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9:22:54

에스토니아 중앙당

중앙당(에스토니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에스토니아 리기코구 로고.svg 에스토니아 리기코구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립 여당 [[에스토니아 개혁당|파일:에스토니아 개혁당 로고.png
개혁당
37석
]]
[[에스토니아 200|파일:에스토니아 200 로고.png
에스토니아 200
14석
]]
[[사회민주당(에스토니아)|파일:에스토니아 사회민주당 로고.png
사회민주당
14석
]]
야당 [[에스토니아 보수인민당|파일:에스토니아 인민보수당 로고.png
보수인민당
17석
]]
[[에스토니아 중앙당|파일:에스토니아 중앙당 로고.png
중앙당
6석
]]
[[이사마|파일:에스토니아 이사마 로고.png
이사마
10석
]]
재적
101석
}}}}}}}}}
파일:에스토니아 중앙당 로고.png
Eesti Keskerakond
한글명칭 에스토니아 중앙당
상징색
초록색
창당일 1991년 10월 12일
이념 사회자유주의
좌익대중주의[1][2]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좌파[3]
당사 Narva mnt. 31-M1, 탈린 10120
당 대표 미하일 컬바르트(Mihhail Kõlvart)[4]
당원 수 14,732명(2021년 기준)
기관지 Kesknädal
유럽 정당 유럽 자유민주연합
유럽의회 정당 리뉴 유럽
리기코구 의석 수
6석 / 101석
유럽의회 의석 수
1석 / 7석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역대 선거 결과

[clearfix]

1. 개요

에스토니아의 사회자유주의 정당이다.

2. 상세

에스토니아 SSR 말기에 결성된 인민 전선에서 나와서 만든 정당이다. 초기에는 농촌 중앙당과 구별하기 위해 인민중앙당이라도 불리기도 했다.

다른 정당들과 큰 차이가 있다면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들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인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지지율이 높다.

그럼에도 자유주의도 추구하다보니 강력한 중산층을 형성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경제적 자유주의 정책[5]을 바탕으로 좌파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동성결혼이나 트랜스젠더 권리 등 사회적으로 자유주의자들이 추구해온 전통적 의제에 있어 애매한 스탠스를 취하고 있어서[6] 사회자유주의적 원칙을 위반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언론이나 평론가들은 자유주의보다는 포퓰리즘 성향에 가깝다고 비판하고 있다.

자유주의 정당을 표방하나 자유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2024년 이후에 당 내 갈등을 놓고 탈당이 이어지고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

3.1. 리기코구 선거

중앙당 소속 총리가 집권하였을 때만 배경에 색을 넣었다.
연도 의석수 득표율 순위 집권
1992 15/101 12.2% 3위 비집권 (1992~1995)
1995 16/101 14.2% 2위 협동당, 농촌연합과 연정 (1995)
비집권 (1995~1999)
1999 28/101 23.4% 1위 비집권 (1999~2002)
개혁당과 연정 (2002~2003)
2003 28/101 25.4% 1위 비집권 (2003~2005)
개혁당, 인민연합과 연정 (2005~2007)
2007 29/101 26.1% 2위 비집권 (2007~2011)
2011 26/101 23.3% 2위 비집권 (2011~2015)
2015 27/101 24.8% 2위 비집권 (2007~2011)
사회민주당, 이사마와 연정 (2016~2019)
2019 26/101 23.0% 2위 보수인민당, 이사마와 연정 (2019~2021)
개혁당과 연정 (2021~2022)
비집권 (2022~2023)
2023 16/101 15.3% 3위 비집권 (2023~)

3.2. 유럽의회 선거

연도 의석수 정원[7] 득표율 순위
2004 1 6 17.5% 2위
2009 2 26.1% 1위
2014 1 22.4% 2위
2019 1 7[8] 14.4% 3위



[1] Tõnis Saarts. Persistence and decline of political parties: the case of Estonia. East European Politics, 2015, Vol. 31, No. 2. Lk 214 [2] 진보주의나 사회민주주의 정당은 아니지만 좌익대중주의로 분류된다. 애초에 사회자유주의=좌파자유주의이다. [3] 중도주의, 중도좌파, 좌익이라는 평가가 모두 존재한다. [4] 고려인 혼혈 출신이다 #. [5] 일반적인 수준의 경제적 자유주의를 지지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사회민주주의보다 경제적 개입주의 성향이 약하며 자유무역을 지지한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사회민주주의 정당 못지않는 소득재분배 정책을 펴서 좌파포퓰리즘 정당으로 분류된다. [6] 소위 더불어민주당 사회보수주의내지 문화적 보수주의 논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사회자유주의 정당인데 정작 사회적으로 리버럴하지 않다는 것이다. [7] 에스토니아에 배정된 의석 한정. [8] 브렉시트 이후로 에스토니아에 배정된 의석이 6석에서 7석으로 늘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