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07:09:50

이삼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부사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722년 11월 4일 경종에 의해 책록 → 1725년 8월 11일 영조에 의해 삭제
수충분의갈성효력부사공신 (1등)
이삼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수충분의갈성부사공신 (2등)
신익하
수충분의부사공신 (3등)
목호룡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분무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728년 4월 26일 영조에 의해 책록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 (1등)
오명항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수충갈성결기분무공신 (2등)
김중만 박문수 박찬신 박필건
이만빈 이삼 조문명
수충갈성분무공신 (3등)
권희학 김협 박동형 이보혁
이수량 이익필 조현명 }}}}}}}}}

파일:이삼영정.png
<colbgcolor=#94153e><colcolor=#ffc700> 이삼
李森
본관 함평 이씨[1]
원백(遠伯)
백일헌(白日軒)[2]
출생 1677년( 숙종 4)
충청도 니산현[3]
(現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사망 1735년( 영조 12) 2월 13일[4]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갑주를 입은 모습을 그린 상상화

조선 후기의 무신.

2. 생애

숙종 3년(1677) 충청도 니산현(現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에서 아버지 이사길(李師吉, 1639~1703)과 어머니 남양 전씨(南陽 田氏)[5] 사이에서 2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사길은 음서로 소위장군(昭威將軍) 행(行)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을 지냈고, 이후 의정부 좌찬성 및 함평군(咸平君)에 봉해졌다. 형제로는 서자인 형 이송(李松, 1673~1732)[6]과 누이 2명이 있었다.

이삼은 음서로 벼슬살이를 시작했지만, 조정의 대신들이 보기에 눈에 띄었는지 대신들이 추후 중용할 만한 인재로 언급하기도 하였다. # 음서 출신으로는 갈 수 있는 벼슬의 자리가 정해져 있었는데, 숙종 2년(1676)에 무과에 급제한 합격자가 대거 나온 뒤로 음서 출신이 갈 만한 벼슬 자리가 더욱 좁아졌다. 결국 이삼은 무과를 준비하여 숙종 31년(1705) 증광 무과에 병과 18위로 급제했고 # 나이가 서른이 되는 이듬해 숙종 32년(1706) 1월 11일 선전관에 임명됨으로써 # 본격적인 벼슬길을 시작하였다. 이후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영조 3년(1727) 7월 6일 훈련대장 벼슬을 받았고 #, 영조 4년(1728) 이인좌의 난을 평정해 분무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이런 공으로 같은 해 9월 28일 한성판윤 #, 영조 5년(1729) 6월 6일 병조판서 훈련도감 제조(提調)·어영청 제조(御營廳提調) #에 임명되었다.

영조 11년(1735) 2월 13일, 이삼은 향년 (한국식 나이) 59세에 숨을 거두었다. # 소식을 듣고 영조가 애도하며 우찬성 함은부원군(右贊成咸恩府院君)으로 추증하였다.

3. 기타

  • 그의 유물 가운데 영정첩, , 월도, 철퇴 등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이삼장군유물
  • 현전하는 초상화와 유물들을 토대로 그려진 갑주 차림의 상상화도 있다. #

[1] 함성군파(咸城君派) 19세 木변 항렬. [2] 영조에게 하사받았다. [3] 을유증광별시문무과방목(乙酉增廣別試文武科榜目)』 [4] 승정원일기 영조 11년 을묘(1735) 2월 13일 기사 [5] 전일성(田一成)의 딸이다. [6] 함평이씨대동보 권4 20쪽에는 이림(李林)으로 기록되었다. 자는 무숙(茂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