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3:34:24

우데기

한옥의 종류
초가집 기와집 너와집 귀틀집 샛집 우데기집


1. 개요2. 설명

1. 개요

파일:attachment/우데기/udegi1.jpg

파일:attachment/우데기/udegi2.jpg

울릉도의 전통 가옥 투막집에서 볼 수 있는 가옥 구성 요소. 이나 비바람 등을 막기 위해 투막집 주위에 기둥을 세우고 억새나 수숫대 등을 엮어 네모지게 둘러친 외벽을 말한다. 가옥 자체를 우데기라고 부르는 것은 아니나, 우데기가 있는 투막집을 우데기집이라 부르기도 한다. 전통 가옥의 형태로는 한반도 전체를 통틀어 전국 유일하게 울릉도에서만 볼 수 있다.

2. 설명

기본 주거 공간( 부엌)을 우데기로 둘러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양간이나 저장고도 우데기 안쪽으로 같이 둘러치기도 한다. 물론 우데기에도 출입문을 낸다.

이런 형태가 생겨나게 된 데에는 눈이 많이 내리는 울릉도의 독특한 기후조건에 있다. 집안에 있을 때 폭설이 내리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고립되기 쉬운데 우데기를 치면 눈이 사람 키만큼 쌓인다고 하더라도 우데기 안쪽으로 이동 통로가 확보되어 집 밖으로 나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눈이 많이 내렸을 때 우데기 안쪽이 활동공간이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가옥 안이 어둡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보온의 기능은 탁월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우데기에 친 거적문이 보온과 환기의 역할을 한다.

게다가 눈이 미칠듯이 많이 와서 집이 무너지는 참사를 막기 위해 집을 더 튼튼히 짓는다.

오늘날에는 울릉군 역시 한반도 본토와 마찬가지로 주거 양식이 현대화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는 사장되었다. 다만 울릉도 나리촌에 우데기를 친 토막집이 남아있어 우데기의 원형을 볼 수 있다. 실물로는 국가민속문화재 제256호 울릉 나리 너와 투막집과 억새 투막집, 국가민속문화재 제257호 울릉 나리 억새 투막집 단 2채만이 남아 있다.

한반도 본토에는 유사한 것으로 '까대기'란 것이 있다. 해기차의 영향으로 서해안 치곤 눈보라가 잦은 전라도 해안지역에서 발달한 것으로,[1] 볏짚으로 집을 두른 것이다. 우데기와 다르게 강한 칼바람을 같이 막도록 되어 있다는 점과, 겨울이 끝나면 철거하기 쉽도록 설치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새마을운동 이후로는 비닐을 치기도 한다.

[1] 단, 같은 전라도라도 내륙은 건조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설 자체가 없고, 단어조차 모르는 이들이 많다.