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별자리{{{#!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
아르고 P |
}}}}}}}}}}}} |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
||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
직각자자리 Norma / Nor |
|
|
|
학명 | Norma |
약자 | Nor |
주요 별 수 | 4 |
가장 밝은 별 | γ2 Nor (4.01 등급) |
가장 가까운 별 | 100 광년 내 없음 |
인접 별자리 | 이리자리, 컴퍼스자리, 남쪽삼각형자리, 제단자리, 전갈자리 |
관측 가능 여부 | △ |
직각자자리자리의 대한민국 내 관측 가능 여부 | |
지역 | 관측 여부 |
수도권,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내륙부분, 전라북도 | △* |
전라남도, 부산, 경상남도 남해안 | △** |
제주도 | △*** |
* 남해안 지방을 제외한 곳에서는 이론상 -52도선까지 관찰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별자리의 중부지역인 -50도선에 위치해 있는 직각자자리 감마1,2 이하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 남해안 지방에서는 이론상 NGC 6067이 땅에 정말 가까이 위치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지평선 위에 위치하게 되는 시간은 불과 1시간에 불과하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중부지역과 동일하다. *** 제주도에서는 이론적으로 -56도선까지 관찰할 수 있으나 현실적인 관측한계선은 NGC 6067등이 위치해 있는 -55도선이다. |
[clearfix]
1. 개요
Norma, Nor전갈자리와 센타우루스자리 사이에 있는 작은 별자리. 남반구에 위치해 있다.
2. 상세
[[직각자자리#상세|직각자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직각자자리 알파 N Sco |
직각자자리 베타 H Sco |
감마성 직각자자리 감마 1· 2 γ Nor1·2B |
델타성 직각자자리 델타 δ Nor |
엡실론성 직각자자리 엡실론 ε Nor |
|
제타성 직각자자리 제타 ζ Nor |
에타성 직각자자리 에타 η Nor |
세타성 직각자자리 세타 θ Nor |
이오타성 직각자자리 이오타 1· 2 ι Nor1·2 |
카파성 직각자자리 카파 κ Nor |
|
람다성 직각자자리 람다 λ Nor |
뮤성 직각자자리 뮤 μ Nor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
|||||
직각자자리에는 플렘스티드 명칭이 부여되지 않았다. | |||||
변광성 명칭 순 | |||||
직각자자리 R |
직각자자리 S |
직각자자리 T |
직각자자리 RS |
직각자자리 RT | |
직각자자리 RZ |
직각자자리 TW |
직각자자리 IM |
직각자자리 QU |
직각자자리 QV | |
직각자자리 QX |
직각자자리 V343 |
직각자자리 V346 |
직각자자리 V347 |
직각자자리 V360 | |
직각자자리 V365 |
직각자자리 V367 |
직각자자리 V368 |
직각자자리 V378 |
직각자자리 V381 | |
그 외 직각자자리에 속한 항성 |
}}}
- [ 심원천체 ]
- ||<width=9999><-5><nopad>용골자리-궁수자리 팔 천체||
틀:별자리 · 직각자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이 별자리의 다른 이름으로 '수준기자리'가 있는데, 이는 이 별자리의 창시자인 라카유가 명명 당시 'Norma et Regula('삼각자와 자)'라고 이름지은 것이 이후의 어느 성도에서 프랑스어로 '수준기[1]'로 오역된 것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성도상의 그림으로 보면 수준기보다는 원래의 이름인 자(직각자)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해 보인다.
본래는 밝은 별이 몇 개 있었으나, 라카유 이후로 경계가 변경되면서 라카유 당시에 알파성과 베타성으로 정해진 별들이 전갈자리로 자리를 옮기는 바람에 알파성과 베타성을 잃고 어두운 별들만 남았다.[2]
3. 심원천체
가시광선 파장에서 관측한 직각자자리 주요 별 지역(DSS) | 적외선 파장에서 관측한 직각자자리 주요 별 지역(AllWISE) |
- 적외선 천체들과 천체들의 위치, 거리에 대한 정보는 #을 참고하였다.
은하수가 지나가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어 많은 천체들이 위치하고 있다. 먼저, 콜드웰 목록에 포함되는 산개성단인 직각자자리 S 성단과 직각자자리 영역 전체에서 가장 밝은 겉보기등급을 가지고 있는 산개성단인 NGC 6067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NGC 6167, NGC 6134, NGC 6152등의 산개성단과 구상성단 NGC 5946, 용의 알 성운으로도 불리는 작은 발광성운인 NGC 6164[3]등을 관측할 수 있다.
여기까지만 보면, 직각자자리는 산개성단 몇개에 구상성단 하나 + 작은 발광성운 하나가 전부인 별 볼일 없는 별자리에 불과하겠지만 은하 전체적 관점에서 직각자자리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별자리이다. 직각자자리 방향에는 오리온자리 팔- 용골자리-궁수자리 팔-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 직각자자리 팔의 무려 4개나 되는 나선팔이 겹쳐져 있다. 따라서 태양계에 위치한 우리는 가시광선으로는 불과 1,000 ~ 4,000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궁수자리-용골자리 팔까지밖에 관찰할 수 없으나 실제로는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너머에 위치해 있어 성간소광이 심하게 일어나 관측이 불가능한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과 직각자자리 팔의 수많은 천체들이 직각자자리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성간 소광 효과를 최소화해주는 적외선 파장으로 직각자자리 부근을 촬영하면 4개의 나선팔에 위치한 천체들이 서로 뒤엉켜 있는 직각자자리의 진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중 은하계 좌표상 G330~G333에 해당하는 부분은 밝은 성운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각 성운간의 관계나 관련성도 복잡하게 얽혀 있어 따로 하위문단으로 분리하여 설명하겠다.
직각자자리 팔(Norma)~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Near Centaurs)에 대한 분광학적 측정 결과 |
|
GMC G333.625−0.125 및 기타 천체들의 위치(분홍색)와 GMC G331.500−0.125 및 기타 천체(빨간색)의 은하상 위치 |
먼저 용골자리-궁수자리 팔에는 상술한 NGC 6067등의 천체들과 RCW 105등이 위치하고 있다. 그 너머에는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이 위치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에는 GMC G333.625−0.125 또는 RCW 106으로 알려진 대규모의 분자운 복합체가 위치하고 있는 R103[4] OB 성협과 RCW 94- RCW 97- RCW 99등이 위치해 있는 거대한 분자운 복합체가 존재하고 있다.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 너머에는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나선팔중 하나인 직각자자리 팔이 위치해 있다. 이 직각자자리 팔에서는 GMC G328.250+0.375, GMC G331.500−0.125, GMC G336.875+0.125, GMC G337.750+0.000으로 명명된 4개의 폭발적 항성생성구역이 발견되었다.
우리은하 외부천체로는 약 1억 5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무거운 은하단인 직각자자리 은하단이 존재한다. 직각자자리 은하단은 국부 초은하단인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초은하단 핵부분인 거대 인력체의 구성원이자 거대 인력체의 중심에 위치한다.
3.1. G326 ~ G329 지역[5]
G326 ~ G329 지역의 적외선 사진(GLIMPSE/MIPSGAL by Spitzer) |
- 흰색: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RCW 94,97,99 등[6])
- 빨간색: 직각자자리 팔
3.2. G331 ~ G333 지역[7]
G331 ~ G333 지역의 적외선 사진(GLIMPSE/MIPSGAL by Spitzer) |
- 핑크색: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약 3,600 pc)
- 보라색: 직각자자리 팔(6,600 pc)
- 빨간색: 직각자자리 팔(약 7,500 pc)[8]
직각자자리에는 많은 적외선 소스 및 전리수소영역이 존재하지만 직각자자리 내부 지역중에서 가장 복잡한 지역은 은하 좌표계상 G331 ~ G333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해당 지역에는 우리은하 전체에서 순위급으로 폭발적인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는 2개의 분자운 복합체와 분리된 전리수소영역들이 가느다란 성간물질 필라멘트로 연결되어 있는 분자운 복합체 하나가 서로 뒤엉켜 있는 복잡한 지역이다.
먼저 가까이 위치해 있는 GMC G333.625−0.125(RCW 106)는 약 300 광년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약 3,600 파섹 떨어져 있는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분자운 복합체와 관련된 지역은 GMC G333.2-0.1 , G332 고리 지역등이 있다.
2번째로 G331~G332 분자운 복합체는 여러개의 분리된 전리수소영역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분자운 복합체로 GMC G333.625−0.125와 중간에 위치한 GMC G332.15-0.5 지역, G332 고리 지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물론 해당 지역 역시 GMC G333.625-0.125와 동일하게 약 3,600 파섹 떨어져 있는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에 위치하고 있다. 확실하게 분자운 내부에 위치한 성운들은 GMC G330.9-0.4, GMC G331.1-0.5, GMC G331.3-0.3이 있으며 그외에도 2~3개의 후보 성운이 존재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
3번째로 GMC G331.5-0.1[9]은 G331~332 지역의 후경에 위치해 있는 분자운 복합체로 실제로는 약 7,500 파섹 떨어져 있는 직각자자리 팔에 위치해 있어 G331~332 지역과는 별개의 천체이다. 우리은하 중심에서 2번째로 가까운 팔인 직각자자리 팔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두 천체보다 약 2배 이상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거의 동일한 시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크기도 두 천체의 2배인 600 광년에 달한다. 물론 별 형성률도 상술한 두 천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이외에도 G331 ~ G332 분자운 복합체, GMC G331.5-0.1 사이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GMC G331.0-0.15[10]와 논문에서 별다른 언급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G331 ~ G332 분자운 복합체 근처에 위치해 있는 GMC G331.35-0.0과 GMC G332.26-0.2가 G331 ~ G333 지역에 위치해 있다.
[1]
수평선이나 수평면을 구하는 데 사용되는 측량기구
수준기의 일종인 Jacob's staff [2] 단, 이때 잃은 별들이 현재의 전갈자리 N과 전갈자리 H인데 남아있는 직각자자리 감마성보다 겉보기 등급이 더 어두우므로 밝은 별을 잃은 것은 아니다. [3] 겉보기로만 보면 초신성잔해로 보이나, 실제로는 발광성운이다. [4] RCW 103 성운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5] 은하 좌표계 기준 [6] 흰색으로 표시된 성운들의 각각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된 바는 없지만, 서로 가스 필라멘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적외선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거리 추정값에 의거해 예측한 은하상 위치도 매우 비슷해 이들 성운들은 사실상 같은 지역에 위치해 있는 성운 복합체 구조를 띄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7] 은하 좌표계 기준 [8] 동쪽에 위치한 거대한 분자운(흰색 타원으로 표시된 지역)도 직각자자리 팔에 위치한 GMC G331.5-0.1 지역과 관련되어 있다. [9] 원래 명칭은 GMC G331.500−0.125이다. [10] 20세기에는 추정 거리가 3,600 파섹으로 측정되어 G331-G332 분자운 복합체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식별되었지만 2010년대에 진행된 관측에서 스펙트럼 분석 결과와 3,600 파섹이라는 추정값이 서로 상충되어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후 2023년에 GMC G331.0-0.15 분자운 복합체 단독으로 이루어진 연구에서 분광학적 측정 결과 6,600 파섹에 위치하고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현재는 GMC G331.0-0.15가 위 3가지 분자운 복합체들과는 별개의 천체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수준기의 일종인 Jacob's staff [2] 단, 이때 잃은 별들이 현재의 전갈자리 N과 전갈자리 H인데 남아있는 직각자자리 감마성보다 겉보기 등급이 더 어두우므로 밝은 별을 잃은 것은 아니다. [3] 겉보기로만 보면 초신성잔해로 보이나, 실제로는 발광성운이다. [4] RCW 103 성운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5] 은하 좌표계 기준 [6] 흰색으로 표시된 성운들의 각각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된 바는 없지만, 서로 가스 필라멘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적외선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거리 추정값에 의거해 예측한 은하상 위치도 매우 비슷해 이들 성운들은 사실상 같은 지역에 위치해 있는 성운 복합체 구조를 띄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7] 은하 좌표계 기준 [8] 동쪽에 위치한 거대한 분자운(흰색 타원으로 표시된 지역)도 직각자자리 팔에 위치한 GMC G331.5-0.1 지역과 관련되어 있다. [9] 원래 명칭은 GMC G331.500−0.125이다. [10] 20세기에는 추정 거리가 3,600 파섹으로 측정되어 G331-G332 분자운 복합체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식별되었지만 2010년대에 진행된 관측에서 스펙트럼 분석 결과와 3,600 파섹이라는 추정값이 서로 상충되어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후 2023년에 GMC G331.0-0.15 분자운 복합체 단독으로 이루어진 연구에서 분광학적 측정 결과 6,600 파섹에 위치하고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현재는 GMC G331.0-0.15가 위 3가지 분자운 복합체들과는 별개의 천체로 분류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