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01:00:04

이로스

유로(음식)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음식
글리코 돌마 무사카 수블라키 이로스
칼라마리 케프테데스 쿨루리 키케온 피타
유제품
자지키 페타 치즈
우조
기타
지리적 표시제/유럽연합/그리스 }}}}}}}}}

1. 개요2. 역사3. 케밥과의 차이점4. 명칭 및 표기법5. 이야깃거리

1. 개요

γύρος (ˈʝiros)

그리스식 고기 구이의 일종이며, 그리스를 제외한 해외에서는 돼지고기 케밥을 기로스라고 일컫는다. 큰 꼬챙이에 고기를 잔뜩 꽂아놓고 빙글빙글 돌려가며 구운 뒤 겉을 썰어내어 피타빵과 자지키[1], 그리고 간단한 샐러드와 함께 곁들여 먹는다.

흔히 샌드위치로 만든 것을 떠올리는데, 그것의 정식 명칭은 이로피타(γύροπίτα, =이로삐따). 그렇지만 단어가 길어지니 귀찮아서 그런가 그냥 이로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로피타로 만들 땐 토마토, 양파, 고추, 자지키 소스를 이용해 피타에 말아서 만든다.

2. 역사

튀르키예 요리로 알려져 있는 케밥과 상당히 유사한 기원을 가지고 비슷한 조리법을 사용하다보니 종종 오인하지만, 그리스 사람들에겐 자존심이 걸린 문제로 케밥과는 다른 음식이라 생각한다. 그리스 튀르키예는 역사, 정치적인 이유로 뿌리깊은 갈등을 겪고 있다.

역사 자체는 꼬치구이인 튀르키예의 쉬쉬케밥이나 타타르, 캅카스 제족들의 샤슐릭과 비슷한 수블라키와 달리 이로스의 역사는 짧은 편이며 튀르키예의 되네르케밥과 기원이 같다. 1830년대 오스만 제국 부르사 지방에서 에르주룸 출신의 '그리스계' 무슬림 요리사인 이스켄데르 에펜디가 오늘날에도 에르주룸의 명물요리인 자으케밥(Cağ Kebabı)을 팔아보려다가, 자으케밥 특유의 요리법이 식당 회전률에 문제가 되자[2]고기를 가로가 아닌 세로로 두고 수직으로 켜서 썰어먹는 조리기구를 개발하여 현재에 이른다. 물론 초창기에는 숯불을 이용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가스나 전기를 쓴다. 참고로 이 사람이 고안한 요리가 바로 이스켄데르 케밥이고, 그의 후손들이 여전히 부르사에서 이스켄데르 케밥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스 본토에서는 1920년대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이후 튀르키예에서 넘어온 그리스계 튀르키예인들이 적은 자본으로 할 수 있는 가게를 찾다가 기계 하나와 작은 공간만 있으면 되는 이로스 가게를 열기 시작하면서부터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서 그리스인 입장에선 조리법의 최초 기원과 그를 증명하는 유물, 그리고 근대 조리법을 시작한 사람이 그리스계라는 점에서 수블라키와 그것을 계승/피타라고 부른 빵에 썰어넣은 음식인 이로스는 그리스 음식이 되는 것이다. 반대로 튀르키예인 입장에선, 근대 조리법과 함께 케밥이 시작한 것과 다름이 없고, 빵을 도입하면서 이름까지 한 번 바꾼 이로스는 케밥의 아류로 보이게 된다.

사실 따지고 보면 그리스에도 케밥이라는 요리가 없는 건 아니다. 'Κεμπάπ'이라고 쓰며 철자만 보면 '껨빱'이라고 읽을 것 같지만 '케밥'이라고 읽는데, 그리스인들도 이 요리는 튀르키예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정한다. 아테네 관광 중심지인 모나스티라키에서 가장 오래된 레스토랑중 하나의 이름이 싸나시스 케밥(Ο Θανάσης κεμπάπ)이다. 하지만 그리스의 케밥은 튀르키예에서 많고 많은 케밥 종류 중 하나인 '아다나 케밥', '우르파 케밥'처럼 다진 고기를 양념해서 꼬치에 붙여 숯불로 구운 것으로 그리스의 케밥집에서는 조리법이 비슷한 수블라키는 같이 팔아도, 기로스는 일반적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즉 그리스인의 관점에서는 "케밥은 튀르키예 요리지. 근데 이로스는 케밥 종류가 아니고, 튀르키예 요리도 아냐."이다. 이스켄데르도 에펜디도 원래 터키어가 아니라 그리스어 알렉산드로스, 아펜디스이므로 이로스의 창시자 알렉산드로스 아펜디스는 튀르키예인이 아닌 튀르키예에 지배당한 그리스인이라고 보는 것이며 이로스는 어디까지나 그리스 요리인 것이다.

3. 케밥과의 차이점

이로스와 케밥(정확히는 되네르 케밥)은 대체 뭐가 다른가 찾아내기가 쉽지 않기는 하나, 그래도 어떤 차이가 있냐 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이슬람교도들이 먹지 않는 돼지고기[3]를 주로 쓴다는 점이다.[4][5] 또한 감싸서 먹는 빵의 종류도 케밥과는 다르게 조금 두터운 피타(Pita)빵이 기본형으로 완전히 말아서 먹진 않고 타코처럼 거의 접히듯 접히지 않듯한 형태로 먹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여기에 간단한 야채와 고추들을 채우고 감자튀김을 듬뿍 끼워먹는다. 단, 감자구이를 넣는 게 본래 방식이고 감자튀김은 현대식 맞춤으로 개조된 방식. 대체로 그리스 요리에 올리브 페타 치즈, 고추[6]가 많이 들어가는 편임에도 불구하고 이로스에는 이 두 재료가 들어가지 않으며, 때문에 이게 아쉬운 사람들 대부분은 호리아티키 살라타(=그릭샐러드)를 따로 시켜서 곁들여 먹는다.

이 돼지고기 케밥에 대해선 그리스와 사이 나쁜 또다른 이웃 나라, 불가리아와도 으르렁거리며 원조 논쟁이 있다. 불가리아는 그리스 요리 상당수를 이렇게 자국 요리로 여겨서 서로 말다툼을 벌인다. 그래서 불가리아에서 그리스 케밥이나 이로스라고 하면 싫어한다. 불가리아어로 자국 케밥을 듀네르(дюнер)라고 부른다. 터키어의 döner가 기원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서유럽 쪽으로는 Gyro(자이로/기로) 라는 이름을 그대로 수입했으나, 형태는 거의 신제품에 가까운 별도의 음식으로도 퍼져나갔다. "빵에 신선한 야채와 치즈를 올린 음식" 정도. 심지어 해당 국가 현지화를 거쳐 '이로스 고기' 와 '이로스 소스' 가 들어간 음식이라는 설명을 곁들여 판매하기도 한다. 여기서 자이로 고기는 그냥 평범한 쇠고기 패티를 납작하게 썰어낸 고기이며, 저 고기를 바꾸는 걸로 여러 종류로 판매하고 있다.

4. 명칭 및 표기법

0분 18초 ~ 22초 사이에 언급한다.

Γύρος, 이 음식의 명칭 및 발음은 언어권마다 차이를 보인다. 일단 가장 표준이 되는 현대 표준 그리스어에서는 이로스라고 한다. 단어 끝의 ς(s)는 어지간하면 붙여서 사용하는데 빼먹어도 알아듣기는 한다.

그러나 기로스 등의 이름을 쓰기도 한다. 이는 코이네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의 애매한 Γ(로마자로 G)와 υ(로마자로 u/v/w/y) 발음 차이 때문이다. 원래 고전 그리스어는 Γ를 연구개 파열음/g/ 로 읽었으나 후기 코이네 그리스어 시기에 연구개 마찰음 /γ/로 바뀌었으며 중세 그리스어 시기에는 전설모음 앞 한정으로 경구개음화 되어 /ʝ/로 된 것이 민중의 입말인 디모티키로서 현대까지 이어져 내려온 것이다. υ도 처음에는 /u/로 발음되다가 /y/를 거쳐 현대에는 /i/로 발음되게 되었다.

그런데 코이네 식 독음이라 해도 불과 몇십 년 전에는 공식으로 쓰였고(카사레부사), 이 음식 자체도 역사가 길기 때문에 간혹 그리스 노인들이나, 그리스계 이민자들의 후손은 기로스라고도 부른다.

참고로 이 단어 자체의 뜻은 둥글다로, 흔히 말하는 자이로, 지로통지서로 잘 알려진 지로의 어원이다.

로마자권에선 당초 그리스 문자를 로마자로 치환할 때 Gyro(s)로 치환하여 들여왔기 때문에 기로(스)( 독일어)[7]자이로/유로(스)( 영어)[8] 등으로 불렸다. 그 외 나라들도 통상적으로 불리는 명칭은 기본적으로 저 로마자를 해당 언어로 부르는 방식에 기반하고 있다. 예로 프랑스어로는 쥐호(스)라고 불린다.

국내에서는 주로 '기로스'나 '자이로'로 부른다.

5. 이야깃거리

  • AVGN 100이에서 제임스 롤프가 게임 '자이로마이트'에 필요한 자이로라는 팽이 액세서리를 이 이로스로 오해하여 이로스를 직접 만드는 장면이 있다. 기껏 대접해 줬더니 R.O.B이 롤프를 멍청이라고 디스하며 이건 '자이로'가 아니라고 하자 그럼 그리스까지 갔다 오라는 거냐는 드립을 쳤다. 영어로 적으면 둘 다 gyro라서 생긴 말장난.
  • 세인츠 로우 2에서는 이로스를 전문으로 하는 지중해 음식 체인점인 컴퍼니 오브 이로스(Company of Gyros)로 등장하며 거기에 이로스 뿐만 아니라 꼬치 형태의 케밥, 그리스식 주스를 사먹을 수 있다. 이걸 먹으면 체력이 회복된다. 사실 작중 프랜차이즈명은 세인츠 로우 시리즈 1편부터 3편까지 같은 유통사였던 THQ가 배급했던 RTS 게임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를 셀프 패러디한 것으로, 마스코트를 자세히 보면 패키지에 나왔던 얼굴에 사람 대신 으로 바꾼 형태다.
  • 마피아 2에서는 이로스를 취급하는 식당인 스텔라의 다이너(Stella's Diner)가 등장한다. 설정상 엠파이어 베이의 리틀 이탈리아, 사우스포트, 웨스트 사이드에 각각 입점해 있다.
  • 롯데리아 폴더버거는 한국 내 인지도상 타코에서 모티브를 따왔을 가능성이 높지만 특유의 두꺼운 번 때문에 전체적인 형태는 영락없는 이로스의 형태이다.


[1] τζατζίκι. 로마자 치환시 Tzatziki라서 타지키, 타티키 등 잘못된 표기가 많으나 자지키라고 읽는 게 맞다. 원래 튀르키예에서 에피타이저로 먹는 자즉(cacık)에서 비롯되었는데, 튀르키예의 자즉과 마찬가지로 재료는 요구르트, 생마늘, 딜(미나리과의 향신료), 오이를 다져넣어 섞은 것이지만 튀르키예의 자즉은 수프처럼 물기가 많은 반면에 그리스의 자지키는 걸쭉하다. [2] 자으케밥은 쇠고기나 양고기 안심 덩어리를 거대한 덩어리때로 꼬치에 꿴 다음에 가로로 눕혀서 불위에 올려놓고 굽다가 익은 부분부터 예리한 칼로 가로로 떠내어 그 얇은 조각을 다시 꼬치에 꿰어 정리한 형태로 얇은 빵이나 밥 위에 올려 서빙한다. [3] 물론 튀르키예에서도 소수의 기독교인들( 정교회를 믿는 그리스계 주민들, 시리아 정교회를 믿는 시리아계 주민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를 믿는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케밥을 만들 때 돼지고기를 쓰기도 한다. [4] 단, 미국에선 양고기 소고기, 또는 닭고기가 더 많이 쓰인다. 다른 나라들도 사정이 비슷한데 주로 돼지고기 소비가 소고기보다 적은 나라들이 그러한 경향이 있다. 그리고 그리스 내에서도 튀르키예계 무슬림 주민들이 많이 사는 서트라키아와 도데카니사 제도에서는 이로스를 만들 때 양고기가 많이 쓰이며, 그리스의 유대인들도 무슬림들처럼 돼지고기 섭취를 금기시하기 때문에 이로스를 만들 때 양고기를 쓴다. [5] 그리스에서는 돼지고기가 압도적으로 많고 그 다음이 양고기=닭고기 순. 가격대는 양>돼지=닭 정도이다. 소고기는 가격의 효율성 때문에 잘 쓰지 않는다. [6] 이 셋은 튀르키예 요리에서도 많이 쓰인다. [7] 독일어 y는 영어나 프랑스어와는 다르게 ü와 같이, 한국어로 치면 ㅟ와 유사한 발음이며, 독일어 r은 오히려 프랑스어 r에 가까운 발음이다. 따라서 Gyros를 독일식으로 읽으면 귀호스에 가깝다. [8] 원어에 가깝게 이로(yee-roh)로 읽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