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08:36:40

전북특별자치도 시내, 농어촌버스

전라북도 시내버스에서 넘어옴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024694> 전주시 · · · · 익산시 · ·
완주군 군산시 ·
무주군 김제시
진안군 부안군 · ·
위도공영버스
장수군 정읍시
임실군 고창군
순창군 남원시
}}}}}}}}} ||

파일:꽃가루30021783.jpg 파일:110_1355.jpg
전주 3002번[1] 전주 110번
파일:크기변환_DSC02759-451.jpg 파일:익산시시내버스101.png
정읍 277번[2] 익산 101번
파일:iksan111.jpg 파일:남원 2-1번 현대차량.jpg
익산 111번 남원 2-1번

1. 개요2. 요금3. 시군별 시내버스4. 버스 운행회사
4.1. 시내버스, 농어촌버스4.2. 시외버스
5. 특징6. 차량7. 면허 체계8. 버스 도색9. 기타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농어촌버스를 설명하는 문서다.

2. 요금

2025년 1월 1일 기준
시.군 성인 청소년 어린이 환승 비고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전주시
완주군
일반 1,450원 1,500원 1,150원 1,200원 700원 750원 40분 이내 1~2회[3] 시계외 진입시 앞문 단말기로 하차처리.
단, 전주시 바로온 마을버스와 완주군 부름부릉 마을버스는 시계외요금 없음.
마을 500원
군산시 1,550원 1,600원 1,250원 1,300원 750원 800원 60분 이내 1회 시계외 진입시 별도 구간요금 부과
익산시 100원 60분 이내 2회 일반버스 한정 시계외 진입시 별도 구간요금 부과
김제시 950원 1,000원 450원 500원 450원 500원 26번 한정 완주군/전주시 진입 시 시계외요금 별도 부과
부안군
고창군
정읍시
남원시 60분 이내 1회
임실군
순창군
진안군 모래재휴게소 및 소태정휴게소 정류장을 기준으로 완주군/전주시 진입시 시계외요금 별도 부과
장수군
무주군 일반
읍내순환 무료

3. 시군별 시내버스

3.1. 전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주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완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완주군 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군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산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익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익산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정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읍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남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원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김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제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진장여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임실군, 순창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임순여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고창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창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부안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안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버스 운행회사

4.1. 시내버스, 농어촌버스

4.2. 시외버스

5. 특징

교통카드는 2002년부터 발행된 소위 신명이카드라 부르는 마이비카드를 사용한다. 30분 이내로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같은 번호의 버스에는 무료 환승 혜택이 제공되지 않는다. 2010년 2월 중순부터 티머니 카드로도 이용 가능하다. 과거 교통카드는 주민센터 은행 등에서만 발급했으나 요즘에는 편의점에서도 발급 가능하다. 이외는 캐시비(신명이카드의 후신),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도 사용 가능하며 후불카드는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만 가능하다. 단말기는 전지역 삼원FA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전북 자체가 다른 지역들보다 인구도 적고 농어촌 지역이 많은데다 산업시설도 부족해서 유동인구가 적기 때문에 버스 이용객의 수가 크게 늘거나 주는 일이 없는 평이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북에는 지하철이 없어서 택시요금 인상 이후로 시민들 인식 속에 대중교통은 버스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따라서 시내버스 파업이 생기면 교통대란으로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6. 차량

현대자동차 버스와 자일대우버스 차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봉동에 현대자동차 상용차 공장이 있어서 현대버스 위주로 출고하지만 농어촌 지역의 경우 과거 새한/대우 BF를 무지하게 좋아했던(?) 전북여객(현 전북고속)의 영향 탓인지 자일대우버스 차종이 비교적 우세하다.[11][12]

천연가스버스는 군산시, 익산시, 전주시에서 운행하며, 전기버스는 정읍시에서 도내 최초로 운행하고[13] 익산시는 카운티 일렉트릭 우진산전 아폴로 1100을 운행한다. 김제시, 익산시, 전주시, 부안군은 수소버스를 운행하며[14][15] 함양군과 더불어 에디슨모터스 공장이 있는 군산시는 에디슨 스마트 우진산전 아폴로 1100을 운행한다. 남원여객은 전북특별자치도 시 단위 중 전기충전소가 미설치된 관계로 전기 충전시설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유일하게 저상버스 의무화 예외적용 운송업체가 되었지만 향후 도입 예정이다.

7. 면허 체계

8. 버스 도색

1999년 말부터 쓰이고 있는 현행 전북특별자치도 공통 도색은 전면부와 측면부와 후면부의 중단 및 상단의 전반부가 오렌지색, 측면부와 후면부의 하단이 연한 회색, 상단의 후반부가 흰색이며 측면 중, 하단 후반부에 녹색 태극 무늬가 있다. 문서 맨 위의 익산시 시내버스 사진을 참조하자.

90년대까지 전북 지역 버스는 시외직행이 빨간색 줄무늬(현재의 대한고속의 도색과 비슷), 시외완행이 파란색 줄무늬, 시내가 초록색 줄무늬, 군내(농어촌)가 군청색 줄무늬, 좌석이 군청색과 흰색 도색에 빨간색 줄무늬 도색이었다가, 1999년 말경 현재의 도색으로 바꾸었다. 대부분의 지역은 신도색을 제정해도 신차부터 서서히 적용시키지만[17] 전북의 경우는 지역을 막론하고 90%가 넘는 차량이 도색개조를 하였으며 그나마 나머지 차량들도 연식이 오래된 차량들이라 대부분 1년 안에 교체되었다. 따라서 구도색은 대략 2002년 월드컵 시즌이 오기 전쯤에는 전북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라졌다.

구 도색의 경우 부산도색과 유사하게 굵은 선 1줄, 얇은 선 1줄로 되어 있다가 앞부분에 와서 얇은 선에서 다시 굵은 선이 밑으로 갈라져 3줄이 되는데, 대우자동차 차량은 앞문 부분부터 3줄로 갈라지는 도색을 사용했지만 현대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 차량은 차량 앞부분만 3줄 도색이었다.

일부 지역은 공통 도색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전주시 시내버스는 일반버스는 황록색, 수소전기버스는 파란색으로 도색돼있으며, 남원시 시내버스 성남누리버스의 변형된 자체 도색을 쓰고 있다. 그리고 무주, 진안, 장수 군내버스업체인 무진장여객은 일부 차량은 빨간색으로 떡칠된 도색을 사용한다.

9. 기타

버스 안내원이 있던 시절 전주시 시내버스는 여성 안내원을, 그외 지역 시내버스는 남성 안내원을 두었다. 전북여객에서는 직행버스는 여성 안내원을, 완행버스는 남성 안내원을 두었다.

2017년 4월 기준으로 전북에서 버스정보시스템이 구축된 곳은 전주시, 완주군, 군산시 뿐이었으나 2017년 1월부터 전북 광역 BIS가 확정되어 2018년 즘에 완공되면 전북 전지역에서 BIS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2018년 10월 현재 일부 시, 군에서 제공되지 않았던 버스정보시스템이 일부 시, 군에 한해 가동되어 운영중에 있다.

광역 BIS


[1] 대한민국 1호 양산형 수소전기버스다. [2] 전북 최초의 일렉시티 전기버스이다. [3] 전주 버스 300 혹은 전주시 바로온, 완주군 부름부릉 마을버스 미탑승시 1회, 탑승시 2회. [4] 1991년 전북여객에서 물적 분할하였으며, 주로 완주군 북부 노선을 운행. 1997년 전북고속에 재인수되어 현재는 전북고속 계열사로 남아 있음. 2008년에 시민여객으로 사호 변경. [5] 1968년 설립하였으며, 2016년 5월 13일 신성여객 사장의 공금횡령으로 회사가 부도위기에 처하자 제일여객에서 인수하여 성진여객으로 사명을 바꾸고 현재는 제일여객 계열사가 되었다. [6] 2000년에 부도난 공화여객을 부안여객(현 부안스마일교통)에서 인수한 후 광일여객으로 상호 변경. [7] 80년대에 전북여객에서 물적 분할. [8] 1991년 전북여객에서 물적 분할. [9] 1991년 전북여객에서 물적 분할. [10] 1990년대 이전에는 전북 지역 농어촌 버스 대부분을 도맡아서 운행하였다가, 1991년에 농어촌 버스 사업에서 최종 철수하였고 해당 부분을 무진장여객, 임순여객, 금일여객, 풍남여객 등으로 물적 분할시킴. [11] 80년대 전북여객이 농어촌 지역(무주, 진안, 장수, 임실, 순창, 부안) 완행버스 운행을 독점하던 시절 완행버스(군청색 줄무늬) 차종은 전부 새한/대우 BF 중문형 좌석버스들이었다. [12] 남원시 남원여객의 경우 자일대우버스를 주로 출고하였으나 울산공장 조업 중단 사태로 10여년만에 다시 현대자동차를 출고하여 운행하게 됐다. [13]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 타운 둘 다 도내 최초로 운행한다. [14] 부안군은 전국 군단위 최초로 수소버스를 운행한다. [15] 참고로 호남고속의 1783호 버스는 전국 최초(!)로 운행한다. [16] 차량번호 맨 앞자리 숫자에 따라 어느 지역의 면허인지 결정된다. 1은 완주군, 2는 진안군, 3은 무주군, 4는 장수군, 5는 임실군, 6은 순창군, 7은 고창군, 8은 부안군이다. [17] 그래서 대다수 지역의 시내버스는 신, 구 도색이 공존해있는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