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스타크래프트의 맵인데, EVER 스타리그 2007에 등장하여 딱 한 시즌만 쓰이고 폐기처분되었다. 이유는 아래 참조. 처음으로 중립 다크 스웜을 시도했으나, 결과는 희대의 저그맵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2. 원인
이유 자체가 간단한데, 다크스웜 자체가 저그 유닛의 스킬인 것도 있고, 저그의 지상 유닛은 일꾼인 드론과 히드라리스크, 러커를 제외하고 전부 근접 공격 유닛이다. 심지어 러커는 원거리 공격임에도 특수한 공격 방식으로 다크스웜에서도 적에게 100% 피해를 준다. 반면 테란의 경우에는 다크스웜 안에서 변수없이 100% 피해를 주는 유닛은 파이어뱃과 스파이더 마인밖에 없으며, 프로토스의 경우에는 질럿, 다크 템플러, 리버 정도가 있는데, 메인 공격수인 드라군은 아예 먹통이되고, 저그전 최종병기인 아칸은 제대로 된 피해를 주기 어려워서 다크스웜을 끼고 싸워봐야 득볼게 없다. 더욱이 맵을 만들 때 뭘 잘못한 것인지 중립 다크 스웜이 유닛 판정이라 드랍을 하면 유닛이 다크 스웜 밖에서부터 나오는 등 문제가 많았다. 게다가 앞마당 입구는 더럽게 넓어서 테란과 프로토스가 더블을 하는 것은 도박수 혹은 자살행위였는데, 애초에 테란과 프로토스에게 더블 하지 말라고 만든 컨셉맵이었다.3. 전적
테저전 0:3, 저프전 1:2의 전적을 보이고 폐기되었다. 굳이 저그맵이 아니더라도 허무하게 깨지거나 경기가 너무 길게 늘어지는 극단적인 양상이 벌어지는 바람에 비난을 많이 받았다.저그가 테란을 이긴 세 경기 중 두 경기는
저그와 프로토스의 경기 중 두 경기는 이제동과 송병구의 경기다. 두 경기 모두 송병구가 이겼다. 참고로 송병구가 이긴 경기는 각각 16강과 결승이었는데, 16강에서는 둘 다 진출이 확정되어 있었기에 다크스웜 활용 대신 중앙 힘싸움만 했고 정직하게 정면으로 들이받기만 한 이제동이 중앙 전투에서 패색을 보이자 쿨하게 GG 선언을 했다. 결승전에서는 본진과 앞마당을 잇는 지형을 파일런으로 막아버리는 필살기성 전략을 썼다. 나머지 한 경기는
가장 유명한 경기로는 이재호 vs
테프전 경기는 두 경기가 있었으며, 8강에서 열린 이영호와 송병구의 경기에서 이영호가 송병구의 리버 캐리어를 무난히 막으며 승리, 다른 한 경기는 김택용과
총평을 내리자면 의도는 좋았으나, 그게 하필이면 다크스웜이여서 문제가 되어 버렸다는 것. 다크스웜만 없앤다면 센터가 넓은 힘싸움형 맵이 되었을 것이다.[4]
4. 여담
-
중립 다크스웜을 처음 제시한 것은 맵 제작 당시에는
STX SouL 연습생 신분이었던
최재원. 또한 중립 다크스웜을 넣은 이유는 당시만 해도 정석처럼 사용되던
더블커맨드와
3해처리에 칼을 대기 위함이었고 당시 테란은 본진플레이가 강제되었다. 하지만
저그는 중립 다크스웜이 지켜주는 타스타팅 멀티를 가져거나, 아니면 후반부에나 나오는 중립, 무한 다크스웜을 이용해 먹으며 압박하면 그만이었고, 저그와
테란의 밸런스는 그야말로
와장창 무너졌다. 테란에겐 불리한 요소를 폭탄으로 안겨주고, 저그에겐 불리한 요소는 커녕 이점만 갖다 바쳤으니 밸런스가 안 무너지는 것이 이상하다. 돌이켜 볼 때, 중앙 싸움 구역이나 특별한 요충지에 한 두개도 아니고 중요한 입구와 멀티마다 모조리 다크 스웜을 배치한 것은 정말 나쁜 선택이었다. 이를 두고 팬들은 앞마당에 가스를 없앤다던가, 아니면 본진 자원이라도 최소한 10덩이 이상으로 퍼준다던가 하는 테란, 프로토스에 대한 배려가 필요했다고 말한다. 게다가 초반지향형으로 만들었다는 맵 제작자의 말과는 달리 테란은 적의 본진+앞마당 외 멀티의 일꾼을 견제할 수단이 시즈모드된 시즈탱크나 파이어벳 말고는 전무했기 때문에 테테전이 엄청나게 늘어졌으며, 그 결과가 바로 위에 있는 이재호 vs
진영수의 경기였고, 하필 이 맵이 쓰인 첫 경기가 그 지경이었으니 맵에 대한 인상이 나쁠 수 밖에 없었다.
- 해당 맵에 대한 연구노트를 참조하면 초시계를 동원하는 등의 많은 고민을 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지만 철저하게 실패했다는 점에서 레벨 디자이너에게 있어 이미 정립되어 있는 메타를 인위적으로 역행하려는 시도가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교훈이 되는 맵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다크스웜이 프로토스전에서는 유용한 정도의 기술이지만, 테란전에선 전투 양상이 뒤바뀔 정도의 회심의 필살기나 다름 없다는 점을 볼 때[5] 너무 멀리 본 나머지 발 밑의 것을 인지하지 못한 맵 제작자의 치명적인 실수를 볼 수 있다. 특히 더블커맨드, 더블넥서스, 12앞마당 & 3해처리가 쉬워진 이유는 맵 제작자들이 어떻게든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노력이었던 것을 간과한 것이다.
-
저그가 테란 상대로 워낙 유리했고, 저프전은 그다지 무너지지 않아서 묻혔을 뿐, 테저전 만큼이나
테프전 밸런스도
역상성으로 굉장히 나쁘다. 저프전 전적 자체는 송병구/이제동 두 번이 컸지만, 개념적으로도 투겟 질럿과 좁은 입구를 통한 초반 전략 등으로 토스가 뭔가 해 볼만한 여지가 있었다. 오히려 중반 이후 아드레날린 저글링이 깔리기 전까지는 질럿 템플러가 히드라와 러커 상대로 어느 정도는 힘을 쓸 수 있었고,
삼룡이와 외곽 멀티에도 다크를 통해 성큰을 무시한 견제가 가능했다. 그러나 정작 제 3자 격인 테란의 마인이 심어지면 토스 유닛 중 그를 견제할 수 있는 수단은 하나도 없었고, 질드라 조합이 다크 스웜 근처에 자리잡은 테란 병력을 뚫어낼 방법이 없었다.[6] 결국 토스가 초반 전략을 시도했다가 테란이 무난하게 방어하고 진출해 이기는 그림이 일반적이었다. 상술된 두 경기에서 송병구는 리버, 김택용은 다크 템플러를 선택했지만 그냥 막히고 뒤가 없이 끝났다.
결국 이 맵의 최대 피해자는 프로토스.
[1]
바로 다음 리그인
박카스 스타리그 2008에서 8강에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2]
해당 챌린지리그 결승에서
이제동을 3:1로 이겼다. 스타리그가 모두 끝난 현재까지도
안기효는
스타크래프트 5전 3선승제에서
이제동을 꺾은 유일무이한
프로토스다.
[3]
참고로
이영호와 신희승은 다음 경기에서 지고 나란히 탈락한다.
[4]
물론 드럽게 넓은 앞마당 언덕 같은 문제는 남아있긴 하다.
[5]
저그가 테란 상대로 빠르게 3가스를 확보하려는 이유가 괜히 있는 게 아니다.
[6]
중립 다크스웜을 중립 유닛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셔틀로 질럿을 내리면 다크스웜 바깥에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