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d90 0%, #0035a9 20%, #0035a9 80%, #002d9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루과이 동방국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프룩투오소 리베라 | 마누엘 오리베 | 프룩투오소 리베라 | 후안 프란시스코 히로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베낭시오 플로레스 | 가브리엘 안토니오 페레이라 | 베르나르도 프루덴시오 베로 | 로렌소 바트예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호세 에우헤니오 에야우리 | 페드로 바렐라 | 로렌소 라토레 | 프란시스코 안토니노 비달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막시모 산토스 | 프란시스코 안토니노 비달 | 막시모 타헤스 | 훌리오 에레라 이 오베스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후안 이디아르테 보르다 | 후안 린돌포 쿠에스타스 | 호세 바트예 이 오르도녜스 | 클라우디오 윌리망 | |
제21대 | 제22대 | |||
호세 바트예 이 오르도녜스 | 펠리시아노 비에라 | |||
우루과이 동방 공화국
|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제26대 | |
발타사르 브룸 | 호세 세라토 | 후안 캄피스테기 | 가브리엘 테라 |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알프레도 발디미르 | 후안 호세 데 아메사가 | 토마스 베레타 | 루이스 바트예 베네스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
안드레스 마르티네스 트루에바 | 오스카르 디에고 헤스티도 | 호르헤 파체코 아레코 | 후안 마리아 보르다베리 |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
훌리오 마리아 상기네티 | 루이스 알베르토 라카예 | 훌리오 마리아 상기네티 | 호르헤 바트예 |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타바레 바스케스 | 호세 무히카 | 타바레 바스케스 | 루이스 라카예 포우 | |
제43대 | ||||
야만두 오르시 | }}}}}}}}} |
<colbgcolor=#0035a9><colcolor=#fff> | |
|
|
출생 | 1928년 6월 17일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 |
사망 | 2011년 7월 11일 (향년 83세)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 |
국적 |
[[우루과이| ]][[틀:국기| ]][[틀:국기| ]] |
[clearfix]
1. 개요
전 우루과이 대통령이자 독재자. 다만 후술하겠지만 이 사람은 우리가 흔히 아는 독재자와는 개념이 좀 다르다.2. 생애
1928년, 몬테비데오에서 정치인 도밍고 보르다베리의 아들로 태어났다.1964년, 국민당에 입당하면서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하였으나, 당 내부와의 마찰로 5년만에 콜로라도당으로 당적을 변경했다. 이후 호르헤 파체코 정권하에서 농업장관으로 입각하여 장관직을 지냈고 1971년, 콜로라도당 대선후보로 출마했다.
2.1. 독재
그러나 선거과정은 게릴라 운동단체의 테러와 어려운 경제사정으로 인해 보르다베리에게 불리하게 판세가 돌아갔다. 이런 불리한 상황속에서 보르다베리는 국민당 후보와 접전끝에 간신히 당선되었고 신생좌파 정당연합인 광역전선이 18%의 득표율을 확보하며 선전을 거뒀다. 거기에다가 선거부정의혹이 제기되며 국민당 지지자들은 보르다베리를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는 상황이 되었고 이로 인해 보르다베리는 시작부터 정통성에 큰 타격을 입으며 임기를 시작했다. 보르다베리는 호르헤 파체코 정부의 기조를 이어받아 좌익게릴라를 탄압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경제는 여전히 어렵기는 매한가지였고 보르다베리는 이를 타개하기위해서 군부에 힘을 실어주는 정책을 펼쳤다. 그 1973년에 우익성향의 장군인 안토니오 프란체스코를 국방장관으로 임명하며 차근차근 군사독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해주었으며 1973년 6월 27일 의회해산 명령을 전격적으로 단행하며 쿠데타를 완성했다. 이후로 1984년까지 우루과이에서 군사독재정권이 집권해왔다.영어 위키백과에는 그가 "사실상의 대통령"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당시 정식으로 있었던 대통령이었음에도 사실상 바지사장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1] 군부는 이후 절대적인 독재정치를 펼치면서 반대파들을 무자비하게 숙청했는데 이 때 본인들의 책임을 무마하기 위하여 일부러 보르다베리에게 누명을 씌우고자, 그에게 강제적으로 서명을 하도록 하게 했다. 이리하여 군사정권 초기의 만행들은 사실상 보르다베리의 잘못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이후 군부와 수차례의 마찰을 빚게 되었고, 결국 2년만에 군부에 의해 파면되며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물론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으며 군부는 대신에 새로운 사람들을 대통령으로 내세웠다.
2.2. 말년
1984년 우루과이 민주화 이후에도 욕을 왕창 먹는 인사 가운데 한 명이었지만 그래도 법의 처벌은 피했는데 결국 2006년, 헌법 위반 및 정적 숙청 등에 대한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4년 후 징역 30년형을 선고받았다. 물론 이 결말이 무색하게, 바로 이듬해 조용히 숨을 거두었다. 향년 83세.
그의 아들도 정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1]
이 때문에 현대 우루과이사에서는 군정기 대통령을 정식 대수로 인정하지 않는다. 보르다베리의 대통령 대수 또한 또한 선거로 집권한 임기는 대수로 인정하지만 군사 쿠데타 이후에는 정식 대수로 간주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