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1:19:58

중저모음


모음의 분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ee,#033> 전설 근전설 중설 근후설 후설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평순 원순
i y ɨ ʉ ɯ u
근고 ɪ ʏ ɪ̈ ʊ̈ ɯ̽ ʊ
중고 e ø ɘ ɵ ɤ o
ø̞ ə ɤ̞
중저 ɛ œ ɜ ɞ ʌ ɔ
근저 æ œ̞ ɐ
a ɶ ä ɒ̈ ɑ ɒ
}}}}}}}}} ||
1. 개요2. 조음 방법
2.1. 전설 평순 중저모음2.2. 전설 원순 중저모음2.3. 중설 평순 중저모음2.4. 중설 원순 중저모음2.5. 후설 평순 중저모음2.6. 후설 원순 중저모음

[clearfix]

1. 개요

/ Open-mid vowel[1]

혀의 높이를 근저모음보다는 높고 중모음보다는 낮게 해서 발음하는 모음. 한국어에서 여기에 해당하는 모음은 //[ɛ], //[ʌ̹][2]가 있다.

2. 조음 방법

2.1. 전설 평순 중저모음

[ruby(전설 평순 중저모음, ruby=open-mid front unrounded vowel)]

ɛ

혀 높이 <colbgcolor=#ddd,#212121> 중저모음
혀 기울기 전설모음
입술 모양 평순모음
r화 모음 ɛ˞

엡실론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원칙적으로는 가 이 발음이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는 'ㅐ'와 'ㅔ'의 구별이 희미해진 탓에 ㅐ는 중고모음 ㅔ[e]와 합쳐져 중모음 [e̞]로 음가가 변화하고 있고, 기존의 [ɛ] 발음은 일부에서만 실현되어 의미 변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변이음이다.

영어의 e발음도 대부분이 /ɛ/로 나온다. 때문에 한국어의 ㅐ와 ㅔ가 전부 같게 들리게 된다.

독일어에서는 단모음 e, ä 및 장모음 ä가 이 발음이다.

2.2. 전설 원순 중저모음

[ruby(전설 원순 중저모음, ruby=open-mid front rounded vowel)]

œ

혀 높이 <colbgcolor=#ddd,#212121> 중저모음
혀 기울기 전설모음
입술 모양 원순모음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얼핏 들으면 의 중간 발음처럼 들린다. 프랑스어에서는 'fleur', 'ordinateur' 등의 'eu'에서 나타나며, 중국어에서는 月(yuè),疟(nüè),雪(xuě)처럼 운모 üe에서 앞에 있는 ü[3]/ɥ/의 원순성 때문에 /e/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간혹 영어에서 외래어를 차용할 때 /ʌ/를 이렇게 바꿔 발음하기도 한다.

2.3. 중설 평순 중저모음

[ruby(중설 평순 중저모음, ruby=open-mid central unrounded vowel)]

ɜ

혀 높이 <colbgcolor=#ddd,#212121> 중저모음
혀 기울기 중설모음
입술 모양 평순모음
r화 모음 ɝ

3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빼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현대 미국식 영어의 /ʌ/가 이 발음이다. 전통적인 영어에서는 girl의 ir같이 /ɜːr/에서 나타났지만 현대 미국식 영어에서는 /ɚ/과 같은 음성이라고 하며, 현대 용인발음에서는 /ə/와 장단으로만 구별한다.

2.4. 중설 원순 중저모음

[ruby(중설 원순 중저모음, ruby=open-mid central rounded vowel)]

ɞ

혀 높이 <colbgcolor=#ddd,#212121> 중저모음
혀 기울기 중설모음
입술 모양 원순모음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빼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의 와 비슷한데 몽골어의 o에서 이소리가 난다. 양순 전동음 [ʙ]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다. 평순 후설 중저모음 [ʌ]하고는 이음 관계이다. 기호가 없을 때는 ɔ̈로 표기하기도 했다.

2.5. 후설 평순 중저모음

[ruby(후설 평순 중저모음, ruby=open-mid back unrounded vowel)]

ʌ

혀 높이 <colbgcolor=#ddd,#212121> 중저모음
혀 기울기 후설모음
입술 모양 평순모음
r화 모음 ʌ˞

혀의 최고점을 뒤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기호는 대문자 A에서 왔는데, 흔히 "Turned V"라 부르고 유니코드에도 그렇게 등록되어 있다.

한국어의 가 이 소리를 다소 원순화한 발음([ʌ̹])이다. 이 때문에 외국인이 한국어의 ㅓ를 ㅗ[o]와 비슷하게 듣는 경우가 있다.[4] 피카르디 지방의 프랑스어 폐음절의 o도 이 소리.

현대 영어의 /ʌ/는 북미 영어에서는 중설화된 [ɜ]로, 남부 잉글랜드 방언에서는 'ㅏ'에 가까운 [ɐ]로 소리가 난다.[5] 또한 일부 힌디어 화자들이 a를 ʌ로 발음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이 발음이 현대 영어에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닌데, 미국식 영어의 이중모음 /oʊ/([ʌʊ])에서 o가 ʌ로 발음되고, 캐나다 영어의 이중모음 /aʊ/([ʌʊ])에서 a가 ʌ로 발음된다. 그래서 미국인들이 캐나다인들은 'about'을 'aboat'[6]로 발음한다면서 놀리기도 한다.

2.6. 후설 원순 중저모음

[ruby(후설 원순 중저모음, ruby=open-mid back rounded vowel)]

ɔ

혀 높이 <colbgcolor=#ddd,#212121> 중저모음
혀 기울기 후설모음
입술 모양 원순모음
r화 모음 ɔ˞

혀의 최고점을 뒤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위의 Turned V와는 달리 이 기호는 Turned C가 아닌 Open O라고 불린다.

표준 한국어에는 이 발음이 없으나, 제주어에는 본래 후설 원순 저모음이었던 아래아의 흔적이 이 발음으로 변화하고 있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 발음을 로 적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로 적히는 경우도 종종 있고 로 적히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이를 테면, 커피[kɒfi]가 있다.[7]

북한 방언 화자가 ㅗ를 이 음가로 발음한다. 통념과는 달리 ㅓ를 ㅗ처럼 발음하는 경우는 드물고, ㅗ가 ㅓ와 비슷하며 사투리에 따라서는 구별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김문철 문서의 북한군의 말을 듣다 보면 '뼈다귀도 추리지 못하게'가 '뼈다귀도 추리지 머다게', '모조리 불살라'가 '머저리 불살라'로 들리기도 한다. 문화어는 모음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으나 음향음성학적 연구에서는 혀의 위치가 더 낮아 표준어에 좀 더 가깝게 발음한다.

북미 영어(North American English)에서는 이 음소로 발음되던 단어들이 점차 후설 저모음인 /ɑ/(비원순)혹은 /ɒ/(원순)로 수렴하는 음운변화를 보이고 있다. 전자는 미국 서부와 중서부, 후자는 미국 동북부나 북부( 오대호 주변), 캐나다 등에서 자주 발견된다.

독일어의 단모음 o, 영어의 wall의 a, 태국어의 เ-าะ(단음), -อ(장음)에서 이 소리가 난다.
[1] 입을 더 벌린 중모음이란 뜻이다. [2] [ʌ\]~[ɔ\] [3] 성모가 없을 때 yu, j,q,x 뒤에서는 u [4] 'ㅓ'를 전사할 방도가 없는 일본어에서 'ㅓ' 발음을 お단으로 전사하는 것이 대표적. [5] 전통적인 북부 잉글랜드 방언에선 음소 /ʌ/가 존재하지 않았다. 현대에는 미디어의 영향으로 /ʌ/발음 자체는 가능하지만 대다수의 북부 화자들은 여전히 [ʊ\]로 발음한다. 그래서 북부 잉글랜드 억양의 영국인들이 말하는 것을 들어보면 love는 '로브', one은 '우온', strut은 '스트롯'으로 들린다. 여기서 왜 'ㅜ'가 아니라 'ㅗ'인지 의문이 들 수도 있는데 음성 [ʊ\]는 중고모음인 한국어의 ㅗ([o\])와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6] 과장된 밈에서는 주로 aboot로 표기된다. 물론 실제로 aboot로 발음되지는 않고 그냥 밈이다. [7] 태국어 , 몽골어의 [ɔ\]는 '어'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