표이자 일본 후링 소리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난부철기는 이전부터 철제 도구를 잘 만들기로 유명했는데, 20세기 초 다이쇼 시절에 후링도 만들어서 유명해졌다. 다만 일본에서도 난부철기 후링의 소리가 좋다고 여기면서도 통상적인 유리제품보단 비싸기 때문에 잘 구입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조개로 만든 것이나 서양의 윈드차임에 영향받은 듯한 악기도 후링의 일종으로 간주하므로 '후링'이란 말이 가리키는 범위가 꽤나 넓다.

2. 이야깃거리

  • 만화 < ARIA>에서도 등장. 이쪽은 내부에 해루석을 사용하는데 한 달쯤 지나면 해루석의 반응이 사라진다. 유효기간이 끝날 때쯤 드물게 해루석의 결정이 나오고는 한다.
  • 포켓몬스터에 나오는 포켓몬 치렁의 모델이 후링이다.
  • 후링을 처마에 매달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전자 후링을 만들기도 한다. 센서에 바람이 감지되면 미리 녹음된 소리를 틀어주는 형식.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후링을 걸 수 있는 웹 후링도 있다. #
  • Mrs. 에스타시옹 타나바타 후우린도 이것을 모델로 했다.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furin japanese wind chime 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후링 소리를 녹음한 어플이 있다. #
    • 심야식당 극장판에서도 등장한다. 미치루가 잠시 마스터의 일을 도울 때 구매했다. 재질은 바로 위에서 언급된 '철제'. 나중에 떠날 때 마스터에게 제공하여, 둘을 잇는 가교 역할의 소품이 된다. 속편에서는 비가 와서 후링들이 젖지 않게 자전거 위를 덮는 모습으로 재등장.
  • 귀멸의 칼날 하가네즈카 호타루가 이것을 좋아한다. 지금도 모자에 달고 있으며 들으면 성격도 '조금' 얌전해진다나. 하지만 난리칠 때는 모자를 벗어버리기 때문에 의미없다.
  • Mrs. GREEN APPLE 青と夏(푸름과 여름)의 가사에도 등장한다.
  • 하이쿠에서는 여름을 표현하는 키고[5]중 하나로 여겨진다.
  • 대한민국에서는 팔공산 동화사에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판매하기도 한다.

[1]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풍령. [2] 장음이 빠진 ふりん은 불륜이다. [3] 어감 때문에 일본어 단어로 착각할 수 있지만 한국어 낱말이다. 바람이 불어 풍경에 매달린 풍판이 흔들리면, 안쪽에서 풍경의 몸체(탁신)와 부딪혀 소리가 나도록 만든 도구를 가리키는 우리말이다. 한자어로 탁설(鐸舌)이라고도 부른다. 치게나 탁설이 한국어에서 일상적인 어휘가 아니지만, 한국에서 발굴된 풍탁(옛 풍경)을 논하는 문화재 관련 인사나 학자들의 글에서는 흔하게 쓰인다. [4] 풍경에서 바람이 불면 흔들리도록 매달아둔 부분. '바람판'이라고도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얇은 금속으로 만든다. [5] 계절감을 나타내는 단어로, 하이쿠의 필수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