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2:59:31

원카소

원소카에서 넘어옴
1. 개요2. 역사3. 관련 영상4. 관련 문서

1. 개요

(전략)
걸그룹이 흥했던 2009년의 키워드는 '원카소( 원더걸스, 카라, 소녀시대)'였습니다. 혹자는 양강 체제였다고 술회하기도 하지만, 카라 역시 막강한 한 축을 담당했습니다.
(후략)
홍성윤, 매일경제[1]
(전략)
2007년에는 원더걸스와 소녀시대, 카라가 동시에 데뷔했다. 그리고 그들은 2015년인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하는 것 이상의 건재를 과시하고 있다. 그것도 멤버 변동과 소송 등 치명적인 악재를 극복하고서 말이다.
(중략)
다시 2007년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아이돌이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던 ‘아이돌의 겨울’을 걷어낸 이 해의 걸 그룹은 과거의 걸 그룹과 다른 시대를 열었다. 십 대 여성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던 아이돌 팬 문화는 성인 남성층에까지 확대됐다. ‘소비자’로서 이들의 실질적 영향력에는 이의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통념적인 성 역할, 연령 역할의 장벽을 넘어 아이돌 팬이 된 ‘삼촌팬’들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자 화두가 됐다. 이러한 저변의 확대와 함께, 아이돌을 수용하는 방식이 일반 대중에게 파급됐다. MBC [아이돌 스타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행사 무대까지, 아이돌이 제공하는 기쁨은 ‘음악가’들의 그것과 다른 기댓값을 갖게 된 것이다. 무대에서는 과거 혼성그룹들이 제공하던 접근성 높은 댄스음악, 무대 밖에서는 청춘의 에너지와 사랑스러운 성격이 그것이었다. 아이돌은 드디어 하나의 ‘장르’가 되었다.
(후략)[2]
(전략)
소녀시대, 원더걸스, 카라의 데뷔로 2007년은 걸그룹 시대를 열었다.
(후략)[3]
미묘
K-POP 2세대 걸그룹 중 2007년 데뷔 동기인 세 그룹( 더걸스, , 녀시대)[4]을 소년만화 용어 원나블에 맞춰서 데뷔순으로 나열한 두문자어.

2009년 이후 본격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했으며 언론에서는 '원소카'가 2009년[5], '원카소'가 2016년[6]부터 인용되었다.

2. 역사

2009년[7] 이후 이 세 그룹이 각자 가요계에서 제대로 자리잡은 것을 계기로 묶여서 언급되기[8][9] 시작했지만, 본격적으로 유행한 것은 오히려 이들의 최전성기가 끝날 무렵인 2014년[10], 카라의 전성기 멤버였던 니콜, 강지영의 탈퇴[11] 허영지 합류[12]를 기점으로 일부 팬들이 지난 날의 추억과 영광을 회상하면서 시대의 아이콘으로서 '원카소'라 부르기 시작한 것이 계기였다.[13]
2007 MKMF
2011 SBS 가요대전
원더걸스 카라 소녀시대

세 그룹이 한 자리에 모인 적은 많지 않지만, 대표적으로 〈2007 MKMF〉[14], 〈2010 드림콘서트〉[15], 〈2011 SBS 가요대전〉[* [[https://programs.sbs.co.kr/enter/gayo2011/about/55570|파일:SBS 로고.svg ][16]이 있다.
2022 SBS 가요대전: THE LIVE SHOUT OUT
NewJeans IVE LE SSERAFIM

2022 SBS 가요대전: THE LIVE SHOUT OUT〉에서 4세대 걸그룹 NewJeans가 〈 Tell Me〉, IVE가 〈 Pretty Girl〉, LE SSERAFIM이 〈 The Boys〉를 커버했다.

3. 관련 영상

데뷔 무대
원더걸스(쇼! 음악중심) 카라(엠 카운트다운) 소녀시대(SBS 인기가요)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삼각형( 14F)
카라 원더걸스 소녀시대

4. 관련 문서


[1] `무브병(病)`과 댄스가요 연대기 [2] 파일:ize 로고.svg 파일:ize 로고 화이트.svg [3]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 [4] 팬덤명( WonderFul, 밀리아, )과도 일치한다. [5] 뜨는 걸그룹 친분도 남달라 '원소카 라인이 뭐야?' [6] [XP초점] '웃픈' 레인보우의 고사상, 이번에는 이뤄질까? [7] [2009년 결산 연예계] (5) 가요 [8] 스타 골든벨〉 230회에서는 3대 여자 아이돌 그룹(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으로 칭했다. [9] '3大 걸그룹' 하반기 활동 계획은?
걸그룹은 인기순위는 역시 ‘소녀시대-카라-원더걸스’
[10] 2007년생 대표 걸그룹들 멤버 탈퇴로 잇단 수난
소녀시대·원더걸스·카라, 2007년 태생 한류걸그룹 부침은 필연?
[11] 니콜과 강지영은 8년 후인 2022년에 다시 카라에 재합류한다. [12] 1년만에 돌아온 카라, 새로운 댄스음악 통할까 [13] 파일:네이트 아이콘.svg
파일:logo_그린_원형.png
[14] 여자 그룹부문 신인상 후보(수상은 원더걸스)였던 원카소와 블랙펄이 댄스 무대를 선보였다. [15] 소녀시대 원더걸스 카라, 해외진출 3대 걸그룹 총출동 ‘드림콘서트’ [16] 〈2011 KBS 가요대축제〉 카라 〈제62회 NHK 홍백가합전〉 일정 때문에 불참( 카라·2NE1, KBS가요대축제 불참...왜? "日 일정 탓")했으며 〈2011 MBC 가요대제전〉 〈제62회 NHK 홍백가합전〉 일정 때문에 카라 소녀시대는 사전 녹화 영상을 방영( 'MBC가요대제전', 2011년=아이돌의 해 증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