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영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26px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00><bgcolor=#FFF,#191919> [[죽엄의 상자|[[파일:죽엄의상자.png|width=13%]]]] ||<width=200><bgcolor=#E2D497,#191919> [[양산도|[[파일:양산도.png|width=14%]]]] ||<width=200> [[봉선화(영화)|[[파일:봉선화(김기영).png|width=90%]]]] || ||<bgcolor=#FFF> {{{#000 죽엄의 상자 (1955)}}} ||<bgcolor=#E2D497> {{{#CC4122 양산도(1955)}}} || {{{#F01617 봉선화 (1956)}}} || ||<width=200><bgcolor=#C0B07E,#191919> [[여성전선|[[파일:여성전선.png|width=15%]]]] ||<width=200><bgcolor=#EBE1C6,#191919> [[황혼열차|[[파일:황혼열차.png|width=13%]]]] ||<width=200> [[초설|[[파일:초설.png|width=85%]]]] || ||<bgcolor=#C0B07E> {{{#C53B1A 여성전선 (1957)}}} ||<bgcolor=#EBE1C6> {{{#D1512C 황혼열차 (1957)}}} || {{{#FFF 초설 (1958)}}} || ||<width=200> [[슬픈 목가|[[파일:슬픈목가.png|width=100%]]]] ||<width=200><bgcolor=#587A2D,#191919> [[10대의 반항|[[파일:10대의반항.png|width=13%]]]] ||<width=200><bgcolor=#85B07B,#191919> [[하녀(1960)|[[파일:하녀(김기영).png|width=90%]]]] || || {{{#FFF 슬픈 목가 (1959)}}} ||<bgcolor=#587A2D>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A63E31">10대의 반항 (1959)</span>}}} ||<bgcolor=#85B07B> {{{#FFF 하녀 (1960)}}} || ||<width=200><bgcolor=#DCCFA5,#191919> [[현해탄은 알고 있다|[[파일:현해탄은알고있다.png|width=100%]]]] ||<width=200><bgcolor=#FFF,#191919> [[고려장(영화)|[[파일:고려장.png|width=10%]]]] ||<width=200><bgcolor=#D7CB99,#191919> [[아스팔트(영화)|[[파일:아스팔트(김기영).png|width=100%]]]] || ||<bgcolor=#DCCFA5> {{{#508446 현해탄은 알고 있다 (1961)}}} ||<bgcolor=#FFF> {{{#253C42 고려장 (1963)}}} ||<bgcolor=#D7CB99> {{{#C5444F 아스팔트 (1964)}}} || ||<width=200><bgcolor=#D9C7A3,#191919> [[병사는 죽어서 말한다|[[파일:병사는죽어서말한다.png|width=100%]]]] ||<width=200><bgcolor=#383A2C,#191919> [[여(영화)|[[파일:여(김기영).png|width=45%]]]] ||<width=200> [[렌의 애가|[[파일:렌의애가.png|width=100%]]]] || ||<bgcolor=#D9C7A3> {{{#2D3D33 병사는 죽어서 말한다 (1966)}}} ||<bgcolor=#383A2C> {{{#E1B3A6 여 (1968)}}} || {{{#FFF 렌의 애가 (1969)}}} || ||<width=200><bgcolor=#373C36> [[미녀 홍낭자|[[파일:미녀홍낭자.png|width=95%]]]] ||<width=200> [[화녀|[[파일:화녀.png|width=90%]]]] ||<width=200><bgcolor=#FFFFFF,#191919> [[충녀|[[파일:충녀.png|width=95%]]]] || ||<bgcolor=#373C36>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52A3C0, 0px 1px #52A3C0, -1px 0px #52A3C0, 0px -1px #52A3C0, 1px 1px #52A3C0, 1px -1px #52A3C0, -1px -1px #52A3C0, -1px 1px #52A3C0; color:#D4BF52"> 미녀</span>}}} {{{#D4BF52 홍낭자 (1969)}}} || {{{#FFF 화녀 (1970)}}} ||<bgcolor=#FFFFFF> {{{#000 충녀 (1972)}}} || ||<width=200><bgcolor=#47221A,#191919> [[파계#s-3|[[파일:파계.png|width=100%]]]] ||<width=200> [[육체의 약속|[[파일:육체의약속.png|width=100%]]]] ||<width=200><bgcolor=#E0D9C7,#191919> [[혈육애|[[파일:혈육애.png|width=100%]]]] || ||<bgcolor=#47221A>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C62C18"> 파계 (1974)</span>}}} ||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DA2236"> 육체의 약속 (1975)</span>}}} ||<bgcolor=#E0D9C7> {{{#C75D49 혈육애 (1976)}}} || ||<width=200> [[이어도(동음이의어)#s-1|[[파일:이어도(김기영).png|width=15%]]]] ||<width=200><bgcolor=#BB3927,#191919> [[살인나비를 쫓는 여자|[[파일:살인나비를쫓는여자.png|width=100%]]]] ||<width=200><bgcolor=#D6CEB2,#191919> [[흙(영화)|[[파일:흙(김기영).png|width=30%]]]] || ||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008480"> 이어도 (1977)</span>}}} ||<bgcolor=#BB3927> {{{#FFF 살인나비를 쫓는 여자 (1978)}}} ||<bgcolor=#D6CEB2> {{{#5E4D49 흙 (1978)}}} || ||<width=200><bgcolor=#D4D3B7,#191919> [[수녀(영화)|[[파일:수녀(김기영).png|width=90%]]]] ||<width=200><bgcolor=#CFC8AC,#191919> [[느미|[[파일:느미.png|width=100%]]]] ||<width=200><bgcolor=#E7DED9,#191919> [[반금련(영화)|[[파일:반금련.png|width=100%]]]] || ||<bgcolor=#D4D3B7> {{{#BE0402 수녀 (1979)}}} ||<bgcolor=#CFC8AC> {{{#C54F5F 느미 (1979)}}} ||<bgcolor=#E7DED9> {{{#BC1D31 반금련 (1981)}}} || ||<width=200><bgcolor=#2D3661,#191919> [[화녀 '82|[[파일:화녀82.png|width=85%]]]] ||<width=200><bgcolor=#C03683,#191919> [[자유처녀|[[파일:자유처녀.png|width=100%]]]] ||<width=200> [[바보사냥|[[파일:바보사냥.png|width=100%]]]] || ||<bgcolor=#2D3661> {{{#AF3753 화녀}}} {{{#D19AA0 '}}}{{{#8BB9B7 82}}} {{{#D19AA0 (1982)}}} ||<bgcolor=#C03683> {{{#1E256F 자유처녀 (1982)}}} ||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AF1829"> 바보사냥 (1984)</span>}}} || ||<width=200><bgcolor=#151424,#191919> [[육식동물(영화)|[[파일:육식동물.png|width=100%]]]] ||<width=200> [[죽어도 좋은 경험|[[파일:죽어도좋은경험천사여악녀가되라.png|width=100%]]]] ||<|2> [[김기영(1919)|[[파일:김기영서명.png|width=25%]]]] || ||<bgcolor=#151424>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EE241A"> 육식동물 (1984)</span>}}} || {{{#B797C8 죽어도 좋은 경험}}}{{{#FFF (천사여 악녀가 되라) (1990)}}} || ||<-3><height=20><bgcolor=#181818> '''[[https://www.kmdb.or.kr/db/per/00004686/filmo#divFilmo|{{{#ffffff {{{+1 상세정보 링크 열기}}}}}}]]''' ||
죽엄의 상자(주검의 상자) (1955) Boxes of DEATH[1] |
|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
반공
|
감독 | |
각본 |
김창식
|
원작 |
공제원
|
제작 |
이지의
|
주연 | |
촬영 |
김형근
|
음악 |
정윤주
|
제작사 |
리버티프로덕션
|
배급사 |
한국예술영화사
|
개봉일 | |
상영 시간 |
79분
|
[clearfix]
1. 개요
김기영 감독의 1955년 영화. 김기영 감독의 데뷔작이자 배우 강효실과 노능걸의 영화 데뷔작이기도 하다.[2]당시 포스터와 광고에서는 '죽엄'과 '주검' 두 가지 표기가 다 쓰였으나, 필름 크레딧 표기는 '죽엄의 상자'다.
필름이 전하지 않다가 2010년에 미국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발견하여 복원하였으나 안타깝게도 사운드는 남아있지 않다. #
2. 시놉시스
적색공작대원으로 남파한 빨치산 박치삼(노능걸 분)은 제대군인으로 자신의 신분을 위장해 한 마을에 침투한다. 한국전쟁에서 아들의 전사 통보를 받은 노모와 누이 김정희(
강효실 분)를 찾아가 아들이 살아 있으며 현재 북한에서 공산주의자가 되었다고 거짓 증언한다. 그 집에 기거하게 된 박치삼은 빨치산 본부의 폭력적인 테러 방식 대신 마을의 민심을 교란하고 지역의 선거 등에 대한 공작활동을 시도한다. 어느 날 박치삼이 폭탄물 상자를 꺼내고 있을 때 김정희의 애인 조순택(
최무룡 분)이 그 집에 찾아오고, 죽은 군인의 유골을 들고 온 군인과 맞닥뜨린다. 신분이 드러난 박치삼은 조순택을 인질로 잡아 빨치산 아지트로 향하고, 박치삼이 눈치 채지 못하는 사이 유골함과 폭탄 상자를 바꿔치기한 조순택은 시한 폭탄을 들고 빨치산 본부에 도착해 그들의 아지트를 폭파한 후 장렬히 죽음을 맞이한다.
3. 등장인물
4. 평가
광복 이후 처음으로 미첼 촬영기를 사용해 동시녹음으로 촬영했으나 현재 사운드는 유실되었다.김기영 감독이 직접 설계한 조명 실험이 돋보이며, 정체를 숨기고 정치 공작을 하는 노능걸의 호연과 강효실의 표정 연기가 인상적이다. 제목 '죽엄의 상자'는 유골 상자(주검의 상자)와 시한폭탄 상자(죽음의 상자)라는 중의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
"시한폭탄인 죽음의 상자의 행방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인간의 운명에 관중의 심리를 집중시키지 못한 것은 서스펜스를 양성하는 역량이 부족한 탓이며 기교적인 장면 역시 단지 기교적인 데 지나지 않아 이야기가 요구하는 날카로움이 그로 말미암아 소실된 감이 적지 않다"(허백년)라는 비판이 있다. #
5. 기타
2019년 10월 27일 독순술을 이용해 대사를 복원하고 각종 효과음도 첨가하여 공연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