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21:12:21

페드로 게레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야구 코치에 대한 내용은 페드로 게레로(1988)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페드로 게레로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1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1981

파일:1981 MLB 올스타전 로고.gif 파일:1983 MLB 올스타전 로고.gif 파일:1985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1987 MLB 올스타전 로고.png 파일:1989 MLB 올스타전 로고.pn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81 1983 1985 1987 1989

마이크 슈미트
( 필라델피아 필리스)
페드로 게레로
론 세이
스티브 예거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대럴 포터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안드레 도슨
( 몬트리올 엑스포스)
조지 포스터
( 신시내티 레즈)
더스티 베이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페드로 게레로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리온 더럼
( 시카고 컵스)
데일 머피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안드레 도슨
( 몬트리올 엑스포스)
호세 크루즈
( 휴스턴 애스트로스)
데일 머피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파일:Pedro_Guerrero.jpg
페드로 게레로
Pedro Guerrero
출생 1956년 6월 29일 ([age(1956-06-29)]세)
산 페드로 데 마코리스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0cm / 79kg
포지션 1루수, 3루수 외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72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CLE)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78~1988)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88~1992)

1. 개요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의 前 1루수, 외야수.

5번의 올스타 출전 경험과 실버 슬러거 수상 내역을 보면 알 수 있듯 80년대 정상급 타격을 자랑하는 선수였으나 끔찍한 수비력이 약점인 선수였다. 영 아닌 수비력 때문에 다저스라는 팀에서 오래 뛰었지만 한 포지션을 쭉 맡지 못했다. 우익수에서도, 좌익수에서도, 3루수에서도 답답한 수비를 보여줬고, 카디널스로 이적한 이후부터 은퇴할 때 까진 1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해 죽 뛰었지만 1루 수비는 더더욱 형편 없었다. 지명타자 제도를 운영하던 아메리칸 리그에서 뛰었다면 더 가치가 높아졌을 선수다. 그럼 약점을 안고 가도 통산 fWAR는 36.5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