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131230><colcolor=#eee156> 주세혁 朱世爀|Joo Sae-hyuk |
||
출생 | 1980년 1월 20일 ([age(1980-01-20)]세) |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180cm, 68kg | |
학력 |
서울금호초등학교 (졸업) 대광중학교 (졸업) 대광고등학교 (졸업)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 무역학 99 / 학사) |
|
직업 |
탁구 선수 (오른손 셰이크핸드 수비 / 은퇴) 탁구 감독 탁구 행정가 |
|
소속 | <colbgcolor=#131230><colcolor=#eee156> 선수 |
대우증권-한국담배인삼공사-KT&G 탁구단 (1997~2005)[1] → 상무 탁구단 (2002~2005 / 군 복무) 삼성생명 탁구단 (2005~2017)[2] 한국마사회 탁구단 (2019~2021) |
코치 | 삼성생명 탁구단 (2018~2019)[3] | |
감독 |
대한민국 탁구 대표팀 (2022~2024)[4] 대한항공 여자 탁구단 (2024~ ) |
|
행정 | 대한탁구협회 (2022~? / 미디어 홍보위원장 겸 정책특보)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출신 감독. 역대 최고의 수비형 선수로 평가 받으며 인상적인 커트 능력 덕분에 깎신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2. 선수 경력
8세에 탁구를 시작했으며 2001년부터 역동적인 수비 폼으로 주목을 받았다. 2003년 세계 선수권에서 한국 남자 탁구 선수로는 최초로 결승에 진출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선수권은 올림픽과는 달리 중국 선수가 5명까지 출전하기 때문에 사실상 올림픽보다도 입상하기 더 힘든 대회라는 점에서 주세혁의 준우승은 한국 남자 탁구 역사에 남는 쾌거라 할 수 있다. 2003 세계 선수권 결승은 오스트리아의 베르너 슐라거와 주세혁의 대결로 펼쳐졌는데 중국 선수가 모두 탈락한 마지막 세계 선수권 대회로 남아 있다. 슐라거는 준결승에서 쿵링후이를, 주세혁은 8강에서 마린을 꺾고 올라갔다. 우승자인 베르너 슐라거는 비중국인 선수로는 마지막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다. 격년제로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중국은 2005년부터 모든 대회의 남자 단식 우승과 준우승을 휩쓸고 있다.당시 주세혁의 결승 진출은 세계 탁구계에 큰 충격이었는데, 1980년대 이후 세계 정상급 레벨에서는 자취를 감추다시피 한 수비 전형 선수가 가장 권위 있는 대회에서 입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전의 수비 전형 선수들과 달랐던 점은, 주세혁은 강력한 수비력과 더불어 간간이 나오는 포어핸드 드라이브의 완성도가 공격형 선수 못지 않은 상당한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연속된 커트 이후 순간적으로 나오는 드라이브를 통해 득점을 내는 것이 중요한 공격 루트였다. 중국도 주세혁의 커트 기술만큼은 세계에서 최고로 인정했으며 비록 우승 경력은 많지 않으나 꾸준히 세계 랭킹 20위 안에 들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2012년에는 본인의 최고 랭킹인 세계 랭킹 5위까지 오르며 한국의 실질적인 에이스 역할을 맡았다. 2017년 은퇴 전까지 세계 최고의 수비형 탁구 선수라는 호칭은 언제나 그의 몫이었다.
2.1. 은퇴 및 현역 재복귀
2000년대 한국 탁구를 이끌어 오던 오상은과 유승민이 차례로 은퇴하고 나서도 비교적 많은 나이까지 큰형의 역할을 맡아 오다가 국가대표로서는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끝으로 은퇴하였다. 탁구공이 플라스틱 재질인 ABS 볼로 바뀌면서 많은 회전을 통한 커트로 승부하는 주세혁에게는 매우 불리해졌고 실제로 볼 재질 변경 이후 성적이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그러나 수비 전형으로 세계 무대에서 톱 20의 최정상급 기량을 15여 년간 유지한 것만으로도 그의 꾸준함은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 비록 우승 경력이 많지 않지만 그것은 2000년대 중국의 3인방(왕리친, 왕하오, 마린), 2010년대의 3인방(마룽, 장지커, 쉬신)과 끊임 없이 전면 대결을 펼쳐야만 했던 그에겐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1990년대 쿵링후이나 류궈량의 경우는 모든 무대를 완벽히 지배한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쿵링후이와 류궈량은 세계 선수권을 한 번씩 우승했을 뿐이지만, 2000년대 들어와 왕리친(3회), 장지커(2회), 마룽(연속 3회)와 같이 중국 선수들의 지배력이 훨씬 강화되면서 주세혁과 같이 중국인이 아닌 선수들의 메이저 대회 입상은 더더욱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2012년 베체트병[5]을 선고받으면서도 꾸준히 정상급 기량을 유지했다는 점은 그의 정신력과 기량이 매우 대단하다는 점을 나타낸다.
한국마사회 남자 탁구단의 창단 멤버로 현역에 복귀했다.
2.2. 지도자 경력
친정 삼성생명 탁구단에서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코치로 활동했다.2022년에 탁구 대표팀 공모에 지원해 합격한 이후 남자부 감독을 맡고 있다. 2024 부산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단체전 4강까지 올라가는 등 선전하고 있다.
2024년 대한항공 여자 탁구단 감독에 임명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커트를 자유자재로 구사하여 어떠한 종류의 공이 와도 강한 백스핀과 함께 양 끝으로 보내준다. 커트의 회전수를 높이기 위해 팔이 그리는 반경이 크고, 공격하는 쪽의 공을 계속해서 받아내야 하기 때문에 뒤에서 대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좌우 앞뒤로 움직이는 양이 많고 풋워크 또한 상당히 빠르다. 훌륭한 수비 도중에 나오는 역습도 강력하고 통쾌했다.이러한 이유 때문에 주세혁의 탁구는 수비 탁구이면서도 탁구를 좀 친 사람들에게, 혹은 일반인에게도 화려하다라는 느낌이 든다. 탁구를 잘 모르는 일반인이 주세혁의 탁구 경기를 보고 주세혁 라켓을 사들고 탁구클럽에 간뒤 관장분에게 수비 탁구를 알려달라고 할 정도였다.[6]
수비 선수의 주요 득점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1. 서브 후 기습 3구 공격
2. 포핸드 핌플 인 러버와 백핸드 롱 핌플에서 나오는 커트의 구질과 회전량 변화로 상대방의 실수 유도
3. 커트 중 기회를 살려 역습
주세혁 선수는 이 모든 방면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여 주었다. 특히 그의 트레이드 마크로 부각되는 것은 3번으로, 큰 체격과 잘 다져진 기술로 역습이나 드라이브전을 벌일 때 상대에게 큰 위협이 되었다. 선수들이 공격을 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나 주세혁 선수의 훈련비중은 그 중에서도 상당한 편이다. 수비 선수도 결국 주동적인 득점을 위해서는 공격이라는 것을 직접 보여준 플레이어. 단지 전성기의 커트 수비의 안정성만 따진다면 주세혁 외에 꼽을 만한 이가 몇 있을 지도 모르나 플라스틱 볼 시대에 공수를 겸한 복합적 플레이로 주세혁만큼 한 선수가 있느냐 하면 생각해 내기 어려울 것이다.
세계 최고의 디펜더인 만큼 세계급 공격형 선수와 붙으면 명경기를 찍어내는 걸로 유명하다. 특히 마룽과의 게임에서는 우직하게 공격해 오는 창 VS 어떤 공격도 막아내는 방패의 경기를 만들어내어,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경기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7] 실제 경기가 듀스까지 끌고가는 2점 차이의 아슬아슬한 승부이면서, 역전패도 상당히 많았다.
실력에 비해서 상복은 별로 없다. 올림픽 같은 경우도 2012 런던 올림픽 단체전 은메달뿐이고 국제 대회에서도 은메달 이상을 받은 대회가 없다. 본인의 인터뷰에서 가장 아쉬웠던 시기를 꼽으라 하면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라고 답한 바가 있다.[8] 주세혁은 결국 2016년 ITTF 월드투어 크로아티아에 와서야 한국팀 후배 정영식을 결승에서 꺾고 단식 우승을 거머쥐었다. 대신 국내대회에서는 우승을 쓸고 다닌 것을 볼 수 있다. 유승민만큼 강력한 인상을 남기진 못했지만, 언제나 꾸준히 최선을 다했다.
4. 수상 기록
올림픽 | ||
은메달 | 2012 런던 | 단체전 |
세계 선수권 | ||
은메달 | 2003 파리 | 단식 |
세계 팀 선수권 | ||
은메달 | 2006 브레멘 | 단체전 |
은메달 | 2008 광저우 | 단체전 |
동메달 | 2001 오사카 | 단체전 |
동메달 | 2004 도하 | 단체전 |
동메달 | 2010 모스코바 | 단체전 |
동메달 | 2012 도르트문트 | 단체전 |
동메달 | 2016 쿠알라룸푸르 | 단체전 |
아시안 게임 | ||
은메달 | 2006 도하 | 단체전 |
은메달 | 2010 광저우 | 단체전 |
은메달 | 2014 인천 | 단체전 |
동메달 | 2010 광저우 | 남자 복식 |
동메달 | 2010 광저우 | 단식 |
동메달 | 2014 인천 | 단식 |
월드컵(단식) | ||
동메달 | 2011 파리 | 단식 |
유니버시아드 | ||
은메달 | 2001 베이징 | 남자 복식 |
동메달 | 2001 베이징 | 단체전 |
주니어 아시아 선수권 | ||
금메달 | 1997 파나지 | 단체전 |
동메달 | 1997 파나지 | 단식 |
5. 여담
- 초등학생 때 수비를 맡게 된 이유는 당시의 주세혁은 체력이나 집중력 등 능력이 평범한 선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격 전형은 운동 신경이 좋은 기민한 동료들에게 넘어가 버렸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 후에 잠재력이 터지며 최고의 수비수가 되었다.
- 2015년 12월 전국 선수권 남자 단식 8강전에서 주세혁보다 15살이나 연하인 장우진이 세트 스코어 3 대 0까지 앞서다가 주세혁의 신들린 듯한 수비 탁구에 농락 당해 남은 세트를 모두 내줘 3 대 4로 대역전패를 당하자 공을 부수고 라켓을 내동댕이치는 돌발 행동을 했다. 다음 날 장우진이 쭈뼛거리며 주세혁에게 용서를 빌자 주세혁은 "야! 나는 예전에 너보다 더했었어."라며 쿨하게 용서했다.
- 특기는 커트 디펜딩이며 매일 30분씩 연습한다고 한다.
- 탁구공이 플라스틱 공으로 바뀌면서 손해를 많이 봤다. 플라스틱 공은 종전의 셀룰로이드 공에 비해 표면이 매끈하기 때문에 스핀이 잘 들어가지 않는다. 높은 회전 수로 압도하는 주세혁 선수에겐 상당히 안 좋은 변화다. 이 변화가 준 영향으로 서효원 선수와 함께 출전한 대회에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에게 진땀승을 거두었다. 물론 둘 다 이겼지만 찜찜할 수밖에 없는 경기였다.
- 2021년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2 9화 율제탁구대회에서 핵의학과 펠로우로 출연했다.[9]
- 배우 이철민과 약간 닮았다.
[1]
2001년에 모기업이었던
대우증권이 탁구단을
한국담배인삼공사(現
KT&G)에 매각했다.
[2]
대우증권의 탁구단 매각과 한국담배인삼공사의 인수가 논란이 돼 법정까지 간 바 있다.
기사
[3]
여자부
[4]
남자부
[5]
구강을 비롯한 점막에 궤양이 지속적으로 생기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유전적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완치는 불가능하다.
[6]
물론 탁구클럽 관장분들은 이런 분들이 오면 "수비 탁구를 배우시려면 우선 공격이 돼야 하는데요"라는 답변을 해주신다. 실제로 주세혁 선수도 기회가 오면 드라이브를 몰아쳐 공수를 전환하기도 하고 풋워크나 기술들이 안정이 되지 않으면 수비 탁구를 배울 수 없는것도 사실이다. 뭐든지 순서가 중요한 법이다.
[7]
다만 전적상으론 그렇게 좋지 않은데, 17전 2승 15패라는, 전적만 봤을 때는 사실상 털린 거나 다름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중국 선수들은 대체로 디펜더에게 평균 이상으로 강한 편이었다. 마룽 이전 대표였던 왕하오에게는 11전 전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8]
당시 대만의 고수 츄앙치유엔도 그렇지만 8강전에선 중국의 최고수 중 하나이자 유력한 우승 후보인 마린을 풀세트 혈전 끝에 4:3으로 꺾고 올라왔기 때문이었다. 결승전에서 만난 상대는 오스트리아의 명장인 베르너 슐라거로, 강자임엔 분명하지만 주세혁이 꺾고 온 상대들을 고려하면 충분히 해볼 만한 상대였다. 그러나 슐라거의 영리한 플레이에 2:4로 석패하여 금메달을 놓쳤다. 슐라거는 주세혁과의 결승전을 대비해서 자국 동료이자 롱핌플 수비수 선수인 첸 웨이싱과 많은 훈련을 했다고 한다.
[9]
참고로 함께 복식 조를 이뤘던 교수는
현정화다.
분류
- 1980년 출생
- 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대광중학교(서울) 출신
- 대광고등학교 출신
- 한남대학교 출신
- 대한민국의 남자 탁구 선수
- 셰이크핸드
- 1997년 데뷔
- 2017년 은퇴
- 정관장 탁구단/은퇴, 이적
- 상무 탁구단/전역
- 삼성생명 탁구단/은퇴, 이적
- 재데뷔한 인물
- 2019년 데뷔
- 2021년 은퇴
- 한국마사회 탁구단/은퇴, 이적
- 대한민국의 올림픽 탁구 메달리스트
- 2004 아테네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
- 2012 런던 올림픽 탁구 메달리스트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탁구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남자 탁구 코치
- 대한민국의 남자 탁구 감독
- 탁구 행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