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7:55:45

캐나다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캐나다시라소니)
Canada lynx
파일:Canadian_lynx_by_Keith_Williams.jpg
학명 Lynx canadensis
Kerr, 1792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고양이과Felidae
아과 고양이아과Felinae
스라소니속Lynx
캐나다스라소니L. canadensis
아종
  • 본토캐나다스라소니(L. c. canadensis)
  • 북극캐나다스라소니(L. c. mollipilosus)
  • 뉴펀들랜드캐나다스라소니(L. c. subsolan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설명2. 특징3. 생태
3.1. 극도로 특화된 포식자3.2. 천적 및 경쟁 관계
4. 기타

[clearfix]

1. 설명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고양이과 동물, 스라소니의 가까운 친척이다.

2. 특징

몸길이 75~106cm에 키 48~56cm, 무게는 일반적으로 9~10kg이다. 드물게 5kg밖에 안되는 암컷이나 15~18kg쯤 나오는 초대형 수컷도 있다. 가까운 친척인 스라소니에 비하면 절반정도밖에 안 된다.

이런 작은 몸집에 비해 발이 매우 큰데, 이는 눈이 많은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기 때문에 체중을 분산시켜 가볍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진화한 것이다.

울음소리가 사람 비명소리에 가깝게 들리기도 한다.

3. 생태

아한대 기후에 의존하기 때문에 비교적 북방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캐나다의 대부분 지역에서 서식하나 중부의 초원과 온타리오 남부에서는 분포하지 않는다. 미국에서는 주로 알래스카에 서식하며, 그 외에는 서부의 로키산맥을 따라서 콜로라도까지[1], 동쪽에서는 미네소타 북부와 뉴잉글랜드에서 서식한다. 숲에 의존하나 숲이 군데군데 개방되어 관목이 무성한 장소에서 대부분 살아간다.

야행성이라서 주로 밤에 활동한다.

3.1. 극도로 특화된 포식자

주요 먹이, 아니 사실상 거의 유일한 먹잇감은 눈덧신토끼이며 식단의 90% 이상을 차지한다.[2] 따라서 캐나다스라소니의 개체수는 눈덧신토끼의 수에 큰 영향을 받으며, 상술한 분포와 서식지 역시 눈덧신토끼의 분포와 서식지에 정확히 일치한다.

눈덧신토끼 외에는 설치류[3], , 어류도 사냥하지만 주식은 아니다. 자신보다 더 작은 붉은여우를 사냥하기도 한다.

자신과 비슷한 크기나 자신보다 더 큰 먹이를 사냥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겨울에 사냥감이 줄어들고 눈밭에서 발굽동물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경우는 흰꼬리사슴을 드물게 사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예외적인 케이스이며, 일반적으로 캐나다스라소니는 발굽동물이나 그 새끼들은 노리지 않는다.[4]

3.2. 천적 및 경쟁 관계

천적으로는 퓨마 불곰, 늑대가 있다. 그 외에도 코요테, 붉은스라소니와도 경쟁 관계이다. 울버린은 경쟁자이자 동시에 천적이다.

피셔와는 서로를 죽일 수 있는 경쟁자이나 캐나다스라소니가 조금 더 밀리며, 사냥당하는 경우도 의외로 흔하다.[5]

4. 기타

파일:Periodic-fluctuations-of-rabbit-lynx-and-wolverine-in-Canada-1820-1914-Hewitt.png
  • 고등학교 생명과학1의 포식과 피식 단원에서 예시로 자주 나오는 동물이다. 눈덧신토끼, 캐나다스라소니와 울버린의 주기적 변동성 그래프(Periodic fluctuations of rabbit, lynx, and wolverine in Canada)인데,[6], 눈덧신토끼의 개체수가 변함에 따라 포식자의 수가 어떻게 변하고, 그에 따라 눈덧신토끼의 수는 또 어떻게 변하는지 잘 보여준다. 예시로 나올 때는 원본 그래프를 간략화하여 울버린이 빠지고 포식자 캐나다스라소니의 그래프와 피식자 눈덧신토끼의 그래프를 겹쳐 놓는다. 그러나 불행히도 교과서에는 이 그래프가 아예 다른 종인 스라소니에 관한 정보라고 잘못 나오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캐나다스라소니와 스라소니가 같은 종이거나, 스라소니가 눈덧신토끼를 주식으로 하고 개체수가 주기적으로 변동한다고 잘못 알게 되어버렸다.[7]

[1] 고지대에서는 저온이 유지되므로 비교적 남쪽에서도 아한대 기후가 성립된다. [2] 이베리아스라소니 역시 굴토끼를 주식으로 하지만 캐나다스라소니는 그보다도 더 심하게 눈덧신토끼에 의존한다. [3] , 아메리카붉은다람쥐 [4] 많은 사람들이 스라소니속 4종 중 스라소니가 특이하게 크고 유일하게 큰 먹이 위주로 사냥한다는 점을 몰라, 스라소니의 식성을 나머지 3종에게 잘못 적용해 이들 역시 발굽동물이나 그 새끼의 주 포식자에 포함된다고 잘못 알고 있다. [5] 반면 붉은스라소니는 피셔에게 사냥당하기보다는 역으로 사냥할 때가 더 많다. [6] 캐나다의 생물학자 찰스 고든 휴이트가 캐나다의 야생 생태계를 연구하면서 기록한 그래프로, 1917년에 출판된 "The conservation of the wild life of Canada" 217 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7] 스라소니는 캐나다스라소니의 두 배 이상으로 크며, 따라서 노루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먹이를 주식으로 한다. 게다가 스라소니는 북아메리카에서는 살지 않기 때문에 눈덧신토끼를 만날 기회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