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3:55:33

제103정보통신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단 제1101공병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colbgcolor=#009600> 수도 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 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 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 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 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 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 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 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전투지휘훈련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 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 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 군사경찰단
인사사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 근무지원단
3사교 근무지원단
학군교 근무지원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정보통신단 제2정보통신단 제3정보통신단 제5정보통신단 제12정보통신단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수도군단 부대상징.svg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제90정보통신단 제100정보통신단 제101정보통신단 제102정보통신단 제103정보통신단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공군작전정보통신단_마크.png
제105정보통신단 제107정보통신단 제122정보통신단 공군작전정보통신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제103정보통신단
第103情報通信團
The 103rd Signal Group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창설일 0000년 00월 00일(제103정보통신단)
상징명칭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3군단
규모
역할 3군단 통신지원
단장 대령 최용석
위치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1. 개요2. 편제
2.1. 단 본부2.2. 통신운용대대2.3. 제731통신대대2.4. 제732통신대대
3. 출신인물
3.1. 단장3.2. 장교/부사관3.3. 병
4. 기타
4.1. 근무환경4.2. 미디어 출연4.3. 통신단가

[clearfix]

1. 개요

통신을 주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제3군단 소속 직할부대. 부대 애칭은 산악부대.

인제군 기린면에 위치해있고, 단 본부와 3개의 통신대대로 이루어진 통신단이다. 또한 직할부대이자 전투부대이다. 부대마크도 군단 마크와 동일하다.[1]

제3군단 통신지원을 주 임무로 하고 있어서 작전지역이 매우 넓다.[2] 군단 사령부에 통신과 편제가 갖춰지지 않아서, 직할대인 통신단이 군단 전체 통신 업무를 대신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유사시 전투부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망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3] 외부적으로는 군단의 CEOI 생산이나 직할대 혹은 예하 사단의 통신 업무 등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통신 문제들을 직접 출동하여 해결한다.

위치가 상당히 특이한데, 단 본부가 군단 사령부 내에 주둔하는 타 통신단들과 달리 단 본부와 731대대는 군단 사령부 울타리 밖 근처 건물에 같이 주둔하고 있다. 732대대는 통신단 예하부대 중 유일하게 군단과 좀 먼 상남면에 위치하고 있다. 운용대대는 군단 사령부 안에 위치하고 있다.

2. 편제

2.1. 단 본부

  • 지휘부
  • 운용과
  • 지원과
  • 사이버방호실
  • 본부중대

2.2. 통신운용대대[4]

  • 본부중대
  • 운용중대
  • 체계지원중대[5]
  • 체계관리중대

2.3. 제731통신대대

  • 본부중대
  • 노드1중대
  • 노드2중대
  • 노드3중대

2.4. 제732통신대대

  • 본부중대
  • 노드1중대
  • 노드2중대
  • 노드3중대

3. 출신인물

3.1. 단장

볼드체 장성급 장교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103정보통신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단장
00대 최용석 대령 단장

3.2. 장교/부사관

3.3.

4. 기타

해당 부대에 통신병으로 전입하면 지겹게 듣는 이야기로, TICN 체계가 최초로 전력화된 부대이다. 그래서 해당 장비에 대한 노하우가 풍부한 지라 타 군단 이하급 부대에 해당 체계가 전력화 될 때 기술 및 장비지원을 자주 하며 근처에 KCTC 훈련장이 있어 KCTC 훈련 있을 때마다 주기적으로 통신지원을 간다.

4.1. 근무환경

주위가 온통 산으로 둘려쌓여 있어서 공기좋고 물좋다. 교통편도 적응되면 크게 나쁘지 않다.[6] 부대에서 조금만 나가면 현리 시외버스 터미널을 갈 수 있는 정류장이 있는데 근처 편의점에서 승차권을 사서 바로 타면 된다.[7] 복귀할 때는 주로 버스를 타지 않고 터미널에서 다같이 모여 걸어오는데 근처에 있는 중국집에 들려 저녁을 해결하고 오는게 이 부대의 숨겨진 국룰[8]이다.[9]

작전지역이 매우 넓은 3군단의 특성상[10] 사령부 통신지원을 주 임무로 맡는 운용대대를 제외한 나머지 대대들은 파견지가 매우 많다.

4.2. 미디어 출연

4.3. 통신단가

산악을 누비며 조국을 지키는 피끓는 용사들이 여기에 뭉쳤다
우렁찬 함성속에 이 한몸 불사르며 조국통일 그날까지 힘차게 전진하자
아아 우리는 국군의 선봉 길이길이 빛내리라
무적! 3군단

─ 3군단가[11]



[1] 다른 직할부대 또한 마찬가지. [2] 특히 8군단을 흡수한 2023년 이후에는 8군단 작전지역인 강릉, 삼척, 동해부근까지 받아버리는 바람에 작전지역이 정말 비정상적으로 넓어졌다. [3] 사령부 내부에 주둔하는 운용대대가 담당. [4] 2013년 통신운용대에서 통신운용대대로 승격. [5] 구 유선중대. 언젠가부터 바뀌었다. [6] 인제군 자체가 교통편이 열악한 곳이긴 하지만 예하 대대가 위치한 현리와 상남의 경우 차타고 10여분정도면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IC를 이용할 수 있어 차량편을 이용하기에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7] 이는 운용대대만 해당되고, (어차피 같은 버스를 타긴 하지만) 통신단과 1대대는 군인아파트 앞 편의점, 2대대는 부대 위병소 근처 주유소에 버스가 정차하므로 이를 타면 된다. [8] 15년도 기준 [9] 단 상남면에 있는 732대대는 현리까지 오는 버스에서 중간에 하차하기 때문에 홍천터미널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10] 기존 영서지방(인제, 양구 등)을 비롯해 기존 8군단 작전지역이었던 강원도 동해안 지역(양양, 강릉 등)도 포함된다. [11] 1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