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1 00:47:26

캠퍼스 혁신파크


1. 개요2. 2019년 선도사업
2.1. 신청 대상 및 조건2.2. 평가 방법2.3. 평가 지표 및 평가 방식2.4. 지원 및 최종 결과2.5. 선도사업 경과
3. 2021년 캠퍼스 혁신파크 2기
3.1. 지원 및 최종 결과
4. 2022년 캠퍼스 혁신파크 3기
4.1. 지원 및 최종 결과
5. 2023년 캠퍼스 혁신파크 4기
5.1. 지원 및 최종 결과
6. 정리

1. 개요

대한민국 교육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이 세 정부부처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업으로 대학 중심의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대학의 유휴 부지를 활용하여 조성되는 도시첨단산업단지로서 기업 입주시설, 창업 지원시설, 주거·문화시설 등이 복합 개발되고, 입주기업은 정부의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지원받게 된다

2. 2019년 선도사업

2.1. 신청 대상 및 조건

  • 고등교육법 제2조 1호, 2호에 해당하는 대학/산업대학을 대상으로 하였음
  •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정부 재정지원 가능대학
  • 캠퍼스는 도시첨단산업단지 신청 교지면적을 제외하고도 대학설립ㆍ운영 규정 제5조에서 정한 기준 교지면적을 충족하되, 최소 1만m2 이상의 사업부지를 신청할 필요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7조의2 제2항에 따라 서울시 내에 있는 캠퍼스 부지는 신청대상에서 제외
    (단 서울시 내에 캠퍼스를 가진 대학이 서울시 외에 또 다른 캠퍼스[1]가 있는 경우에는 서울시 외에 있는 캠퍼스를 대상으로 신청 가능)
  •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공동 사업시행자로 참여하여 관련 인·허가 및 단지 조성등을 공동으로 수행 가능한 대학

2.2. 평가 방법

  • 1단계(서면평가): 대학이 작성한 제안서 및 기초 데이터 검토, 대학 발표 등을 통해 선도사업 선정개소의 3배수 이내에서 후보지(현장실사 대상지) 선정
    (각 세부평가지표를 평가는 5점 척도(매우 우수- 우수-보통-미흡-아주미흡)으로 구분하여 정성 평가)
  • 2단계(현장실사): 평가위원회의 실사 계획에 따라 후보지별 현장 실태를 확인하고, 서면 내용의 사실 관계 확인 (서면평가와 현장실사를 분리하여 점수를 부여하지 않고, 현장실사에서는 서면평가에서 제시된 사항을 확인(질의 응답 등)하는 방식으로 추진)
  • 3단계(종합평가): 서면평가, 현장실사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후보지 선정

2.3. 평가 지표 및 평가 방식

2019년 진행된 평가에 대한 평가 지표와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았다.
{{{#!folding [ 평가 지표 및 평가 방식 펼치기 · 접기 ] 파일:평가지표.png
파일:평가지표 2.png
파일:평가지표 3.png
}}} ||

2.4. 지원 및 최종 결과

2019년도 선도사업에는 총 32개교가 지원하였고, 최종 3개 학교가 선정되었다.
2019년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지원
(32개교)
가천대, 강원대, 경기대, 경북대, 경상대, 군산대, 순천향대, 신한대, 아주대, 연세대(국제), 연세대(미래), 인천대,
전남대, 전북대, 창원대, 충남대, 충북대(오창), 한남대, 한밭대, 한양대(ERICA), 홍익대[2]
서면평가 통과
(9개교)
가천대, 강원대, 경북대, 전남대, 창원대, 연세대(국제), 연세대(미래), 한남대학교, 한양대(ERICA)
최종 선정
(3개교)
강원대학교, 한남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파일:캠퍼스혁신파크1기.jpg


3개 대학의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 계획을 살펴보면,

강원대에는 500억원의 사업비가 책정됐다. 혁신파크는 부지 6만6500㎡, 건물 연면적 5만950㎡(4개동)의 규모로 신축된다. 2022년까지 바이오헬스케어/에너지 신산업 등의 기업입주를 위한 플랫폼 혁신센터를 1단계로 구축한다. 그리고 지역발전의 거점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사회혁신센터, 문화혁신센터, 생활혁신센터 등 3개동을 2단계 조성할 계획이다.

한남대는 1단계 사업으로 424억원이 투입되며, 부지 2만1000㎡, 건물 연면적 2만3820㎡(2개동)[3]이 활용된다. 2022년까지 기계/금속 바이오/화학 지식서비스 ICT 중심의 기업들이 입주할 수 있는 산학협력 HUB동 2개동을 신축하고 서비스동 2개동 신축에 LH공사, 민자유치 등을 통해 최대 1000억원까지 투입하여 주거와 문화, 편의시설을 조성한다. 2025년까지는 2단계 사업을 통해 연결육교와 산학협력동 3개동을 조성 할 계획이다.

한양대(ERICA)의 사업규모가 압도적이다. 한양대(ERICA)에는 6,900억원의 사업비가 책정됐다. 혁신파크 규모는 부지 18만6848㎡, 건물 연면적 98만4826㎡에 달한다. 2022년까지는 IT와 첨단부품소재, 스마트제조혁신 기업 공간을 조성/유치하고 2025년까지는 주거 문화 복지시설을 조성한다. 2030년까지는 BT/CT와 바이오생명공학/의료/미디어문화금융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2.5. 선도사업 경과

2019년 11월 19일 국토교통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산업입지법) 입부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었다. 이 개정된 산업입지법에는 ①캠퍼스 혁신파크 조성에 관한 특례 신설, ②대학, 과학기술원 등을 산업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에 추가, ③산업단지 지정시 학교법인의 기본재산 처분허가(교육부)에 관한 사항이 담겨있다. 이번 법 개정으로, 현행 규정상 대학 설립주체 외에는 대학 내 산업시설, 공공주택 등을 지을 수 없으나, 캠퍼스 혁신파크는 사업시행자나 입주기업도 대학 내 산업시설 등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

2020년 8월과 9월까지 강원대, 한남대,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LH와 체결을 완료하고, 각종 기업입주시설과 창업지원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을 진행한다.

2020년 11월 강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1단계 사업인 산학연 혁신 HUB 조감도가 공개되었으며, 12월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되었다. 2021년 상반기까지 세부설계를 마친 후 2022년 3월 17일 기공식이 이뤄졌으며 2024년 2월 5일 준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파일:캠퍼스 혁신파크 산학연 혁신 HUB.jpg
강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산학연 혁신 HUB 조감도

2020년 8월 한남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1단계 사업 중 산학연 혁신 HUB동 조감도가 공개되었으며, 2020년 12월 7일에 착공하여 2022년 12월에 준공 예정이다.
파일:한남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산학연 혁신 HUB동 조감도.png
한남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산학연 혁신 HUB동 조감도

2020년 10월 국토교통부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내 도시첨단산업단지 1단계 조성사업 계획을 승인하였고, 12월에 착공하여 2022년 준공 예정이다. 기존 대학 부지인 자연녹지지역은 용적률 100% 제한이 있지만, 이번에 산업단지로 지정된 교지들의 용적률은 400%로 변경돼 최대 4배 밀도까지 활용 가능하다.
파일:한양대 ERICA 캠퍼스혁신파크 조감도.jpg
한양대학교(ERICA)의 에리카 이노베이션 파크(EIP, ERICA Innovation Park) 조감도
한양대학교 ERICA 혁신파크에는 한양대 병원, 카카오 데이터 센터, 인테그리스 반도체 연구센터 등 대규모 연구시설이 집중 입주된다.

3. 2021년 캠퍼스 혁신파크 2기

2019년도 선도사업에 이어 2021년 캠퍼스혁신파크 사업에 참여할 대학 두 곳을 신규 모집한다. 정부는 3월 말 최종 두 개 대학을 선정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학은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비와 기업입주 공간으로 활용될 ‘산학연 혁신허브’ 건축비 일부를 국비(수도권 약 95억원, 비수도권 약 190억원)로 지원받을 예정이다.

위의 2019년 공모와 비교해 2021년 공모에서 달라진 점은
1. 도심 내 대학이 충분한 부지확보가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해 대학 내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는 경우를 허용함.[4]
2. 19년 때와 달리 한국토지주택공사외에도 지역실정 등을 적극반영할 수 있도록 지방공사 등 다른 공공기관과 공동 사업시행 가능함.

2021년 진행되는 평가 지표 및 방식의 경우는 2019년에 비해 몇 가지가 바뀌었다.
1. 산업단지로서의 개발 타당성 지표의 배점이 30점으로 증가
2. 지자체의 행,재원적 지원의지 지표의 배점이 15점으로 증가
3. 선도사업의 조기활성화 가능성 지표 삭제

3.1. 지원 및 최종 결과

2021년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
지원
(23개교)
서울대(평창), 연세대(미래), 단국대(천안), 부산대, 부경대, 경북대, 전남대, 전북대, 가천대, 순천향대, 영산대, 경상대, 경성대, 선문대, 호서대, 대구대, 창원대, 세명대, 수원대, 극동대, 한서대, 동명대, 한라대, 충북대(오창)
서면평가 통과
(6개교)
가천대, 단국대(천안), 순천향대, 전남대, 경북대, 창원대
최종 선정
(2개교)
경북대, 전남대

파일:캠퍼스혁신파크2기.jpg

총 사업비는 경북대가 1204억원, 전남대가 1500억원이다. 국비 470여억원에 지자체·대학·기업에서 매칭한 예산을 더한 것이다.

경북대에는 AI·빅데이터·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기업들이 들어서거나 연구를 할 수 있는 공간과 문화·체육시설과 스타트업을 위한 건물을 만들 예정이다.
전남대는 IT·환경공학기술(ET)·생명공학기술(BT)·문화콘텐츠기술(CT) 분야를 특화하기 위해 기업공간·주거시설·창업지원 공간을 마련할 예정이다.

4. 2022년 캠퍼스 혁신파크 3기

공모 신청대상은 기존 공모와 동일하게 대학 및 산업대학이 해당된다. 사업부지 면적은 최소 1만㎡ 이상, 개발사업에 전문성을 갖춘 공공기관과 공동 사업시행이 가능해야 하는 등 공모 신청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평가지표는 도시첨단산업단지로의 개발 타당성(35점), 대학의 사업추진역량과 의지(30점), 기업유치 및 기업지원 기관의 참여 가능성(25점), 지자체의 행·재정적 사업지원 의지(10점) 등 4개로 구성됐다.

정부는 특히 올해의 경우 사업의 조기 추진을 위해 ‘산업단지로의 개발타당성’ 평가 배점을 5점 더 올린 35점으로 강화하고, 지역균형발전 측면을 고려해 수도권과 세종을 제외한 시도 13곳에 대해 균형발전가점을 부여한다.

4.1. 지원 및 최종 결과

2022년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
지원
(17개교)
가천대, 단국대(천안), 부경대, 부산대, 순천향대, 연세대(미래), 울산대, 원광대, 전북대, 제주대, 창원대, 충북대(오창), 호서대
서면평가 통과
(6개교)
가천대, 단국대(천안), 부경대, 순천향대, 전북대, 창원대
최종 선정
(2개교)
전북대, 창원대

파일:캠퍼스혁신파크3기.jpg

전북대의 혁신파크 총 사업부지 3만6580㎡로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30년까지다. 1단계 사업비는 510억 원으로 총 1110억 원이 투입된다. 전북대는 문화콘텐츠와 ICT, 바이오 융·복합을 주요 키워드로 내세웠다.

창원대 혁신파크 총 사업부지는 1만8000㎡로 사업기간은 전북대와 동일하다. 창원대 혁신파크 예산은 총 504억 원으로 스마트 제조, 탄소중립, 지능형방위·항공 분야가 주요 산업이 될 전망이다.

총 사업비 중 대학별로 국비 190억5000만 원을 지원한다.

5. 2023년 캠퍼스 혁신파크 4기

정부는 2022년 12월 공모를 거쳐 2023년 1월 신규 대학 2곳을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평가지표는 도시첨단산업단지로의 개발 타당성(35점), 대학의 사업추진역량과 의지(30점), 기업유치 및 기업지원 기관의 참여 가능성(25점), 지자체의 행·재정적 사업지원 의지(10점) 등 4개로 구성되며, 원활한 사업추진과 조기 성과 창출을 위해 대학 및 지자체의 추진의지‧추진계획 등에 대한 세부평가항목이 기존보다 강화된다. 또한, 지역균형발전 측면을 고려하여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균형발전지표 상 상위권인 울산, 인천, 경기 소속 대학은 가점 2점 부여받지 못한다.

5.1. 지원 및 최종 결과

2023년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
지원
(20개교)
아주대 , 충북대(개신) , 금오공대 , 부산대(양산) , 수원대 , 단국대(천안), 순천향대, 남서울대 , 인하대 , 대구대 , 대진대 , 목포해양대
서면평가 통과
(6개교)
단국대(천안), 부경대, 연세대(미래) , 충북대(개신) , 목포해양대
최종 선정
(2개교)
단국대(천안), 부경대

파일:캠퍼스혁신파크4기.jpg

단국대 천안캠퍼스의 혁신파크 총 사업부지 천호지 인근 2만1453㎡로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다. 국비, LH공사 선투자금, 충청남도와 천안시 지방비, 대학 대응자금 등을 더하여 536.2억여원 투입된다. 단국대는 충남권 산학연 혁신허브 기업입주공간을 조성하여 바이오헬스, 첨단부품·소재등을 대상으로 기업들을 지원 할 예정이고 2027년까지 관련 업종의 혁신기업 124개 및 연구소를 유치해 연매출 2000억 원, 누적 고용 1000명 이상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6. 정리

선정 기수 대학명 사업규모 사업비 유치업종
부지(㎡) 연면적(㎡)
1기
(2019년)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 66,500 50,950 504 억원 데이터, 바이오, 정밀의료, 디지털 치료기기, 에너지 신산업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 21,000 23,820 424 억원 기계, 금속, 바이오, 화학, 지식서비스, ICT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ERICA) 186,848 984,826 6,900 억원 IT, 첨단부품소재, 스마트제조혁신, BT, CT, 바이오, 의료
2기
(2021년)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 32,000 22,000 1,204 억원 의료기기, 의약품 제조, 첨단 제조, 컴퓨터 프로그래밍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 35,609 22,350 1,500 억원 IT, 환경공학기술(ET), 생명공학기술(BT), 문화콘텐츠기술(CT)
3기
(2022년)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 36,580 22,300 1,110 억원 문화콘텐츠, ICT, 바이오융복합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창원대 18,000 22,490 504 억원 스마트제조, 탄소중립, 지능형 방위, 항공
4기
(2023년)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천안) 21,453 19,997 536.2 억원 첨단 부품·소재, 생명공학(바이오), 건강관리(헬스케어) 업종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 18,000 530 억원 지능형(스마트)해양수산, 파워반도체, 지능형건강관리(스마트헬스) 등


[1] 여기서 의미하는 캠퍼스는 분교, 이원화캠퍼스 모두를 총칭한 걸로 추정된다. 왜냐면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나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같은 이원화캠퍼스 뿐만 아니라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같은 분교도 신청했기 때문이다. [2] 현재 알려진 건 20개교 뿐이다. 출처1 출처2(경기대), 출처3(전북대) [3] 1단계 사업 중 서비스동 2개동을 제외한 산학협력 HUB동 2개동 기준 [4] 단 기존 건축물 대지면적은 전체 산업단지 면적의 50%미만이어야 하며 사업취지에 맞게 활용되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