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19:25:55

제법무아

1. 개요2. 과학적 접근3. 여담

1. 개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삼법인
,
,
,
,
,

제법무아(). 줄여서 무아라고 한다.

불교 도교 등에서 주장하는 개념으로, 모든 존재에는 고정 불변의 실체로서의 '나'는 없다는 것이다. 번역되기 전 팔리어로는 anatta, 산스크리트어로는 anatman인데, 이는 즉 힌두교에서 말하는 불변/영원한 아트만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이다.[1] 아트만은 브라만교의 영혼과 동일시되므로 이는 곧 브라만교식 윤회를 부정하는 것이었기에, 카스트제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이들을 움직일 수 있었다.

무아론은 불교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대표적 이론이다. 모든 존재는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영원한 실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무상설과 함께 무아설은 불교 이전 인도의 전통 사상에서 절대적 자아로 간주되었던 '아트만' 개념에 반대해서 생겼다. 석가모니는 절대적 자아가 존재한다고 생각함으로써 이기심이 생기고 이 이기심은 서로의 평화로운 삶을 해치는 근본적인 장애물이 된다고 보았다. 즉 보통 사람은 자신이 살아있다는 것과 자신이 가진 것이 영원할 줄 알고 거기에 집착하며 이 집착 때문에 여러 가지로 고통을 받는다. 그러나 사실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존재는 없으며 이 존재에 대한 참모습을 바로 알게 되면 집착하는 마음을 다스릴 수 있기 때문에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다만, 고정된 정신('나'라는 개념: 아트만)이 없다는 것이지, '내 몸' 자체가 없다는 뜻은 아님에 주의. 이를 잘못 받아들이면 허무주의에 빠질 위험성이 있으며 실제로도 이런 상황에 빠지는 불자들도 많은 편이다. 한자/중국어로의 번역 때문에 자칫 '나'라는 것이 아예 없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 쉬운데, 이는 석가모니가 삿된 견해라고 비판한 '단견'이다.[2]

이 용어는 자아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 마음 상태를 가리키기도 한다. 고등학교 문학 시간에는 글의 화자가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하려 하는 자세를 무아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 경우는 물아일체, 물심일여, 혼연일체 등의 용어와 연결돼 쓰이기도 한다.

무아를 깨달은 자아를 가르키는 진아(참 나)라는 용어도 오해를 많이 한다. 이 진아라는 개념은 유식설에만 해당된다. 유식설에서 말하는 '진아'도 무아의 깨달음을 얻어 '고정된 자아'가 없는 '자신'을 의미하는 말이지, '무아'의 개념을 부정하는 말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과가 없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을 '사과 0개가 있다'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다. 즉, 없음으로써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진아가 있다'라고 말하는 것일뿐, 진짜로 '고정불변의 나'의 개념(아트만)을 긍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2. 과학적 접근

명상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부분 중 하나가 DMN의 활성도인데, 대개 수행 과정이나 환경에 크게 압도되는 상황에서 비활성화된다. 이때 위치정보 및 자기 인식에 대한 경계가 옅어지는데, 이때 자아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무아라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과정이 '명상을 통한 무아'를 신경과학적으로 설명하는 여러 방식 중 하나로, 이러한 관계가 밝혀지면서 명상을 계량해 심리치료에 반영되기 시작했다. 단적으로 우울 치료제 중 하나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e reuptake inhibitor) 투여를 통한 우울증의 완화 및 DMN의 기능 정상화와 맞물려 입증된 바 있으며,[3] 마음챙김 요법은 유럽에서 의료보험지원을 받고 있다.

3. 여담

  • 화엄경에는 무아라는 수가 등장하는데, 지수로 표현하면 10554597137599850363154807652352다.


[1] an이 영어의 un과 같다. [2] 앞서 말했듯이 한역이 완료된 경전에서는 무아의 맥락에 대해 알 길이 없었다. [3] ISSN 2635-887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