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드로 코스타[1] Pedro Costa |
|
|
|
국적 |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
출생 | 1958년 12월 30일([age(1958-12-30)]세) |
포르투갈 리스본 | |
부모 | 아버지 루이스 필리페 코스타[2] |
학력 | Escola Superior de Teatro e Cinema [3] |
활동 | 1989년 – 현재 |
데뷔 | 1989년 장편 <O Sangue> |
1. 개요
포르투갈의 영화/다큐멘터리 감독.리스본 대학에 다니다가 영화전문학교인 'Escola Superior de Teatro e Cinema'로 전학한다. 이곳에서 안토니오 레이스, 파울루 호샤, 알베르토 세이사스 산토스 같은 포르투갈 대가에게 수업을 받았다. 그 후 몇몇 감독들의 조수로 일하다 1989년 <피(O Sangue)>로 영화세계에 입문하였다.
두번째 장편 <용암의 집(Casa de Lava)>을 만들고 세번째 장편<뼈(Osso)>에서부터 리스본의 빈민촌 폰타이냐스를 배경으로 빈민층의 삶에 초첨을 맞추기 시작해 폰타이냐스 3부작을 만들기 시작한다. 뼈의 주인공이었던 반다 두아르치를 그 다음 장편인 <반다의 방(No Quarto David Vanda)>에서 다시 같이 작업하여 2002년 칸영화제에서 상을 받게된다.
반다의 방이후 다큐멘터리 <당신의 숨겨진 미소는 어디에?(Ondo Jaz O Teu Sorvino?)>[4][5]를 제작, 연출하고 폰타냐이스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인 <행진하는 청춘(Colossal Youth)>[6]을 연출하여 2006년 칸 영화제 경쟁부분에 초청된다. 이 작품으로 그는 벤투라를 만나게 된다.
이 작품들로 거장의 반열에 오른 코스타는 다른 나라 거장들과 옴니버스 작품, 다큐 그리고 단편들을 찍는다. 2014년, 그는 거의 10년만에 벤투라가 주연을 한 신작 <호스 머니>를 연출하고 그 해 로카르노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게된다.
2019년 비탈리나 바렐라로 로카르노 영화제 황금표범상을 수상했다.
2. 특징
영화광적인 인용, 때론 흑백까지 가는 무채색의 색감과 조명, 비전문 배우와 전문 배우가 뒤섞여있는 캐스팅, 과묵한 연기 지도, 장 마리 스트로브와 다니엘 위예의 영화들에게 영향을 받은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모호한 경계, 소외된 자들에 대한 시선, 디지털 카메라 사용을 예로 들 수 있다. 1960년대 자국 포르투갈 뉴웨이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감독이기도 하다.[7] 영화판 사무엘 베케트라는 얘기도 자주 듣는다.<피>만 해도 로베르 브레송의 영향을 받은 전형적인 아트하우스 영화였지만 <용암의 집>을 거쳐 <뼈>에서 작법이 확 달라지게 된다. 이전까진 전문 배우들이 참여한 픽션 영화였다면, <뼈>는 실제 빈민가 사람들을 기용해 그들의 삶을 모호한 톤으로 다루면서 픽션과 다큐멘터리 간의 경계가 흐려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가짜"같다는 고민을 하게 되고 때마침 등장한 디지털 카메라로 <뼈>의 등장 배우를 다시 내세워 찍은 <반다의 방>에서 지금과 같은 인장을 굳히게 된다.
비평가들과 영화광들의 굳건한 지지를 받는 감독이지만 대중성은 전무한지라 일반 관객들에게는 난해하다는 얘기를 자주 듣는다.
3. 필모그래피
3.1. 장편
- 피 O Sangue (1989)
- 용암의 집 Casa de Lava (1994)
- 뼈 Ossos (1997)
-
반다의 방 In Vanda's Room (2000)
- 행진하는 청춘 Colossal Youth (2006)
- 호스 머니 Horse Money (2014)
- 비탈리나 바렐라 Vitalina Varela (2019)
3.2. 단편
- 토끼사냥꾼 - 수용소의 삶 A caça ao coelho com pau - Memories (2007)
- 타라팔 - 삶의 조건 Tarrafal - O Estado do Mundo (2007)
- 아워 맨 O Nosso Homem (2010)
- 어린 시절에 대한 회한 - 센트로 히스토리코 Lamento da vida jovem - Centro Histórico (2012)
- 불의 딸들 Filles Du Feu (2023) - 제76회 칸 영화제 단편 부문 초청작 [8]
3.3. 다큐멘터리
- 당신의 숨겨진 미소는 어디에? Où gît votre sourire enfoui? (2001)
- 아무 것도 바꾸지 마라 Ne Change Rien (2009)
4. 기타
상당한 수준의 음악광이다. 뼈엔 와이어의 Lowdown을 삽입하기도 했고 행진하는 청춘은 영 마블 자이언츠의 음반에서 이름을 따왔다. 선호하는 타입은 펑크 록이나 포스트 펑크인듯.일본 도쿄조형대학에서 객원 교수로 일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하스미 시게히코의 지지를 받아서인지 유달리 대접이 좋은 편이다.
한국에도 몇 차례 내한한 적이 있지만, 정식 개봉한 작품은 없다. 대신 영화제에서 자주 소개되었다.
한국영상자료원에서 DVD로 <뼈>, <반다의 방>, <행진하는 젊음>[9]을 볼 수 있지만... 아까 말했다시피 한국에서 인지도가 시네필이 아니면 모르는 수준이라서 한국어 자막이 없다. 보고 싶다면 영어실력을 키우고 영자막을 트는 것을 추천한다. 정 한글 자막으로 볼려면 국내 시네마테크 상영관에서 상영해줄때 밖에 없다.
유운성 평론가가 밝히길, 불법 복제에 관대한 편이라고 한다. 자신의 영화를 불법 복제로 봐도 상관 없다고. [10] 실제로 인터뷰 등지에서 젊었을 적 음반이나 책 훔친 경험이 있다는 얘기를 하기도 했다.
영화평론가 정성일이 뽑은 21세기 영화 반다의 방 #
2019년 비탈리나 바렐라로 로카르노 영화제 황금표범상을 수상했을 당시
의외로 맷 리브스 팬이다. 클로버필드,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더 배트맨을 좋아한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적이 있다.
[1]
거의 대부분의 시네마테크와 영화제에서는 '페드로 코스타'라고 표기하고 있고 영화비평잡지 FILO 정도만이 '페드루 코스타'로 쓰고 있는 상황이나,
국립국어원의
포르투갈어 표기법 및 그 용례에 따르면 'pedro'의 'o'는 강세가 없는 'o'이므로 '루'라고 표기하여야 한다.
[2]
각본가 출신이다. 1990년에 이사벨 메디나라는
포르투갈 배우와 재혼한 것으로 보인다.
[3]
리스본 대학에서 이곳으로 옮겼다. 영화 영상 전문 학교이다.
[4]
원래는 아르테 TV의 요청으로 제작된 다큐이다. 그가 존경하는 두 거장인 장-마리 스트라우브, 다니엘 위예가 <시칠리아!>의 촬영을 마치고 편집하는 모습을 담은 다큐이다.
[5]
이 다큐는 극장용과 방송용 버전이 따로있다. 그리고 당.숨.미에서 사용되지 않은 6개의 장면들을 골라 새로운 맥락으로 편집된 단편 <여섯개의 바가텔(6 Bagatelas)>이 있다.
[6]
<대단한 젊음>이라고도 불린다.
[7]
특히 트라스 우스 몽스트나 녹색의 해 같은 자국 다큐픽션 영화들의 영향에 많이 받았다.
[8]
인터뷰에 따르면 장편 예고편 같은 느낌의 단편이라고 한다.
[9]
이 세 영화는 크라이테리온에서 만든 세트이다. 참고로 행진하는 젊음은 한국어판 DVD가 생겨 한국어 자막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10]
코스타는 비대중적인 노선 치고는 홈비디오가 잘 나오는 편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