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8 18:06:30

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천대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의 대학별 캠퍼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파일:겐트 대학교 로고.png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파일:University_of_Utah_seal.svg 유타 대학교 아시아 캠퍼스
파일:인천가톨릭대학교 UI.svg 인천가톨릭대학교 (강화캠퍼스 · 송도국제캠퍼스)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 미추홀캠퍼스 · 제물포캠퍼스)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용현캠퍼스 · 항공우주캠퍼스 · 송도캠퍼스)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파일:State_University_of_New_York_seal.png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한국캠퍼스 · FIT 한국캠퍼스) 파일:George_Mason_University_seal.svg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캠퍼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송도캠퍼스 미추홀캠퍼스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4><bgcolor=#094a9a> 대학 정보 ||
역사 임원 학부 대학원
재학 및 기타 정보
총학생회 동아리 출신인물 사건사고
}}}}}}}}} ||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仁川大學校 濟物浦 校庭
INCHEON NATIONAL UNIVERSITY
JEMULPO CAMPUS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colbgcolor=#094a9a>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 165
,( 도화동 995),
지위 본교미사용
면적 221,488m2
제물포캠퍼스

1. 개요2. 상세3. 전망4. 시설
4.1. 잔여 시설
4.1.1. 제물포 본관4.1.2. 성리관4.1.3. 예체능관4.1.4. 성지관
4.2. 이전 시설
4.2.1. 본관4.2.2. 공학관4.2.3. 인문사회관4.2.4. 실습관4.2.5. 동북아통상학부4.2.6. 선인체육관
5. 교통
5.1. 철도5.2. 버스

[clearfix]

1. 개요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대 제물포 본관.jpg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경관(제물포 본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에 있는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의 부속 캠퍼스이다. 인천대학교가 2009학년도 2학기에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기 전까지 메인 캠퍼스로 기능하였고, 사범대학이 2013년 2학기에 미추홀캠퍼스로 이전하기 전까지 부속 캠퍼스로 기능하였다.

2. 상세

원래 인천대학교는 선인학원에 의해 설립된 사립대학이였다. 정확히는 선인학원 산하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총 15개의 학교에 학생수만 3.6만 명이 넘는 매머드 학교재단이였다. 선인학원은 1964년 10월부터 1981년 3월 사이 인천시 남구(현 미추홀구) 도화동의 16만 3,700여 평에 달하는 넓은 부지에 연면적 4.3만평의 규모로 인천대 교사(校舍) 등 모두 8개의 교사를 당시 돈으로 85억 원을 들여 건축하였다. # 지금은 좀 많이 달라졌지만 거대한 건물을 세우고 거기에 몇개의 학교를 쑤셔박는 식으로 학교를 늘리는 방식이였고 특히 선인학원의 비리는 엄청난 수준으로 누구나 공분을 느낄 정도로 사학비리가 대단했지만 선인학원의 설립자인 백인엽- 백선엽 형제의 위세가 대단했기에 누구도 건들 수가 없었다.

그러나, 민주화 물결로 선인학원의 비리가 낱낱이 드러나고 사회적인 공분을 사게되자 1994년 백씨 형제는 선인학원의 모든 경영권과 소유권을 포기하고 인천시로 넘긴다는 각서에 서명하였고 그후 선인학원의 광대한 재산은 인천광역시청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몇 년 후 지방자치제를 시작함에 따라 선인학원의 재산은 인천시 소유가 되고 이중 인천대학교와 인천전문대학은 인천시립으로 중고등학교는 인천시교육청으로 분리되어 넘어가게 되면서 이때 시재산과 시교육청재산으로 분리되었다.

도화동 전체 부지 중 인천대학교 인천전문대학의 부지는 대략 12만여 평 규모였으나 송도캠퍼스 이전 계획 및 이전을 전제로 한 도화지구 개발로 변화가 이뤄지게 되었다. 애초 원안은 인천대만 송도로 이전, 인천전문대학은 기존의 인천대 일부 부지를 합쳐 6.7만 평 부지로 존치였다. 그러나, 인천시측이 정책을 바꿔 전문대를 대학에 통합시키면서 개발 후 구획획정될 6.7만 평의 제물포 캠퍼스 부지는 인천대학교 재산으로 남게 되었다. 물론, 인천시는 이전 비용을 충당한다고 원래 인천대학교 재산이던 제주도 부지등 여러 땅은 인천시가 가져가버렸고 그 후 국립화된 후 현재에 이르렀다.

현재 제물포캠퍼스는 2015년 이후로 모든 시설이 완전히 철수한 상태고 일부 평생교육원 같은 시설만 남아있다. 추후 활용 여부는 아직까지도 불투명한 상태다.

3. 전망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 계획도.jpg
인천도시공사 도화지구 토지이용계획도
  • 초기인 2011년 쯤, 인천대 본관 건물을 포함한 주 부속 건물들을 제2 시청사로 리모델링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나왔다. # 하지만 건물 정밀검사 후 리모델링 비용이 매우 크게 잡힌 탓에 어려움을 겪다 결국 취소되었다. #
  • 상술했듯이 도화지구 개발사업 이후 신규구획된 제물포캠퍼스의 넓이는 6.7만평이 된다. 인천대학교 법인으로 넘어가지 않은 이 부지와 건물은 구획작업이 마무리되면 법인에 돌려질 계획이였다. 단, 2013년 협약서에 따라 인천시와 대학이 합의할 경우 대물-대토도 가능하다 되어있다.
  • 2015년을 기점으로 제물포캠퍼스 내 대부분의 시설들은 대부분 쓰이지 않게 되었다. 그나마 신식건물인 옛 학산도서관 건물 등 일부를 제외하면 버려져 있다. 사실 너무 낡아서 쓰일수도 없는 상황이다. 애초 국립이 아닌 시립으로 남겨질 예정이던 인천전문대학의 캠퍼스로 활용하려다가 급작스럽게 통합 시킨 후 송도 및 미추홀로 전부 통합되었기에 활용방안 자체가 없는 상황이다. 2018년 인천대학교 이사회 회의록에서도 제물포캠의 활용방안을 요구하는 이사들의 요구가 적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태가 그나마 괜찮은 건물인 성리관을 리모델링해서 경영대학원 같은 전문대학원을 입주시켜 활용하자는 것이다.
  • 2019년 12월 최종 합의된 대학과 시의 협의서에 따라 20년 내에 제물포캠의 재산은 법인으로 귀속된다. 대학 이전 후 제물포 주변의 상권이 급락했고 이를 보완한다고 청운대 인천캠, 인천시 상수도본부, 정부인천지방합동청사 등을 유치했지만 예전과 같은 상황은 아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구도심의 활성화를 위해 다시 인천대에 제물포캠의 활용을 원하는 상황이기에 대물-대토는 없던일이 되었다. 단, 이를 위해 인천대학교 측의 토지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캠퍼스 부지 중 일부에 대해 상업용의 용도변경을 허용해주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 '2040 인천도시기본계획'에 제물포캠퍼스 전체면적(22만여㎡)의 30%에 해당하는 70,000㎡ 를 상업용지로 변경하고, 나머지 13만㎡ 는 학교시설 재배치, 18,000㎡ 은 공원으로 각각 활용한다는 계획이 반영될 예정이다. #
  • 2024년 3월에 들어 해당 캠퍼스에 국립의대를 설치하자는 방안도 나왔다. #
  • 부지 내 주차장이 임시로 개방되었다. #

4. 시설

VR사이트가 존재한다. ( #(인천대학교)[1]/ #(인천전문대학))

4.1. 잔여 시설

남아있는 시설은 각종 드라마나 영화 촬영 장소로 가끔 쓰인다. 생각보다는 찍힌 때가 많다. 아이리스, 무법 변호사, 부부의 세계, 그 남자의 기억법, 헤어질 결심 등이 있다.

4.1.1. 제물포 본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_본관.jpg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본관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는 구 인천전문대학 본관(공학부)을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과거 인천대학교의 본관은 현재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로 유상 양도된 상태이다. 본관은 도서관이나 열람실 등 대부분의 기능들을 하고 있는데, 인천대학교의 제물포캠퍼스의 건물들이 계속 헐리면서 학생들의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의 본관을 위성사진으로 보면 '가운데 중(中)'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건물 내부에는 동상이 세워져 있고 앉아서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당시 인천대학교의 건물들이 그랬듯이 본관의 엘리베이터는 상당히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엘리베이터들이 갈 수 있는 층계가 홀수 층계뿐이다. 계단으로 제물포캠퍼스에 올라가도 홀수 층계로 올라가게 된다. 건물 형태의 독특한 점으로 인해 발생한 일이다.

사실 백인엽 선인학원 시절에 처음 지어졌을 때는 건물 내에 엘리베이터는 커녕 화장실이 전혀 없었다고 한다. 이는 선인학원의 모든 건물이 마찬가지였다. 괜히 선인재단이 악명 높은 게 아니다. 엘리베이터나 화장실은 나중에 관선 이사 시절을 거쳐 공립화가 되면서 추가로 만들어진 것이다.

사실상 10년 가까이 유기 중이라 여기저기 페인트가 벗겨지고 창문이 깨진 폐건물이 되었다. 내부는 출입할 수 없도록 막아 놓았지만, 현재 건물 바깥 정도는 둘러볼 수 있다. 그래선지 주변에 인적이 아예 없는 건 아닌데, 신기해서 산책하는 주민이나 담배 피우는 소방고 학생들을 종종 마주칠 수 있다. 선인재단 특유의 압도적인 공산당 건축 양식 탓에 사진상으로는 그 느낌을 말로 담을 수 없다. 직접 가서 보면 압도당할 수 있으니 유의할 것.

2022년 10월 들어 범죄 예방을 위해[2] 건물 앞에 주정차 방지 볼라드가 설치되어 차량으로는 진입이 불가능해졌다.

4.1.2. 성리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_성리관.jpg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대학원
성리관은 인문관에 해당하며, 1982년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선인학원이 시립화 된 이후 완공되었다.[3] 상당히 고풍스러운 양식을 보이며 건물 내부에 들어가면 광활한 내부가 눈에 들어온다. 그렇지만 현재 제물포캠퍼스에 등교하는 학생들이 없기 때문에 건물 내부는 상당히 을씨년스럽다. 내부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인지 휴게실도 그냥 열려 있다.

성리관에도 열람실이 있으나 공사를 이유로 폐쇄했었다. 한편 성리관의 양 끝은 세미나실로 상당히 크다. 성리관의 엘리베이터도 모든 층을 올라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 직접 계단을 올라보면 정상적으로 층을 올라갈 수 있다. 이 건물은 위성사진으로 보면 '임금 왕(王)' 자의 형태를 하고 있다.

여타 건물 중에서도 굉장히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고지대라는 게 완만한 비탈길을 타는 느낌이 아니라 평평히 이어지다 급격히 올라가는 구조라 일부러 높인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이다. 언덕에는 잔디와 수목이 깔려 있고, 일조량이 상당히 높아 인천대가 송도로 옮기기 전에는 '폭풍의 언덕'으로 불리며 대표적인 학생들의 휴식공간이었다.[4][5]

참고로 성리관은 드라마 무법 변호사에서 법원 건물로 등장한적이 있다.[6]

4.1.3. 예체능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_예체능관.jpg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예체능관
내부 대부분이 매점, 식당, 인쇄실로 채워져 있다. 해당 건물에는 학생회관도 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식당의 경우 통폐합 이후에도 일정 년도 동안 개방되곤 했다.

4.1.4. 성지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_성지관.jpg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평생교육원
성지관은 과거에 인천대학교 학산도서관이었다. 인천대가 비리사학이였던 선인학원으로부터 벗어난 후안 2001년에 지어진 건물이라 이전 대학건물 디자인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캠퍼스의 다른 건물들과는 달리 정사각형의 디자인을 채택했고 외부로 개방된 창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는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과 정책대학원 총동문회, 인천전문학교(ITI)가 자리하고 있다. 성지관의 엘리베이터는 그 크기에 비해 적재하중이 상당히 적다. 웬만한 아파트용 엘리베이터보다도 큰 크기인데 적재하중이 1,000kg이다.

그 전에는 인천직업전문학교가 사용되었다.

4.2. 이전 시설

현재 이 건물들은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에 의해 인천대학교 본관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되어 흔적도 남지 않은 상태이다.

4.2.1. 본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구본관.jpg
인천대학교 본관
1979년 3월 12일에 '인천공과대학'이라는 이름으로 문을 연 건물이다.[7] 처음부터 인천대 본관 건물로 단독 사용하였고 이후로 인천대학교가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한 뒤 청운대학교가 인천대학교 부지 중 일부인 구 본관 건물과 부지 1.5만평을 사들여 현재는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본관으로 쓰고 있다. 기존 건물의 바깥쪽 기둥을 상당수 잘라내는 큰 규모의 리모델링을 했다. 적어도 겉으로는 과거의 본관과 많이 달라져 고풍스러운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이전은 부지 헐값매각 논란[8]과 대학을 홍성에서 이전하는 문제로 여러가지로 시끄러웠고, 교육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법제처의 산업대학 신설에 대한 유권해석으로 겨우 이전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추후 인천대학교 부지의 헐값매각으로 인해서 감사원으로 부터 주의조치를 받고 인천시 예산에도 불이익이 가해졌다. 그리고 당시 인천시의 입장은 "학교가 옮겨와야 주변상권이 살아날 수 있으니 헐값매각도 어쩔수 없었다" 라는 입장이었다.

영화 그때 그 사람들 제4공화국(드라마)에서 육군본부로 나온게 이 건물이다. 3군본부가 계룡대로 이전하고 옛 육군본부 건물을 철거하고 전쟁기념관을 신축했기 때문이다.

4.2.2. 공학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전문대학_창업보육센터.jpg
인천전문대학 창업보육센터
제물포캠퍼스 북쪽에 있던 건물이다. 건물 옆에는 운동장도 있었으며, 도로와 근접해 있었고 지대도 높은 곳에 건물까지도 크게 자리잡고 있다보니 상당한 웅장함을 자랑했다. 2012년 4월에 들어서서 철거되어 없어졌고, 나중에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공립특수학교인 인천청인학교가 들어섰다.

드라마 아이리스에서 이 건물이 북한군 기지의 모티브가 되었다.[9]

4.2.3. 인문사회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전문대학_인문사회학부.jpg
인천전문대학 인문사회학부
1991년에 지어졌으며, 이 건물 역시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해 철거가 확정되었는데, 철거 될 쯤에는 거의 폐허가 되어있었다고 한다.

4.2.4. 실습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이공관.jpg
인천대학교 이공관
시립대 시절인 1996년에 지어졌으며 자과대, 공대가 있던 건물이었다.

4.2.5. 동북아통상학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대학교제물포캠퍼스동북아통상학부.jpg
인천대학교 동북아통상학부
인천대학교 소속 동북아경제통상대학, 동북아국제통상학부가 같이 쓰던 건물이다. 2000년 쯤에 성지관과 같이 완공을 한 건물이고, 기숙사와 식당 등이 설치되어있는 건물이었다. 사진에 뒤쪽 건물은 선인체육관과 인천체육고등학교 강의동이다.[10]

4.2.6. 선인체육관

<colbgcolor=#01499a>
파일:인천전문대학_예체능학부.jpg
인천전문대학 예체능학부
한때는 동양 최대 체육관이라고 불리었던 곳이다.[11] 위에 서술한 인천대학교 본관에서 길 건너편으로도 한참 걸어가야 했었다. 인천전문대학 소속인 인천체육전문대학교와 인천체육고등학교가 주로 사용했지만, 인천대학교를 비롯하여 선인학원 소속 학교들이 함께 사용했던 체육관이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선인체육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교통

5.1. 철도

5.2. 버스



[1] 대부분이 2008년 사진이라 현재 본관이 인천전문대학이라 쓰여있고 현재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본관이 '대학본관'이라 쓰여있는 등 현재와 차이가 있다. [2] # [3] 설립자 백인엽이 선인학원을 국가에 헌납한다며 서약한 이후에 중단된 것으로 추정된다. [4] 이 언덕의 잔디는 옆 쑥골운동장의 천연잔디를 그대로 옮겨 심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이 운동장에는 교육공원이라는 것을 지었으나 시립화 이후로 사라졌고 지금의 대운동장에 이르렀다. [5] 여담으로 교육공원의 일부였던 인공폭포는 운동장 끝쪽에 남아있다. [6] 파일:인천대 제물포캠 성리관 법원.jpg [7] 하지만 얼마 안가 1979년 12월에 '인천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8] 677억원 [9] 파일:인천대 제물포캠 공학관 북한군 기지.jpg [10] 여담으로 해당 건물은 제물포캠퍼스 부지의 끝 쪽에 위치해있어서 선인체육관에 가려질 뿐만 아니라, 공학관을 지나 한참을 더 가서야 도착 할 수가 있어서 꽤 번거로웠다. [11] 만약 현재까지도 존재한다면 아시아 최대 체육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