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6 10:04:10

토마스 니퍼다이


파일:wenn-der-historiker-thomas.jpg

Thomas Nipperdey
( 1927년 10월 27일 ~ 1992년 6월 13일)
역사는 회색이며, 무한한 그림자 속에 있다(Die Grundfarbe der Geschichte ist Grau, in unendliche Schattierungen).

1. 개요2. 생애3. 업적4. 명예5. 저서 목록6. 기타

1. 개요

토마스 니퍼다이(Thomas Nipperdey)는 독일 역사학자이다. 라인하르트 코젤렉, 한스-울리히 벨러와 함께 전후 독일 역사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2. 생애

니퍼다이의 아버지인 한스 카를 니퍼다이(Hans Carl Nipperdey, 1895-1968)는 노동법 쪽에서 유명했던 법학자였고[1], 여동생인 도로테 죌레(Dorothee Sölle, 1929-2003) 역시 저명한 신학자로[2] 가문 자체가 학자 가문이었다. 그의 아들 중 하나인 유스투스 니퍼다이(Justus Nipperdey, 1978-) 역시 초기 근대 독일사를 전공한 역사가이다. 아버지가 1925년부터 쾰른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였기에 쾰른에서 태어났고, 대학 역시 쾰른대학으로 진학하였다.

니퍼다이의 원래 전공은 철학이었다. 1953년에 그가 쓴 박사학위논문은 "헤겔의 청년기 저작 속의 실증성과 기독교(Positivität und Christentum in Hegels Jugendschriften)"으로 헤겔 철학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고 있었다. 이후 독일 사회사의 시조이자 구조사의 대표자인 테오도어 쉬더의 영향을 받아 역사학 연구를 시작하였고, 1961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교수자격논문 "1918년 이전 독일 정당의 조직(Die Organisation der deutschen Parteien vor 1918)"을 제출하였다. 이후 기센 하이델베르크를 거쳐 1972년 뮌헨 대학교의 정교수로 임용되었고, 1992년 암으로 죽을 때까지 그곳에서 지내게 된다.

3. 업적

니퍼다이의 주요한 학문적 관심사는 19세기 독일의 역사였다. 니퍼다이는 1960년대 이후 벨러와 볼프강 몸젠, 위르겐 코카를 비롯한 사회사(Sozialgeschichte) 역사가들의 독일 역사학의 전통적 역사주의 경향에 대한 비판에 맞서 역사주의 전통을 지켜내고자 한 인물이었다. 벨러를 비롯한 사회사가들은 나치즘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역사학의 본령을 비판적인 사회 과학에 두고자 하였고, 독일의 과거사, 특히 19세기 독일사를 매우 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대해 니퍼다이는 역사학의 인간학적 차원을 강조하였고, 역사학의 본령을 비판이 아닌 성찰에 두었다. 그는 전통적 역사주의가 가진 상대주의와 정치성 등과 같은 한계점을 인정하면서도 역사주의를 '탈신화화', '탈정치화', '탈민족화'와 같은 쇄신 작업을 통해 이를 현대적으로 재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마냥 보수적인 인물이었던 것은 아니다. 니퍼다이가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역사가로 강조되고 있는 것은 사회사 및 문화사와 같은 당대의 신조류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자신의 역사서술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니퍼다이는 사회학과 인류학 이론에도 큰 관심을 기울였고, 특히 클리포드 기어츠의 '두껍게 읽기(Thick Description)'에 큰 영향을 받았다.

무엇보다도 니퍼다이는 사회사가들이 내세운 존더베크 테제에 대한 핵심적 비판자였다. 니퍼다이는 1975년 벨러의 책 독일 제국(Das deutsche Kaiserreich)에 대한 서평에서 벨러의 책이 독일 제국을 악마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19세기 독일에 대한 국수주의적 역사 서술을 남긴 하인리히 폰 트라이치케의 화신(Treitschke redivivus)과 같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니퍼다이는 19세기 독일사가 단순히 나치즘의 전사(Vorgeschichte)가 아니라 바이마르 공화국 및 서독의 민주주의와도 연속성을 가짐을 강조하면서 19세기 독일사의 그 자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것을 요구했다.

니퍼다이는 이러한 관점을 1983년에서 1992년 사망 직전까지 출간한 19세기 독일사(Deutsche Geschichte) 3부작에서 집대성했다. 1983년 1권이 나온 이래로 이 책은 벨러를 비롯한 많은 역사가들의 극찬을 받았고, 1992년에는 독일 역사학계의 가장 권위 있는 상인 '역사가 협회상(Preis der Historischen Kollegs)'[3]를 수상하기도 한다. 이 책은 전후 독일 역사학의 최대 성취 중 하나로 꼽히는 대작으로, 19세기 독일사를 고전적인 정치와 외교, 전쟁과 같은 정치사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일상, 가족, 섹스, 스포츠, 종교, 학문, 예술에 이르기까지 고전적인 역사학에서 다룰 수 있는 거의 모든 분야를 그려내며 당대의 총체적 면모를 입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니퍼다이는 벨러와 다르게 19세기 독일이 가지는 '근대성'에 주목했다. 그는 코젤렉의 프로이센 연구의 관점을 전적으로 수용하면서, 19세기 독일 사회에서 시민 계급(부르주아)의 헤게모니가 관철되고 있었음을 강조한다. 과학, 음악, 대학은 이를 대표하며, 동시에 19세기 독일의 가장 위대한 성취이다. 또한 니퍼다이는 프로이센의 개혁에서부터 내려오는 독일 사회의 점진적인 개혁 능력 역시 중요하게 다루며 19세기 종교의 '부활'이나 빌헬름 시대 대중 정치를 조명한 것 역시 그의 수많은 업적 중 하나이다.

그렇지만 니퍼다이는 19세기 독일의 밝은 면모만을 다루지 않는다. '역사는 회색이며, 무한한 그림자 속에 있다.(Die Grundfarbe der Geschichte ist Grau, in unendliche Schattierungen)'라는 그의 말에서 드러나듯이, 니퍼다이는 역사를 흑백 논리적인 선악의 이분법으로 파악하는 것을 극도로 경계했다. 그는 19세기 독일의 찬란한 성취를 앞세우면서도, 동시에 나치즘의 기원이 되는 독일만의 특수성 역시 지적한다. 군국주의와 시민 계급의 비정치성이 바로 그러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니퍼다이는 나치즘의 기원에는 서구 근대 문명 자체가 가지는 병리적 특성과도 연관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는 즉 근대 문명 자체가 가지는 양면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니퍼다이는 19세기 독일 근대 사회가 가지는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특성, 즉 빛과 그림자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것을 강조했다.

19세기 독일 및 독일 제국의 그 고유한 특징을 이해할 것을 요구한 니퍼다이의 비판은 1980년대 영국의 제프 일리 데이비드 블랙번이 존더베크 테제에 제시한 비판과 상당 부분 같은 맥락에 위치하고 있었고, 1980년대 이후 사회사가들의 존더베크 테제는 상당 부분 학문적 영향력을 잃게 된다. 한편으로 니퍼다이의 광범위한 '종합'은 다른 역사가들에게도 이러한 방대한 종합 작업을 자극하였다. 벨러는 자신의 견해를 상당 부분 수정하여 독일 사회사(Deutsche Gesellschaftsgeschichte) 5부작을 1987년부터 2008년까지 연달아 내놓았고, 2000년에는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빙클러가 출간한 서구로의 긴 여정(Der lange Weg nach Westen)이 큰 인기를 끌었다.[4][5]

4. 명예

  • 미국 과학 예술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1985)
  • 스탠포드 행동과학 고등연구소 회원(1988-1989)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회원(1989)
  • 독일 공로훈장 제1급 공로십자장(1989)
  • 바이에른 아카데미 정회원(1990)
  • 베를린 고등연구소 회원(1990-1991)
  • 독일 역사가상(1992)

5. 저서 목록

  • Positivität und Christentum in Hegels Jugendschriften. Köln 1953. - 박사학위논문
  • Die Organisation der deutschen Parteien vor 1918. Droste, Düsseldorf 1961. - 교수자격논문
  • Reformation, Revolution, Utopie: Studien zum 16. Jahrhundert. Vandenhoeck & Ruprecht, Göttingen 1975.
  • Gesellschaft, Kultur, Theorie. Gesammelte Aufsätze zur neueren Geschichte. Vandenhoeck & Ruprecht, Göttingen 1976.
  • Nachdenken über die deutsche Geschichte. Essays. C. H. Beck, München 1986.
  • Religion im Umbruch. Deutschland 1870–1918. C. H. Beck, München 1988.
  • Deutsche Geschichte 3부작
    Deutsche Geschichte 1800–1866. Bürgerwelt und starker Staat. C. H. Beck, München 1983.
    Deutsche Geschichte 1866–1918. [Band I:] Arbeitswelt und Bürgergeist. C. H. Beck, München 1990.
    Deutsche Geschichte 1866–1918. [Band II:] Machtstaat vor der Demokratie. C. H. Beck, München 1992.
  • Wie das Bürgertum die Moderne fand. Siedler, Berlin 1988.
  • Kann Geschichte objektiv sein? Historische Essays. Herausgegeben von Paul Nolte. C. H. Beck, München 2013.

6. 기타

  • Deutsche Geschichte 3부작의 첫 문장은 창세기에서 모티브를 따온 'Am Anfang war Napoleon(태초에 나폴레옹이 있었다.)'로 시작하였는데, 이를 두고 많은 갑론을박이 벌어졌으며 현재까지도 19세기 독일사를 다루는데 있어 한두번은 언급되는 문장이다. 참고로 벨러는 이를 조금 뒤틀어서 자신의 독일 사회사 첫 문장을 'Im Anfang steht keine Revolution(태초에 혁명이 없었다)'로 시작하였다. 두 역사가의 독일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는 대목.
  • 그를 언급할 때 보통 '보수적'이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는데, 그는 68운동 당시 테러를 당한 이후 급진적 학생 운동에 거부감을 드러내기는 하였으나 1985년까지 사회민주당 당원이었다.
  • 그동안의 여타 학자들과 달리 그는 일상 생활, 사회사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1] 독일 연방노동법원의 관점에 영향을 미친 기본권규정의 한정적 직접효력설을 주장하였다. [2] 정치신학 용어인 크리스토파시즘(Christofascism)이라는 용어를 제시하였다. [3] 독일 역사가상(Historikerpreis)이라고도 한다. [4] 니퍼다이에서 빙클러에 이르는 1990년대의 개설서 출간 붐을 '역사 붐(Geschichtswelle)'라고 부르기도 한다. [5] 비교적 최근의 종합으로는 울리히 헤르베르트의 20세기 독일사(Geschichte Deutschlands im 20. Jahrhundert, 2014)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당파적이고 목적론적 관점이 강한 벨러와 빙클러의 저작을 뛰어넘은 20세기 독일사 종합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