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17:58:14

초의선사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승려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각성 경순공주 경허 경헌
광언 기화 김연일 만공
명안 명연 무학대사 보우
불노 선수 설제 신미
영규 유일 유정(사명대사) 윤우
의엄 이동인 이회광 일옥(진묵대사)
지안 지탁 진희 청학
체정 초의선사 쾌선 태능
학열 학조 한용운 해안
혜희 휴정(서산대사)
}}}}}}}}} ||

1. 조선 후기의 승려2. 무협소설 난지사》, 《 무림천추》의 등장인물
2.1. 초의선사의 무공

1. 조선 후기의 승려

意恂, 1786 ~ 1866

법명은 의순(意恂)이지만 법호인 초의(草衣)가 더 잘 알려졌기에 보통 초의선사라고 부른다. 조선 정조 10년(1786)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태어났는데 아명은 우순(宇恂), 자는 중부(中孚)였다고 한다. 15세 되는 순조 즉위년(1800)에 남평 운흥사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1] 강진에 유배 왔던 다산 정약용에게 배우기도 했으며 추사 김정희와도 친교가 깊었다. 추사가 제주도에 유배 갔을 때도 위로차 찾아갔었다고 한다.

한국의 다례인을 거론할 때 가장 많이 꼽히는 인물 가운데 하나이며 1828년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지은 서(茶書)인 다신전과 동다송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내용은 찻잎 따기, 차 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 그 외 저서로 '초의집(草衣集)' 등이 있다.

대흥사의 13대 종사이다. 그래서 대흥사에 관련 유물이 많이 남아있다. 고종 3년(1866) 세수 81세, 법랍 65세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2]

2. 무협소설 난지사》, 《 무림천추》의 등장인물

소림사의 유명한 고승으로 난지사 무림천추 시점의 불가제일인 겸 천하 제일인이다. 현 소림사 방장 현공 대사의 사숙이다. 진소백 엽혼, 엽평의 스승이며 풍림서에 대항하는 단심맹을 이루는 주축이기도 하다.

매일도 금청청이 가지고 온 진소백의 편지를 받는 걸로 처음 모습을 드러낸다. 여기서 진소백이 초의 선사의 제자라는 게 밝혀진다.

종도 엽평의 치료를 끝내고 사라지자, 유유곡에 와서 엽평과 대면하며 엽평을 진소백과 같은 내제자로 받아들여 무공을 가르쳐주기로 약조한다. 그리고 엽평을 통해 전언을 진소백에게 전해준다.

자신의 제자 중 한 명이었던 엽혼을 처형하겠다고 새로 비응 방주가 된 심화절이 공포하자, 단신으로 비응방에 온다. 심화절은 풍림서의 행사에 거슬리는 초의 선사를 풍림서의 세력으로만 가득 찬 비응방으로 끌어들여 풍림서의 인원이 동시에 초의 선사를 추궁해 책임지라는 식으로 초의 선사가 자진해서 무공을 폐쇄하게 하려는 계획이었지만, 진소백이 사전에 풍림서의 인원을 개방 인물로 바꿔 쳐서 실패로 돌아간다.

결말에서 엽평에게 무공을 가르쳐주면서 그 자질에 감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자신이 과거에 가르쳤던 엽혼의 모습을 떠올린다.

무림천추에서 풍림서의 세력을 유인하기 위해 자진해서 풍림서에게 잡혔다가 부상을 입고 돌아온 진소백을 걱정하면서 불가의 대운공요상술로 진소백의 끊어진 팔 쪽의 근맥을 고쳐준다.

신주평에서 일어난 혈왕교의 재림, 흑혈산의 혈마단과의 싸움에 참여해 활약했지만, 흑혈산주 암흑호 조탐의 손에 사망한다. 죽은 뒤에 진소백의 꿈속에서 엽혼과 함께 나타나 마음의 변화에 따라 우주의 모든 변화가 스스로 일어나는 경지에 대해 언급하며 이를 깨달으면 본래 잊어버려야 할 꿈속에서 한 대화도 다시 기억해낼 거라는 말을 남긴다.

2.1. 초의선사의 무공

  • 보리천승공 - 달리 천승공이라고도 부르며 불타가 사마를 제압하는 형상을 본떠 만든 무공. 이 무공으로 초의선사는 무림을 독보했었다. 무림천추에서는 보리금승공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대운공요상술 - 불문의 요상술로 끊어진 근맥조차 다시 이어줄 수 있을 정도로 효능이 뛰어나다.


[1] 적어도 인터넷 검색으로는 초의선사의 속세시절 본명이나 자가 정확히 무엇인지 헷갈린다. 속세 시절의 본명이 의순(意恂)이라고 하는 글들도 있어서 검증이 필요하다. [2] 여기서 세수(歲壽)는 일반적인 한국식 나이, 법랍(法臘)은 구족계를 수계한 해를 1년으로 쳐서 헤아리는 승려용 나이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