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4-06 19:56:05

홀빈 퍼스

피를 마시는 새의 등장인물
<colbgcolor=lightsteelblue,#20344f> 인간 도깨비 레콘 나가 기타
인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lightsteelblue,#20344f> 제국군 레이헬 라보 · 엘시 에더리 · 틸러 달비 · 시허릭 마지오 · 테룸 나마스 · 니어엘 헨로 · 커레이야 만스 · 다미갈 카루스 · 맥키 네미 · 가리아 릿폴 · 소람 퍼기스 · 릭 몰테이
유료 도로당 게라임 지울비 · 시오크 지울비 · 마리번 도빈 · 데무즈
하늘누리 사라말 아이솔 · 파라말 아이솔 · 지알데 락바이 · 락신 치올 · 도르 헨로 · 모디사 헨로 · 에스커 헬토 · 오니 보 · 쿠스
백화각 두이만 길토 · 부냐 헨로
규리하 정우 규리하 · 아이저 규리하 · 이이타 규리하 · 시카트 규리하 · 골케 남작
발케네 락토 빌파 · 스카리 빌파 · 헤어릿 에렉스 · 팔리탐 지소어 · 소리 로베자 · 수핀 로베자 · 레드마 브릭
시모그라쥬 팔디곤 토프탈 · 베로시 토프탈 · 아쉬존 토프탈
비나간 홀빈 퍼스 · 마진 퍼스 · 레데른 퍼스 · 지키멜 퍼스 · 팩스벗 졸다비
판사이 발리츠 굴도하 · 아이넬 굴도하
기타 아실 · 제이어 솔한 · 이레 달비 · 지테를 시야니 · 우슬라 사르마크 · 아지엣 사카라 · 조프 엔킬더 · 세레지 파림 · · 코세 칸디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대

홀빈 퍼스
마진 퍼스 레데른 퍼스
2대

지키멜 퍼스
}}}}}}}}} ||

판타지 소설 피를 마시는 새의 등장인물. 인간 남성. 아라짓력 31년 기준 90세.

비나간의 후작이며 지키멜 퍼스의 증조부. 귀족원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가진 대영주 중 한명으로, 보통 퍼스 후작이라고 부른다. 공작위를 가진 귀족이 등장한 게 딱 셋[1]이니, 후작쯤 되면 암묵적으로 귀족의전서열 4위 쯤 된다.

보통은 대영주이면서 쩨쩨하고 능력도 없는데 욕심만 많은 노인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으로 묘사된다.[2] 황제와 마찰을 빚는 '큰 말썽꾼' 규리하와 발케네 덕에 별다른 견제를 받지 않는 '작은 말썽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규리하와 발케네가 없어지고나면 말썽을 그만두거나 큰 말썽꾼이 되어야할테지만 큰 말썽꾼이 될 배포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3]

가족에 대해서도 그다지 긍정적인 모습으로 보이지는 않으며, 자신과 달리 유능했던 아들 마진 퍼스를 독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손자 레테른 퍼스는 무능했기에 특별한 견제 없이 내버려뒀던 모양이지만 증손녀 지키멜 퍼스의 능력과 야심을 간과했던 것이 발목을 잡게 된다. 물론 지키멜도 자신의 의도를 잘 숨기긴 했다.

결국 하늘누리와 치천제가 실종된 후 지키멜이 마진 퍼스 독살 의혹을 기소하면서 신속하게 권력을 잃고 유폐되며 음독을 통한 자결로 삶을 마감하게 된다. 다만 지키멜의 승리가 확실해지자 크게 원망같은 것은 하지 않고 지키멜에게 새로운 비나간의 주인으로서 필요한 정보들을 지키멜曰 "속성으로 이루어지는 후계자 교육"같은 형식으로 알려주었다. 유언은 "마진."[4]

비록 그를 언급하는 모든 등장인물들에게 까이는 인물이지만, 유폐 후 자결에 이르는 도중의 지키멜과의 대화를 보면 보통 인물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나이만 봐도 알 수 있지만 이 양반 눈마새의 배경인 2차 대확장 전쟁 시기에서도 이미 중년의 나이였던 자다. 그 신 아라짓 왕국의 부활과 제국의 탄생에 일조한 자들에게서 승계한 규리하 공이나 발케네 공, 시모그라쥬 공과 달리 선조에 대한 언급도 없이 비나간 후 홀빈 퍼스가 그들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가지게 된 것은 그 전쟁 영웅들에게서의 승계이 아니라 자신의 정치적 능력으로 얻은 것이라 볼 수 있다.

원시제가 만든 것은 2대만에 사라지는 연약한 제국이 아니라 사람들이 알아차릴 수 없지만 훨씬 튼튼한 무엇인가이며, 제국과 그 실종은 그 '무엇'이 만들어 낸 모습일 뿐이라고 하는 통찰을 갖고 있었다. 자신의 욕심을 부리기도 했고, 제국의 실종 이후에도 특별한 대응을 보이지 않다가[5] 최후를 맞게 되었지만, 원시제의 계획을 직접적으로 알게되지 않은 이들 중에서는 진실에 가장 가까이 간 인물이라 갈수록 엄청나게 재평가된다.

[1] 시모그라쥬, 발케네, 규리하. 규리하의 경우 변경백령이지만 변경백은 아라짓 왕국을 계승한 제국의 법도상 공작 혹은 그 이상의 권한을 갖는다. [2] 삼고의 일원인 천경유수 지알데 락바이는 그를 ‘입과 욕심만 크고 나머지는 모두 작은 소인배’로 취급한다(...). 그러나 큰 입이 물어뜯으면 무시할 수 없는 상처가 남을 수 있다고 부연하며, 퍼스 후작이 귀족원 내부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은 인정한다. [3] 아마 성격이 괴팍해서 그런 면도 있겠지만 지속적으로 '북부인은 여전히 나가 황제의 승계를 반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환기시키는게 목적이었을 수도 있다. 사실 작중 등장하는 영주들은 하나 같이 평소 언행으로는 황제의 충성스러운 신하니 어쩌니 하지만 3대에 걸쳐 나가 지배자가 나타나는 현상을 달가워하진 않았다. 특히 그 중에서도 충분한 힘과 야심이 있던 규리하와 발케네는 끝내 서약지지와 무력 충돌이라는 형태로 황제에게 맞선다. 물론 이게 애초에 황제가 의도한 바였지만... [4] 스스로 권력을 놓을수 없었던 욕심과 이미 노년이 되어가는 아들이 언제 자신을 먼저 죽일지 모른다는 공포에 먼저 그를 죽였으나 결국 그것이 마음에 응어리로 남게 된 듯 하다. [5] 실제로 지키멜과의 대담에서 스스로 밝혔지만 단순히 그는 귀찮거나 몰라서가 아니라 원시제가 해놓은 그 '무엇'에 대한 굳건한 믿음 때문에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기다리려 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 선택은 영주로서 가장 현명한 선택이 될 수도 있었다. 만약 엘시가 원작대로 제국군 규합에 성공하고 홀빈이 계속 비나간을 지켰다면 곧 치천제가 귀환했을 것이고 대귀족들 중 유일하게 경거망동하지 않은 홀빈의 선택은 치천제의 상찬을 받기 충분했을 것이다. 엘시조차 예측하지 못한 치천제의 귀환을 유일하게 얼추 비슷하게나마 때려맞춘 셈이다. 특히 막장증손녀가 이후 벌인 일들과 극명히 대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