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50년 6.25 전쟁 때 고양군이 북한 치하에 있을 때 일산 등에서 조직된 자생적 조직.[1]태극단선양회에서는 태극단 활동에 대해서 고려 시대 몽고 침략에 항쟁한 승병 및 삼별초, 조선 시대 임진왜란에 조헌, 곽재우, 고경명, 사명대사, 일제 시대 안중근, 홍범도, 광주학생의거 등 의병의 성격을 가진 단체라고 설명하고 있다.
주요 구성원은 경의선 통학생들, 교사 및 공무원, 애향심이 강한 지역민들이다.
2. 활동
경의선 커브지점인 강매리와 금촌역 인근 지점에서 북한군의 무기를 탑재한 기차를 탈선시켰다.한강 난지도에서 북한군 양곡 수송선을 기습하여 수류탄 수십바로 양곡 수송선을 격침시켰다. 격침 과정에서 태극단원 3명이 전사했다.
태극단 소속 교사 3명[2]이 유엔군 참전 소식을 알리는 안내문을 제작하고 북한군에 협조하지 말것을 권하는 벽보를 제작하여 태극단원들과 함께 교하면 일대와 임진강 노역장에 배포했다.
북한군이 주민들을 강제징용하여 인민위원회 사무실에 감금하자 태극단원들이 기습하여 징용자들을 탈출시켰다.
북한군이 점령하고 있던 고양군 인민위원회 건물을 총격전으로 탈환했다.
서울 수복을 열흘 앞둔 9월 정발산 전투 때 남아 있던 북한군들에게 발각되어 50여명이 학살당했다.
3. 해체
서울 수복 후 살아남은 이들은 지역 치안활동을 하다가 10월 말에 국방부 정훈국 별동대 등에 배치되어 해체됐다.총격전과 고문 등으로 전사한 태극단원 45명과 특수임무 중 전사한 5명을 1957년 파주에 가매장된 유해 45구를 고양군 송포면 덕이리에 태극단 순국열사 묘지에 안장했다.
4. 현재
현재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동에 태극단선양회가 운영되고 있으며, 매년 순국열사[3] 추모제를 개최하고 있다.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탄현역 1번출구 근처)에 태극단 순국열사 묘지가 있으며, 이 앞에 있는 사거리 이름인 '태극단 사거리' 역시 태극단 순국열사 묘지에서 따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