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1:07:15

정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정비(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整備
1.1. 5계단 정비1.2. 반파와 완파
2. 正妃

1. 整備

흐트러진 일련의 체계 혹은 조직을 바로 잡는 행위를 정비라고 하며 기계나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보살피고 손질하는 것 또는 도로나 시설 따위가 제 기능을 하도록 정리하는 것도 정비라고 한다.

1.1. 5계단 정비

국군에서는 장비의 정비에 있어 다음과 같은 5계단 정비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각 계단마다 정비를 위해 인가되는 장비 및 수리부속과 당해 계단에서 시행할 수 있는 정비활동의 범위[1] FM으로 정해져 있다. 공군에서는 이런 문서를 TO(Technical Order)라고 한다. 다만 하급 정비부대가 각자의 사정에 의해, 이 범위 안에서 공구 등을 개량해서 쓰는 건 인정하는데, 이걸 편의도구라고 부르며 이 '편의도구' 중 획기적인 것은 하급부대에서 보고서를 올리면 군지사의 심사를 거쳐 FM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걸 하는 병사들에 대해서는 정비병 문서로.

어째 아래의 표를 인원에 대해서 적용해도 얼추 들어맞는다. (각각 개인정비, 분대장 및 간부에 의한 이상인원 보고, 야전부대 의무대 이용, 국군병원 이용, 의무심사 및 의병 제대...)

참고로 개인정비도 이 항목에서 말하는 정비로 분류된다.
구분 계단 명칭 내용
부대정비 1 사용자 정비 (C) 일일정비[2], 주간정비를 실시한다. 이 과정이 있기 때문에 장비 조종수들과 장교들도 첫 1주일은 장비 정비를 배운다. 사용자 정비라는 이름답게 장비를 운용하는 사람들이 직접 거치는 정비라 정비고에 입고될 필요마저 없이 단순한 과정이다. ( 자주포 기준으로 포상에서 병사들이 항시 휴대하는 공구로도 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단순한 정비.) 검차와 완전히 같은 개념.
2 부대정비병 정비 (O) 월간, 분기, 반년, 연간정비를 실시한다. 대대 정비고에서 이뤄지고, 장비의 유지보수 차원에 드는 내용들이며, 그나마도 전문 기술이 필요한 작업은 대대 정비관이 하기 때문에 이곳에 배속된 병사들이 하는 일은 문자 그대로 닦고 조이고 기름치는 일밖에 없다. 실제 결함이 발생된 경우엔 위의 3계단으로 넘긴다(근접정비반 아저씨들을 부른다). 대대 정비병 아저씨들이 하는 일이 이것.
야전정비 3 근접 정비 (F) 장비 결함이 발생하면 사용부대의 콜을 받고 오는 아저씨들. 정비대대 휘하 중대의 "근접정비반"이 지원오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부터 장비를 분해해 조립체를 제외한 부품을 교환하고, 단일 부품[3]에 대한 폐판정 권한을 가진다. 지원을 가서 부품이 있고 짧은 시간 내 고칠 수 있는 것이면 현장에서 고치고, 부품이 없거나 시간이 오래걸리겠다 싶으면 들고가서 고친다.[4] 이 단계를 반드시 거처야 일반 정비로 넘어갈 수 있다. 일반 대대의 정비관은 단일부품 폐판정이나 일반 정비 여부를 판정할 권한이 없기 때문. 정비요소가 발생하면 지원요청을 받고 지원을 가는 것이 기본적이지만 훈련 전후 및 월간, 분기 단위로 정기 스캐줄이 전부 잡혀있다.
4 일반 정비 (H) 콜사인의 H가 Heavy의 약자다. 이름답게 각 군지사에서 운용하는 고정된 플랜트에서 거치는 정비. 여기서부터 각 조립체(뭉치)[5]의 폐판정 권한을 갖는다. 여기까지 와서야 조립체의 폐판정을 할 수 있다는 건 일단 여기까지 오고 나서야 장비를 해체할 수 있다는 얘기라, 실제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수리"의 과정은 이 곳에서 진행된다. 그러니 장갑차 정비 특기 걸린 징집병들은 쫄지 말지어다.
창정비 5 창 정비 (D) 장비의 폐판정 권한을 갖는 단계. 이 단계에서 하는 일은 후송된 장비의 재생으로, 아예 완전분해해서 새 장비를 만들어서 내보내는 일이다. 교범에서도 이 단계에서 하는 일은 장비의 재생 및 생산이라고 가르친다! 육군에서는 이 계단에 해당하는 부대는 육군종합정비창 단 한 곳만 운영하고 있다.

공군의 경우도 위와 대동소이하지만, 실무에서는 더 간략화하여 아래 3단계로 항공기 정비를 분류한다. 비행단의 경우 아예 이 단계별로 각각 정비대대가 편성되어 있다.
구분 내용
부대정비 항공기 운영부대의 비행대기선[6]에서 항공기 또는 장비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정비로서, 점검, 재보급 ,세척, 윤활, 조절, 부품교환, 고장탐구 등을 수행하는 예방정비단계이다. 일선 비행단에서는 항공정비전대 예하의 항공기정비대대에서 담당하며, 항공기정비대대는 일일 비행스케줄에 따른 비행 전, 비행 후 일일 정비[7] 및 항공기 이륙 전 마지막 점검을 담당하는 최종기회점검(Last Chance Inspection)을 수행한다. 과거에는 아예 이름이 '부대정비대대'였다.
야전정비 부대정비능력을 초과하는 고장탐구, 조절, 각종 부품 및 보기류의 수리, 기능검사, 제작수리 등을 수행하는 교정정비단계이다. 일선 비행단에서는 항공정비전대 예하의 부품정비대대와 장비정비대대에서 담당하며, 부품정비대대는 항공기를 구성하는 비행계통 구성품에 대한 점검 및 수리를 담당하고, 장비정비대대는 항공기에 탑재되는 무장, 탄약과 그 외 지상장비에 대한 점검 및 수리를 담당한다. 과거에는 아예 야전정비대대, 항공전자정비대대, 무장탄약정비대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조직개편과정에서 부품정비대대와 장비정비대대로 나눠졌다.
창정비 정비개념 중 최상위의 정비 단계로, 대규모의 정비시설 및 장비를 운영하며, 완전재생, 부분재생 및 비행운영부대 정비능력을 초과하는 정비 및 개조, 제작 작업을 수행하는 재생정비단계이다. 공군의 경우, 타군 대비 첨단장비 운용이 많아 군수사령부 예하의 81/82항공정비창, 83정보통신정비창, 85정밀표준정비창, 86항공전자정비창 등 다양한 정비창에서 담당한다.

이 외에도 "3군 상호정비"란 것이 있다. 육해공 어느 군이 쓰는 것이어도 육상 장비는 육군, 수상 장비는 해군, 정밀 장비는 공군의 야전정비 부대가 담당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 민간업체에다가 정비를 맡기는 외주정비와, 해외정비 역시도 일단은 국군의 정식 정비체계 안에 들어있는데, 특기할 것은 주한미군 부대에 정비를 맡기는 것도 법적으로 해외정비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위에서는 '근접정비'라고 했으나, 직접지원정비(DS)라고도 하는 것 같다.

1.2. 반파와 완파

군에서는 정비가 필요한 장비의 상태를 반파완파로 구분한다. 용어 자체는 半과 完으로 되어 있어 파손의 정도에 의해 구분한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수리가 가능한지의 여부에 의해서 구분하는 개념이다. 즉, 야전정비까지의 수리만으로 다시 전장에 투입할 수 있으면 반파, 아예 폐처리해야 할 정도라면 완파. ( 후송하여 본국의 육군종합정비창에서 재생하는 경우도 폐처리로 본다. 물론 전쟁터에서 완파된 장비를 수습해서 본국에 보내서 블라블라 를 할 여유가 있을지는 별문제다)

인원의 상태를 경상과 중상으로 나누는 것도 같은 개념이다. 야전병원에서 치료하여 다시 전장에 투입할 수 있으면 경상, 완치가 불가능하거나 본국으로 후송하여 치료를 해야 할 정도면[8] 중상. 다만 인원은 중상 다음에 사망이라는 한 단계가 더 있다.

2. 正妃

정실인  왕비를  후궁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지만 첫 번째 왕비라는 말이기도 한다.


[1] 실무적으로는, 당해 정비부대에 제공하는 교범 및 도면을 통제함으로써 이걸 통제한다. [2] 점호 항목의 차랑점호가 이것. [3] 타이어나 총열, 차량용 디스크 같이 그 자체로 분해가 불가능하면서 기능이 있는 부품 [4] 총기, 무전기는 부품만 있으면 현장에서 대부분 정비가 되고 차량이나 전차, 장갑차는 대부분 입고한다. [5] 각각의 부품이 장비 전체 스케일에서 유의미한 하나의 기능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조립된 상태를 일컫는 말. 소총의 '노리쇠 뭉치'가 조립체의 아주 대표적인 예이다. [6] 흔히 라인이라고 한다. 항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지역으로, 유도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곳들을 의미한다. 이글루, 주기장, 유도로, 활주로뿐 아니라 당연히 항공기의 정비 행거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 [7] 흔히 '비행지원'이라고 부른다. [8] PTSD로 인해 전투가 불가능하여 의병 제대하는 경우도, 정신이 망가진 개념으로 보아 완치 불가능에 포함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