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10E0E 0%, #A11 20%, #A11 80%, #810E0E);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한(前漢)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고제 | 혜제 | 소제 | 소제 | 문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경제 | 무제 | 소제 | 폐제 | 선제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원제 | 성제 | 애제 | 평제 | 정안공 | ||
후한(後漢)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광무제 | 명제 | 장제 | 화제 | 상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안제 | 소제 | 순제 | 충제 | 질제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환제 | 영제 | 소제 | 헌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촉한(蜀漢) | |
초대 | 제2대 | |||||
소열제 | 회제 | |||||
비정통 | ||||||
동제 | ||||||
}}}}}}}}} |
<colbgcolor=#A11><colcolor=#ece5b6> 후한 제7대 황제
전소제 | 前少帝 |
|||
전소제릉으로 추정되는 고분군 전경. | |||
즉위 | 125년 5월 18일 | ||
후한
하남군
낙양 황궁 (現 허난성 뤄양시) |
|||
사망 | 125년 12월 10일 | ||
후한
하남군
낙양 황궁 (現 허난성 뤄양시) |
|||
능묘 | 망산 M560호 고분(추정) | ||
재위기간 | 후한의 황제 | ||
125년 5월 18일 ~ 125년 12월 10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11><colcolor=#ece5b6> 성씨 | 유(劉) | |
휘 | 의(懿) | ||
부왕 | 제북혜왕 | ||
형제자매 | 4남 중 차남 | ||
작호 | 북향후(北鄕侯) | ||
제호 | 전소황제(前小皇帝) | ||
연호 | 연광(延光, 125년) |
[clearfix]
1. 개요
한나라의 제22대 황제이자, 후한의 제7대 황제. 묘호와 시호는 없다.휘는 의(懿). 아버지는 제북왕 유수인데, 후한의 제3대 황제 장제의 손자다.
2. 생애
안제가 죽자 유의는 안사황후 염씨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지만, 즉위하고 불과 200일 만에 사망하였다. 그 후에 염씨 일족이 환관 손정 등에게 멸문당하고 유의는 황제 지위가 박탈되어 제왕의 예로 매장되었다.그래서 시호도 제대로 못 받았는데 안제의 아들 순제가 뒤를 이었다. 죽은 후에 황제에서 폐위되었기 때문에 황제 목록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도 많고, 무엇보다 전소제를 아는 사람도 적다.
실제 북향후(北鄕侯)로 훨씬 더 유명하다.
전소제 유의가 사후에 매장된 묘지는 뤄양 망산의 M560호 고분으로 비정하는 의견이 있다. 해당 고분은 안제의 공릉 남쪽에 소재해 있으며, 현재는 순제의 헌릉으로 비정되어 있다.[1]
[1]
다만 헌릉은 비정 논란이 있다. 이 경우 헌릉은 M722호분으로 추정하는 의견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